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제3차 ASEM정상회의는 향후 10년간 ASEM의 진로를 밝혀주는 아시아-유럽협력협정2000(AECF 2000)을 채택하고 지식정보화시대의 도래에 대한ASEM차원의 공동대응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ASEM의 발전에 중요한 초석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생략)
Trade and Divestment profiles in the ASEM Process: Issues and ProspectsChong -Wha Lee
Since its inception, the ASEM process has achieved considerable success with a host of ministerial meetings, senior officials' meetings, and a plethora of activities. The 3rd ASEM Summit in Seoul laid a solid foundation for moving the ASEM process forward, adopting the Asia-Europe Cooperation Framework 2000, a blueprint for future ASEM meetings and several new initiatives for forging ahead towards the information age. However, when the actual achievements of the meeting are examine[1, they show that ASEM has made little progress, especially in strengthening the open multilateral trading system embodied in the WTO. (The rest is omitted.)
Since its inception, the ASEM process has achieved considerable success with a host of ministerial meetings, senior officials' meetings, and a plethora of activities. The 3rd ASEM Summit in Seoul laid a solid foundation for moving the ASEM process forward, adopting the Asia-Europe Cooperation Framework 2000, a blueprint for future ASEM meetings and several new initiatives for forging ahead towards the information age. However, when the actual achievements of the meeting are examine[1, they show that ASEM has made little progress, especially in strengthening the open multilateral trading system embodied in the WTO. (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序論
1.硏究의 背景 및 目的
2.硏究의 方法 및 構成
제2장 ASEM 經濟協力의 發展經過
1. ASEM 槪要
2. ASEM 經濟協力의 發展過程
제3장 제3차 ASEM 頂上會議 經濟協力分野의 咸果
1. 아시아-유럽 協力體制 2000
2. 情報化時代의 協力 强化
3. 2000~2002년 WTP 具體目標/評價
4. 서울宣言文의 評價
5. 其他 分野에서의 成果 및 綜合評價
6. 補助性原則에 입각한 ASEM의 評價
제4장 무역원활화행동계획(TFAP)의 發展戰略
1. TFAP의 比較分析
2. TFAP의 深化戰略
가.通關分野
3. TFAP 擴大 戰略
제 5장 ASEM 投資規範으로의 發展戰略
1. 論議의 背景
2. ASEM 投資가이드라인의 構想
3. ASEM 投資規範의 推進戰略
제6장 ASEM의 發展 시나리오
1.現狀維持 시나리오
2. APEC류의 發展 시나리오
3. 混合型 시나리오
제7장 結論
참고문헌
국문요약
제1장序論
1.硏究의 背景 및 目的
2.硏究의 方法 및 構成
제2장 ASEM 經濟協力의 發展經過
1. ASEM 槪要
2. ASEM 經濟協力의 發展過程
제3장 제3차 ASEM 頂上會議 經濟協力分野의 咸果
1. 아시아-유럽 協力體制 2000
2. 情報化時代의 協力 强化
3. 2000~2002년 WTP 具體目標/評價
4. 서울宣言文의 評價
5. 其他 分野에서의 成果 및 綜合評價
6. 補助性原則에 입각한 ASEM의 評價
제4장 무역원활화행동계획(TFAP)의 發展戰略
1. TFAP의 比較分析
2. TFAP의 深化戰略
가.通關分野
3. TFAP 擴大 戰略
제 5장 ASEM 投資規範으로의 發展戰略
1. 論議의 背景
2. ASEM 投資가이드라인의 構想
3. ASEM 投資規範의 推進戰略
제6장 ASEM의 發展 시나리오
1.現狀維持 시나리오
2. APEC류의 發展 시나리오
3. 混合型 시나리오
제7장 結論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 181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Working paper
A Theoretical Approach to Evaluating Global Vaccination Plans
2021-03-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2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