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in Northeast Asian Trade: Korea’s Perspective 무역구조

저자 남상열 발간번호 00-02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00.04.25

원문보기(다운로드:66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이 글에서는 국제무역의 품목별 구조에서 나타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 삼국간 경쟁과 보완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무역상응지수(index of trade conformity; ITC)를 이용하여 한국과의 수출입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 국가들간의 무역에 있어서 향후 잠재적으로 그 규모의 증가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품목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품목별로 세분된 국가별 총수출입자료 뿐 아니라 한국과 중국 또는 일본과의 양국간 무역자료를 살펴보았다. 무역자료의 분석과 활용에 있어서는 다양한 무역관련 지수들을 이용하였으며, 국가간 무역관계에 있어서 공급측면보다는 수요측면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한국과 일본은 품목별 전체수출입에서 상당히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음료 및 담배, 비식용 원재료, 동식물 유지를 주로 수입하고, 대부분의 제조업제품에 대해서는 주로 산업내무역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양국은 많은 제조업부문에서 공통적으로 산업내무역이 활발하기 때문에 비록 양국이 매우 유사한 품목별 무역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쟁적이라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면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중국은 한국, 일본과는 상당히 다른 품목별 무역구조를 가지고 있다. 중국은 주로 식품, 음료 및 담배, 기타 제조업제품 부문의 상품들을 주로 수출하고, 원재료, 동식물유지, 화학제품, 산업용기계, 운송장비 부문의 상품들을 주로 수입하며, 연료, 섬유원소재 및 원단, 철 및 강철 부문의 상품들에 대해서는 주로 산업내무역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국제무역구조에 있어서 한국 및 일본과 상당히 보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무역상응지수를 이용한 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잠재적인 의미에서 한국의 수입은 중국으로부터 보다는 일본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의 수출은 일본 및 중국에 대하여 모두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할 것이나 중국보다는 일본에 대한 수출이 잠재적으로 조금 더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 측면에서 보면, 한국의 중국에 대한 수출은 한국의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에 비해 잠재적으로 훨씬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일본에 대한 수출과 수입은 모두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할 것이나, 한국의 일본에 대한 수출보다는 한국의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이 잠재적으로 약간 더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역상응지수에 대한 품목별 기여도 등을 통하여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삼국의 무역에서 향후 잠재적으로 그 규모의 증대가 예상되는 품목(SITC 세 자리 분류)을 찾아보았다. 예를 들면, 한국의 일본에 대한 수출이 잠재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품목들은 편물을 제외한 남녀 의류(SITC 845, 841, 842); 신선, 냉장 또는 냉동 수산물 및 육류(SITC 034, 036, 037, 012); 사무용기기 및 자동자료처리기기의 부분품(SITC 759); 유모차, 장난감, 게임 및 운동용품, 제조업 잡제품(SITC 894, 899); 알루미늄, 동(SITC 684, 682); 가방, 기타 섬유제품, 가구 및 그 부분품(SITC 831, 658, 821); 계측 및 제어기기 장치(SITC 874); 유기-무기화합물, 화학잡제품, 의약품 및 약제제품(SITC 515, 598, 541); 시계 및 벽시계(SITC 885) 등이다. 이와같이 국가간 무역의 품목분류를 세분하여 살펴봄에 따라 국가간 보완적인 관계를 더욱 잘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paper reviews the degree of competition and complementarity among three Northeast Asian countries - China, Japan and Korea. An attempt is made to identify sectors or commodities that are expected to potentially increas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or Japan. For the analysis, bilateral, as well as total trade at a somewhat disaggregated commodity level, are considered. In addition, various trade-related indices are utilized with an emphasis on the demand rather than supply side of international trade.

Overall, Japan and Korea are quite similar in terms of their aggregate trade structures. Japan and Korea are commonly import-oriented in beverages and tobacco, inedible crude materials, animal or vegetable oils and fats; and primarily intra-industry trade oriented in most of the manufacturing sectors.

China has quite a different trade structure from Japan or Korea. More specifically, China's export-orientation in food and live animals, beverages and tobacco, miscellaneous manufactured articles is well contrasted with its import-orientation in manufactured goods classified as materials, animal or vegetable oils and fats, machines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Therefore, China is highly complementary in trade with Japan and Korea.

We also try to analyze the extent of th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one's exports and the other's imports and vice verse, therefore, complementarity) in international trade between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with the index of trade conformity (ITC). The ITC denotes the overall complementarity between two countries' trade. Since the ITC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summation of each commodity's contribution, we can identify some commodities which would potentially increase trade between two countries.

The ITC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Korea's imports from Japan are much more likely to increase than those from China, in a potential sense. Potentially speaking, Korea's exports to the two other countries will increase relatively, somewhat more for Korea's exports to Japan than to China. Looking at it another way, in terms of potential, Korea's exports to China are much more likely to increase than are China's exports to Korea. The overall aggregate trade structures (between one's exports and the other's imports and vice versa) of Japan and Korea are quite similar, therefore complementary, and Japan's exports to Korea are potentially a little more likely to increase than are Korea's exports to Japan.

We also try to identify some commodities (disaggregated in terms of the SITC three-digit classification) which are expected to increase bilateral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or Japan. For example, Korea's exports to Japan have the potential to increase in other textile apparel, men's and women's clothing excluding knit (SITC 845, 841, 842); fresh, chilled, frozen fish and meat (SITC 034, 036, 037, 012); parts for office machines (SITC 759); baby carriages, toys, games, miscellaneous manufactured goods (SITC 894, 899); aluminum, copper (SITC 684, 682); bags, textile articles, furniture (SITC 831, 658, 821); measure and control instruments (SITC 874); organo-inorganic compounds, miscellaneous chemical products, medicines (SITC 515, 598, 541); and watches and clocks (SITC 885). It was possible to identify even mor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the countries as the product classification was disaggregated further.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International Trade in East Asia
1. Linkages with the World Economy
2. Regional Integration

Ⅲ. An Analysis of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Trade
1. An Overview
2. Shares in World Trade
3. Trade Specialization Index
4.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5. Intra-industry Trade Index
6.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Trade Related Indices

Ⅳ. Complementarity in Northeast Asian Trade
1. Trade Conformity Index
2. Overall Complementarity in Northeast Asian Trade
3. Complementarity of Disaggregated Commodities

Ⅴ. Implication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58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국경간 전자상거래가 글로벌 가치사슬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통상환경 변화와 국가별 상품 간 수출 대체가능성 연구 2021-05-28 연구보고서 한ㆍ중ㆍ일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의 GVC 연계성 연구 2021-06-30 연구보고서 일방적 통상정책의 국제적 확산과 무역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2020-12-30 연구보고서 신남방지역의 가치사슬 분석과 교역 확대 및 고도화 방안 2019-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포용적 통상국가 실현을 위한 추진전략 연구 2019-12-30 연구자료 How to Position South Korea in a Dramatically Changing World 2019-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신남방지역 글로벌 가치사슬 확대를 위한 ODA 활용방안 연구 2018-12-31 연구보고서 한ㆍ중ㆍ일 산업협력 방안: 4차 산업혁명, 전자상거래,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2018-12-28 Working paper The Rise of China and the Rebound in Korea’s Manufacturing Employment 2018-12-28 연구보고서 디지털 혁신의 국제비교와 시나리오별 무역 영향 분석 2018-12-28 Working paper Sources of Comparative Advantage in Services: Institution vs. Social Capital 2018-12-14 연구자료 중·미 간 경상수지 불균형과 위안화 환율의 관계 2018-08-20 연구보고서 북한 외화획득사업 운영 메커니즘 분석: 광물부문(무연탄ㆍ철광석)을 중심으로 2017-12-27 Working paper Empirical Assessment of Trade Engagements: Africa, China and the Maritime Belt and Road Initiative 2017-12-19 연구보고서 세계 무역둔화의 구조적 요인 분석과 정책 시사점 2017-11-30 Working paper Anatomy of the Trade Collapse, Recovery, and Slowdown: Evidence from Korea 2017-06-15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