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Searching for an Economic Agenda for 3rd ASEM Summit 경제협력

저자 이종화 발간번호 99-31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199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58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제3차 ASEM정상회의의 경제협력분야의 의제선정을 탐구하고 있다. 내년 정상회의는 2000년이라는 상징적 의미는 물론, ASEM의 회고와 전망을 통해 의제를 구체화하고 목표를 강화하기에 적절한 기회라고 볼 수 있다. 동 문제를 취급함에 있어서 Gerald Segal이 처음 제기한 바 있는 ASEM의 보족성(subsidiarity) 원칙을 사용하여 ASEM경제협력분야의 최근 성과가 과연 ASEM차원에서 목표하고 있는 최선의 결과인지 점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몇 가지 주요 논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SEM경제협력분야의 최근성과는 보족성 원칙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ASEM이 새로운 세기에 살아 남기 위해서는 지역대화체 단계를 뛰어 넘어 도약할 필요가 있다. ASEM의 발전방향과 관련 APEC류의 발전 및 ASEM고유의 발전으로 크게 두가지 시나리오를 구성해 볼 수 있다. 둘째, 전자의 경우, ASEM역시 APEC과 유사한 무역자유화 및 비구속적 투자규범을 주요목표로 설정하는 것인데, 이 경우 ASEM자체의 역동성을 강화함과 아울러 개방적 다자체제를 지원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셋째, 후자 즉 ASEM고유의 발전은 ASEM이 지역대화체 단계에 머물러 있으면서 기본적으로 양 지역간 정보네트웍을 강화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인데, 상당수 의제는 진행중인 사안에 대한 후속조치 수준을 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예상의제로는 (1) 다자 무역자유화 및 역내 투자자유화에 대한 공동노력 (2) 지적재산권과 연계된 기술이전 (3) 지식의 이전 (4) 아시아-유럽을 연계하는 인프라 개선 (5) AEBF를 통한 민간사업 확대 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한 실질적인 의제로 아시아-유럽 무역주간이 효과적일 수 있다. 넷째, 제2차 경제장관회의 이후 다소 진전된 무역 및 투자관련 후속조치 등을 감안할 때, 가장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는 첫째 및 둘째의 중간단계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섯째, 아시아와 유럽은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종에 있어서도 산업구조상 상호보완성이 있으므로 양 지역간 경제협력의 잠재성이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금융위기의 해소 및 유로화의 성공적인 출범으로 ASEM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으며, 제3차 정상회의는 양 지역간 경제협력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중요한 모멘텀을 부여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ASEM, being still under probation in the sense that its action plans have not yet been transformed into real action, needs to be consolidated in terms of its goals and agenda. In this regard, this paper seeks to investigate the agenda setting for the 3rd ASEM summit that will be held in 2000. For more than just symbolic reasons, the year 2000 provides ASEM with an excellent occasion for both retrospect and prospect, allowing it to pursue a revision of its agenda and thereby articulate its goals. In addressing this topic, the focus is on testing Gerald Segal's 'subsidiarity question' for ASEM--which is to ask, 'what can best be done for ASEM?'-- taking into account the recent development of ASEM's economic dialogues.

Several features deserve attention. First, the progress achieved at ASEM does not yet meet the requirement dictated by the subsidiarity question. Consequently, ASEM will have to become more than a venue for verbal exchanges and ministerial rhetoric extolling its achievements if it is to survive in the new millennium. As for the future of ASEM navigation, there seems to be two broad scenarios: 'an APEC type evolution scenario' and 'ASEM's own pace of evolution scenario.' Second, as for the former, a more forward-looking strategy for ASEM would be aimed at achieving a goal matching trade liberalization measures and a non-binding regional investment initiative such as those in place in APEC. Under this scenario, especially concerning trade liberalization, it not only brightens ASEM navigation but also provides a decisive momentum to multilateral liberalisation. Third, under 'ASEM's own pace of evolution scenario' its agenda will be basically aimed at facilitating information networks. Much of the economic agenda can be left to the markets to manage.
ASEM would still remain a consultative forum. Consequently, It is questionable whether ASEM will truly be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helps to develop and strengthen a more open multilateral trading system. Under this scenario, one possible agenda would be merely follow-up activities on ongoing works, namely: (1) concerted efforts for open multilateralism in general and investment liberalization in particular; (2) reinforcement of technology transfer combined with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3) active transfer of knowledge, especially in areas such as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linkages; and (5) enhancement of business exchanges. One practical way to enhance such a network is to launch an Asia-Europe Trade Week (AETW). Fourth, taking into account the new initiatives agreed upon at EMM Ⅱ, including a non-binding study of the TFAP and a voluntary report and review mechanism conducive to FDI, a more plausible scenario will be somewhere in between the two. Fifth, whatever the case is, one should bear in mind that the Asian and European industrial sectors are primarily complementary, both in manufacturing and services and, thus, are expected to provide healthy potential for cooperation. Lastly, what is certain is that out of the current crisis comes a new opportunity to build a much stronger, more varied and longer-lasting Asia-Europe relationship. Now, the time has come.

Following the recovery from the financial turmoil in East Asia and the successful launch of the euro, the conditions have been improved for ASEM, allowing it to make great strides in the new millenium. For more than just symbolic reasons, the year 2000 provides an excellent occasion for building a more grandiose vision of ASEM which sh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 solid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for the twenty-first century.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Ⅱ. ASEM: A Retrospective

Ⅲ. Recent Development of ASEM Economic Dialogues

Ⅳ. Testing the 'Subsidiarity question' for ASEM

Ⅴ. Prospects for ASEM: Two Scenarios

Ⅵ.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Korean Abstract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41
판매가격 2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