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Korea-U.S. FTA: Prospects and Analysis 자유무역

저자 왕윤종, 정인교 발간번호 99-03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1999.04.05

원문보기(다운로드:722)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WTO를 중심으로 한 세계경제의 통합추세에도 불구하고 배타적 지역무역협정의 체결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를 포함한 지역무역협정에 참가하고 있지 않은 국가들은 지역무역협정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 노력해왔으나, 지역무역협정은 사실상 다자체제내에서 용인되고 있다. 이에 우리정부도 지역무역협정의 순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요 교역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가장 중요한 교역상대국인 미국과의 FTA 체결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FTA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한미 FTA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동 FTA로 상당한 경제적 실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국간 FTA가 체결되는 경우 한국은 0.73-1.73%의 후생증진효과(금액으로 환산하면 20-48억달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국은 최고 0.07%의 후생증진(37억달러)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이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익을 향유할 수 있는 이유는 한국의 총수출대비 대미 수출의존율이 높다는 점과 미국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무역장벽의 제거로 얻는 자원배분의 효율성 향상(efficiency gains)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미국은 농업을 자유화대상에 포함시킬 것인가 여부에 높은 관심을 보일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FTA가 장기적으로는 높은 후생증가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우리나라는 동 FTA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우선 미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만큼 양국간 FTA 체결은 강도 높은 산업간 및 산업내 구조조정이 뒤따를 수 밖에 없어, 이로 인한 단기적 비용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양국간 FTA 논의에는 농업, 서비스 등 취약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경제적 효과 분석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정치외교 및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1990s, regional trade agreements (RTAs) have become widespread and increasingly became a threat to non-member countries. Despite the GATT/WTO Article 24 and its provision for the overall trade barriers in any new regional or bilateral trade agreement to be no higher than the preexisting ones, the trade diversion effects of regionalism are having an increasingly negative effect on the trade of non-member countries. A realistic Korean policy response to the spread of RTAs would be the establishment of free trade agreements (FTAs) with major trading partners. This paper analyzes the potential effects of a Korea-U.S. FTA, as this would become the most significant trade agreement, which Korea might enter into.

Not only would a Korea-U.S. FTA allow both countries to benefit from the preferentially favorable measures, but it would likely reduce the amount of trade disputes involving Korea. The United States is the most important trading partner for Korea, and yet, it also is the greatest source of trade friction.

Although a Korea-U.S. FTA could not eliminate every trade fric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such a liberalization effort would likely reduce the frequency and gravity of the trade disputes.

In this paper, we have performed simulations to cover five different scenarios of tariff reduction. In each of the scenarios, we have found that the welfare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ould both increase, with Korea receiving a relatively greater share of the welfare benefits. Korea's greater reliance on the trade with the United States and comparatively higher existing tariffs may explain its greater potential benefits. An FTA between the two countries would improve Korea's welfare by 0.73 to 1.73 percent, and that of the United States by 0.07 percent at the most. In addition to the simulations covering an exclusive FTA with the United States, we also have performed a simulation, measuring the effects of Korea's joining the NAFTA. Due to the larger market size, trading with the NAFTA would result in a 0.54 percent increase in Korea's welfare gains, which is higher than that expected from Korea's signing an FTA exclusively with the United States. The simulations also demonstrated that the United States would optimally benefit from an FTA with Korea, if it would have a clause, eliminating all of the agricultural tariffs. In effect, this would promote liberalization for this very sensitive sector.
In this paper, we have focused on the effects of tariff reduction. A more comprehensive analysis / particularly, the one which considers the effects of preferential rules of origin - yet remains undone. And while economic considerations should be the logical starting point, political benefits and burdens of signing an FTA, which this paper only briefly addresses, also require further study.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for a Free Trade Agreement
1.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 FTA
2. Current Influence of FTAs
3. Economic Effects of FTAs

Ⅲ. Econometric Model, Data, and Parameter
1. Description of Model
2. Parameters and Aggregation of Data

Ⅳ. Economic Effects of a Korea-U.S. FTA: Empirical Results
1. Economic Effects of a Korea-U.S. FTA, Korea-Japan FTA,and Korea's Entrance
into the NAFTA
: A Comparison
2. Economic Effects of Five Versions of an FTA betweenKorea and the United
States

Ⅴ. Conclusion

References

Appendix I: Chronology of the Growth of Regionalismin the Post-War Trading
System
Appendix II: 1. Tariff Rate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2. Trad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74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연구보고서 글로벌 환경 상품·서비스 시장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APEC Study Series Regulatory Similarity Between APEC Members and its Impact on Trade 2022-12-16 APEC Study Series Regulatory Similarity Between APEC Members and its Impact on Trade 2022-12-16 Working paper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national Production on Global and Domestic Value Chains Following Trade Restructuring and Corresponding International Economic Policies 2022-08-26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국가의 FTA 활용 인프라 분석 및 협력 방안 2021-12-30 Working paper Consumer Responses to Price Shocks of Wine Imports in Korea 2021-07-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경제의 서비스화에 대응한 중장기 통상정책 방향 2020-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WTO 개혁 쟁점 연구: 분쟁해결제도 2019-12-31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Trump Tariff and Firm Relief: Winners and Losers from Steel Tariff Exclusion Request 2020-03-16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의 출범과 한국의 협력방안 2019-12-30 연구보고서 자유무역협정의 구성요소가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8-12-31 단행본 하바나 헌장의 이해 2019-04-29 Working paper A Quantitative Trade Model with Unemployment 2018-10-15 연구보고서 원산지 누적 조항의 무역비용 추정과 경제적 효과 2017-11-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최근 국제통상 환경의 변화에 따른 한국의 새로운 통상정책 방향 2017-12-27 연구보고서 대외개방이 국내 분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2017-12-27 Working paper The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in Africa 2017-11-1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