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국 지방정부의 대외경제협력 사례와 시사점 경제관계, 경제협력

저자 이상훈, 김홍원, 최지원, 김주혜, 최재희 발간번호 연구보고서 19-1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73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경제가 고도화되고 중국을 둘러싼 대내외 경제환경이 변화하면서 중국이 추진하는 대외 개방 및 경제협력 전략도 변화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정책도 과거 제조업과 외국인직접투자 중심에서 최근에는 서비스, 해외투자, 양자 및 다자 FTA, 양자간 투자협정(BIT)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중앙정부의 대외 개방 및 경제협력 전략과 정책기조가 변화됨에 따라 중국의 지방정부 역시 중앙정부의 전략을 반영하여 대외 개방 및 경제협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별 발전단계, 산업구조, 지역개발정책에 기반한 개방 및 협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19차 당대회 이후 중앙정부가 대외 개방의 전면적 확대라는 전략적 기조를 나타내면서 각 지방정부 역시 ‘산업단지를 매개로 한 제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라는 전통적인 대외협력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지역경제 일체화, 서비스 및 투자, FTA 활용, 대외 개방 확대를 위한 법·제도의 혁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외협력을 확대해가고 있다.
   중국의 대외경제 전략 변화와 함께 최근 보호무역주의의 강화, 중국경제의 구조적 변화, 한·중 FTA의 발효 및 후속협상 개시 등 한·중 양국을 둘러싼 경제협력 환경이 변화하면서 한국의 입장에서도 새로운 대중 경제협력 전략과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또한 중국의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확대·심화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새롭게 도출해야 하는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대외 개방 및 경제협력 전략과 세부 정책, 주요 협력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한·중 간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한·중 양국은 경제협력을 위한 제도적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는 FTA를 체결·발효 중이며, 한국정부와 중국 지방정부 간 협력을 위한 여건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중국의 성공적인 대외협력 사례에 대한 분석과 한·중 경제협력 현황을 토대로 중국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확대·강화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시기별로 중국 중앙정부가 추진하였던 대외 개방 및 경제협력 전략에 대해 분석하였다. 중국은 2001년 WTO에 가입한 이후 대외 개방 및 경제협력 전략과 관련하여 대외개방 확대(10·5 계획), 상호이익의 개방 전략 실시(11·5 규획), 상호이익의 대외개방 수준 제고(12·5 규획), 전면적 개방의 신국면 구축(13·5 규획)으로 점차 개방과 협력의 폭을 빠르게 확대해왔다. 특히 시진핑 정부의 경제발전 전략이 본격화된 13·5 규획(2016~20년)에서는 내국민대우 및 네거티브 리스트 관리제도의 전면적 실시, 서비스업 개방, 높은 수준의 글로벌 FTA 네트워크 구축, 일대일로 추진, 국제사회에서의 책임과 의무 적극 부담 등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적극적인 대외협력 전략이 제시된 것이 특징이다.
   중국의 각 지방정부는 중앙정부에서 제시한 전략이나 정책 기조를 따르되, 지역의 경제적 여건을 반영하여 다양하고 구체적인 대외경제협력 프로젝트나 대외개방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정책 및 사업 목적에 따라 유형화하면 외국인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전통적인 산업단지나 개발구 형태의 협력부터 산업고도화 및 도시화를 위한 협력, 대외개방 확대를 위한 제도 개혁 및 시범구 조성, FTA에 기반한 시범사업, 지역경제 일체화를 위한 제도 협력, 일대일로 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한 협력 등 다양한 대외경제협력이 추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중국의 지방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외경제협력 사업 중에서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세 가지 협력사례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째, 광둥성과 홍콩 간 협력사례이다. 이는 CEPA에 기반한 제도협력형 경제협력 모델로 볼 수 있다. 과거 홍콩과의 경제협력은 민간 부문이 주도하였으나, CEPA 체결 이후 중앙 및 지방 정부가 중심이 되어 정책과 제도에 기반을 둔 홍콩과의 경제협력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광둥성은 CEPA 선행선시 조치로 인해 홍콩 협력과 관련된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과거 광둥성과 홍콩·마카오 간 경제협력 플랫폼으로 설립된 주하이 헝친, 선전 첸하이, 광저우 난사가 2015년 광둥성 자유무역시험구로 통합 추진되었듯이, 2019년 웨강아오 대만구(粤港澳大湾区) 출범 이후 웨강아오 대만구 건설 차원에서 경제·사회 분야를 망라한 광둥성과 홍콩 간의 협력이 논의되고 있으며, CEPA는 경제 분야에서 논의된 사안을 제도화하는 데 여전히 활용되고 있다.
   둘째, 랴오닝성과 독일 간 협력사례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공업지대인 랴오닝성은 2000년대 초반 동북진흥정책이 추진되면서 중앙 및 지방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우대정책을 추진하였고, 이러한 영향으로 독일의 BMW 및 전후방 연관기업들이 다수 이 지역으로 진출했다. 이후 중국 중앙정부와 독일정부의 산업협력이 활발히 추진되면서 대표적인 중·독 산업협력의 전초기지로 여겨지던 랴오닝성 선양시에 2015년 독일과의 협력단지로는 최초로 국무원의 비준을 받은 ‘중·독(선양) 첨단장비제조 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앵커기업인 독일의 BMW와 중국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정책적 지지하에 해당 산업단지는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산업협력의 범위를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산업에서 신에너지 자동차, 바이오 산업 등의 신흥산업 분야로 확대할 계획이다.
   셋째, 충칭과 싱가포르 간의 협력사례이다. 2015년 발족된 충칭-싱가포르 전략적 상호연결 프로젝트(中新战略性互联互通项目)는 중국과 싱가포르 간 대표적인 일대일로 협력사례이자 양국간 최초의 국가급 서비스업 협력 프로젝트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4대 협력 분야로 금융, 항공 서비스, 정보통신, 교통·물류 서비스를 선정하고 양국 정부간 협의를 통해 다양한 시범사업을 추진해 성과를 내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충칭을 포함하여 양국 정부는 협력의 공간적 범위를 충칭시 하나의 지역으로 한정하지 않고 중국 서부지역 전체, 더 나아가 ASEAN까지 연계하는 사업으로 확대해나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4장에서는 한국과 중국 지방정부 간 경제협력사업에 대해 분석하였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과 중국 지방정부 간 경제협력은 중국 지방정부가 투자 유치를 목적으로 조성한 한국 공업원에 기업들이 개별적으로 진출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2010년부터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한 한국정부와 중국 지방정부 간 협력이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이후 2015년 한·중 FTA 발효를 계기로 한·중 산업단지 조성이나 인천시와 웨이하이시 간의 지방경제협력 시범사업이 추진되면서 중국 지방정부와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한국 중앙정부와 중국 지방정부 간 경제협의체의 경우 대부분 정례화되어 있지 않고 단발적인 협의로 끝나는 경우가 많아 정기적인 협의채널로 발전시켜 협력의 실효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또한 현재 추진하고 있는 후난성 건강산업원 내 한국 전용단지 조성사업, 한·중 FTA를 기반으로 한 산업단지 조성사업 등 한국 중앙정부와 중국 지방정부 간 협력 모델은 대부분 1990년대 한·중 공업원의 운영 모델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노동집약형 제조기업이 중국 내 한·중 공업원에 투자해 공장을 설립하고, 중국 지방정부는 토지와 법인세 등에서 우대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이 전형적이었는데, 현재 진행 중인 협력사업들도 이러한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을 둘러싼 경제협력 환경의 변화에 대응해 과거와 달리 고도화되고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 발굴이 시급한 상황이다.
   제5장에서는 중국 중앙 및 지방 정부의 대외개방 및 경제협력 전략과 협력사업, 구체적인 대외협력 사례, 한·중 경제협력사업 등 제2~제4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한·중 경제협력, 특히 중국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정부간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제도적 협의체 구축 △ 제조업 중심의 협력에서 탈피한 서비스업 분야 협력 강화 △ 제3국 시장 공동 진출 등 국가간 정책을 연계한 지방정부와의 협력 추진 △ 인적교류의 확대 △ 미래 신산업 분야 협력 확대 △ 지역발전 전략을 활용한 협력 추진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국 지방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부간 일회성 교류에 머무르지 않고 전략적인 협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산·학·연·관을 포괄하는 협의체를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해당 지방정부와의 전반적인 경제협력 로드맵을 마련하고, 실질적으로 특정 협력사업이나 시범사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협력 모델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s the Chinese economy becomes more advanced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economic environment surrounding China changes, so too is China’s strategy for external openness and economic cooperation. Accordingly, specific policies are diversifying from the past focus on manufacturing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services, overseas investment, bilateral and multilateral FTAs, and bilateral investment treaties (BITs).
   As the central government’s policy stance changes, China’s local governments are also promoting external openness and cooperation based on regional development stages, industrial structure, an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reflecting the central government’s strategy. In particular, after the 19th Party Congress, the central government showed a strategic stance expanding external openness. In response, local governments have moved away from the traditional method of cooperatio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entered on industrial complexes, and in recent years various cooperative methods have been promoted, including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service and investment, the use of FTAs, and innovations in institutions to expand external openness.
   Along with the shift in China’s foreign economic strategy, the economic cooperation environment surrounding Korea and China is changing as well,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protectionism, structural changes in the Chinese economy, the Korea-China FTA coming into effect, and the launch of follow-up negotiations. Therefore Korea needs to find new strategies and measures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making it time to find new ways to expand cooperation with Chin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ategies, detailed policies and major cases of Chin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external openness and economic cooperation,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First, Chapter 2 analyzes the external openness and economic cooperation strategies implemen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each period.
   Since 2001, when China joined the WTO, China’s opening and economic cooperation strategies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to various fields by expanding external openness (10th Five-Year Plan), implementing an open strategy of mutual benefit (11th Five-Year Plan), enhancing the level of mutual openness (12th Five-Year Plan), and establishing a new phase of full openness (13th Five-Year Plan). In particular, the 13th Five-Year Plan (2016–2020) suggested active external cooperation strategies such as full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treatment plus a negative list management system, opening of the service industry, establishment of a high-level global FTA network, and promotion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s.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y and policy stance sugges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each local government in China is implementing various and specific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or external opening policies to reflect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Categorized according to policy and project purpose, a wide range of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measures are being promoted, in the form of: traditional industrial complexes or development zones to promote foreign investment, cooperation for industrial upgrading and urbanization, institutional reform and the establishment of demonstration zones to expand external openness, pilot projects based on FTAs, institutional cooperation for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cooperation projects to shape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mong others.
   In Chapter 3, we analyzed three cases of cooperation that are considered successful among China’s foreig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First is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Guangdong and Hong Kong. This can be seen as an institutional cooperation model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CEPA) between the two sides. In the past, economic cooperation with Hong Kong was led by the private sector, but since the conclusion of the CEPA, discussions on economic cooperation with Hong Kong have been more based on policies and institutions l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Guangdong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cooperation with Hong Kong, serving as a test bed for pilot basis measure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CEPA between mainland China and Hong Kong. In 2015, Zhuhai Hengqin, Shenzhen Chenhai, and Guangzhou Nansha – special areas established as economic cooperation platforms between Guangdong, Hong Kong and Macau – were integrated into the Guangdong Free Trade Zone. Since the launch of the Guangdong-Hong Kong-Macao Greater Bay Area in 2019, cooperation between Hong Kong and Guangdong in the economic and social sectors has been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constructing the Guangdong-Hong Kong-Macao Greater Bay Area, and the CEPA is still used to institutionalize issues discussed in the economic sector.
   Second is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Liaoning and Germany. Liaoning Province, the representative industrial zone of China, promoted the strategy of revitalizing the old industrial base in Northeast China in the early 2000s. In addition, various preferential policies wer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s a result, Germany’s BMW and a number of related companies have entered the region. Afterwards, as China’s central government and Germany’s government actively promoted industrial cooperation, in 2015, the China-Germany (Shenyang) High-end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al Park was established in Shenyang, Liaoning Province. Under policy support from BMW in Germany an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f China, the industrial complex maintains double-digit growth rate every year, and plans to expand the scope of industrial cooperation from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utomobile industry to new energy automobile and bio industries.
   Third is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Chongqing and Singapore. Launched in 2015, the Chongqing-Singapore Demonstration Initiative on Strategic Connectivity is the flagship case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Singapore, and the first national-level cooperation project in the services industr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project selects financial, aviation servic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services as the four areas of cooperation, and implements various pilot projects through discussions between the two governments. Based on these achievements, the two governments are expanding the scope of cooperation not only to Chongqing but also to the whole of western China and even ASEAN.
   Chapter 4 analyzes economic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Korea and China’s local governments. Until the early 2000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s local governments was mainly based on private companies entering Korean industrial complexes created by the Chinese local governments to attract investment. Since 2010,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and local Chinese governments, l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as begun to take off. With the Korea-China FTA taking effect in 2015, cooperation with China’s local governments has been further strengthened by the establishment of Korea-China industrial complexes or the pilot project for local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cities of Incheon and Weihai. However, most of the economic councils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and local governments in China often end as one-off consultation event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on by developing these into regular consultation channels.
   In addition, most of the cooperation models betwee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and China’s local governments – such as the project to establish a separate medical complex for Korean health providers within the Hunan Provincial Health Industrial Park or industrial parks i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Korea-China FTA – are mostly based on operation models used for Korea-China industrial parks in the 1990s. The typical operation model was to invite labor-intensive manufacturing companies in Korea to invest in Korea-China industrial parks in China to set up factories, while the local Chinese government would grant preferential benefits in terms of land and corporate taxes. Current cooperative projects operate upon a more or less similar model. There is an urgent need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economic cooperatio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wo countries by developing a more advanced and sustainable cooperation model.
   In Chapter 5,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in Chapters 2-4, we suggest ways to promote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especially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in China.
   More specifically, we identify the following policy needs to: establish a consultative body to discuss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s; advance beyond the current focus on manufacturing- oriented cooperation and strengthen cooperation in the service sector; promot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by linking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for instance to jointly advance into third countries; expand human exchange; expand cooperation in future new industries; and promote cooperation using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n particular, to strengthen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in China, it is important to operate a council that encompasses industry, academia, research, and government actors to develop strategic cooperation rather than only producing one-time exchanges between government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prepare an overall roadmap for economic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a cooperation model that can actually lead to specific cooperation projects or pilot project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3.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중국의 대외경제협력 전략 및 정책 
1. 시기별 대외개방 및 경제협력 전략
2. 지방정부의 대외개방 및 대외경제협력 정책


제3장 주요 지역의 대외경제협력 사례 분석 
1. 광둥성-홍콩 간 협력: 제도협력형
2. 랴오닝성-독일 간 협력: 산업고도화형
3. 충칭-싱가포르 간 협력: 일대일로 연계형


제4장 한국-중국 지방정부 간 주요 경제협력사업 
1. 한국-중국 간 무역·투자 현황
2. 한국-중국 정부 간 주요 경제협의체 및 경제협력 합의
3. 한국 중앙정부-중국 지방정부 간 주요 경제협력사업
4. 평가


제5장 한·중 경제협력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 
1. 정부간 협력을 논의할 수 있는 제도적 협력체의 구축
2. 제조업 중심의 협력에서 탈피해 서비스업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3. 제3국 시장 공동진출 등 국가간 정책을 연계한 지방정부와의 협력 추진
4. 인적교류 확대
5.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 
6. 지역발전 전략을 활용한 협력 추진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1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