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APEC Study Series Technological Capability of MSMEs and Implications for Innovation Policy: A Case Study of Vietnam APEC, 경제협력

저자 윤미경 발간번호 19-02 발간일 2019.11.15

원문보기(다운로드:3,35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미중소기업(MSME)에 대한 혁신 장려는 APEC에서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져 왔다. APEC 및 베트남과 같은 회원국은 이의 일환으로 주로 ICT분야에서 벤처금융이나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하는 정책에 초점을 두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책방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으로 기술역량 축적을 통한 미중소기업(MSME)들의 산업기술 역량 심화가 절실함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기술역량이론에 입각하여 베트남 미중소기업(MSME)들의 기술역량 결정요인을 실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업 수익이 혁신활동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며, R&D투자보다는 기계장비에 대한 투자가 기술혁신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기업 규모는 혁신의 양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기술혁신 활동 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기술역량 유형이 각기 다르다. 따라서 1) 미중소기업(MSME)들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사업규모 확대가 절대적이며, 2) 미중소기업들을 조직하고 대기업 또는 외국인투자기업으로부터 전수받은 기술을 확산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견기업들에 자원을 배분하는 정책이 필요하고, 3) 일률적인 R&D자금지원보다는 개별 미중소기업(MSME)들이 진행하는 기술혁신 활동 형태에 알맞은 기술역량 지원을 위한 맞춤형 기술컨설팅이 필요하다.
 

Promoting MSME innovation has been one of the priority work pro-grams of APEC. MSME innovation policy in the APEC and member econ-omies such as Vietnam, has focused on promoting venture capital and startup firms in the ICT industry.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such a policy approach, and argues that deepening industrial production capability of MSME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capability is paramount. To do so, the study undertakes an empirical analysis of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change among MSMEs in Vietnam based on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approach. The study finds that: sales revenue is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factor in a firm’s decision to innovate, investment in machines and equipment has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activities than formal R&D, and size of the firm may matter for both quantity and quality of innovation. Further, different types of technological capability maybe more important for different types of innovative activ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1) upscale private enterprises to bolster their technological capabil-ity; 2) to direct resources to medium enterpris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coordinating smaller firms and diffusing technology transferred from larger firms or FDI firms; and 3) to provide tailor made technological consulting for MSMEs depending on their technological trajectory and S&T strategy, rather than focusing simply on subsidizing formal R&D.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Issues in S&T Policies towards MSMEs in Vietnam


III. Theoretical Framework: Technological Capability Approach


IV. Empirical Study
4.1. Data and Variable Construction
4.2. Estimation results


V.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49
판매가격 3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APEC Study Series Economic Factors Affecting Birth Rates in APEC Economies 2024-12-13 APEC Study Series Economic Factors Affecting Birth Rates in APEC Economies 2024-12-13 APEC Study Series The Disparat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Tax Revenues: An Illustration from Developing APEC Economies 2024-10-31 APEC Study Series The Disparate Impact of Digitalization on Tax Revenues: An Illustration from Developing APEC Economies 2024-10-31 APEC Study Series Evolving Agendas in APEC Ministerial Meetings: Tracing the Changing Focus of Economic Cooperation in Asia-Pacific Region 2024-10-02 APEC Study Series Evolving Agendas in APEC Ministerial Meetings: Tracing the Changing Focus of Economic Cooperation in Asia-Pacific Region 2024-10-02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