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New Delhi’s ‘Act East’ and the India-ASEAN Engagement: What They Mean for India-Korea Relations in the Indo-Pacific 경제관계, 경제협력

저자 Jagannath P. Panda 발간번호 19-05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9.05.07

원문보기(다운로드:3,52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인도의 신동방정책(Act East Policy)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아세안과 남아시아의 관계를 강화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요구는 제도적으로나 지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아세안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이웃국가들과 보다 긴밀하고 다각적인 차원에서 협력을 구축하는 것이 신동방정책의 핵심이며, 경제, 정치,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는 인도-아세안 협력의 새로운 미래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9~20년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이 타결된다면 지역경제구조는 보다 새로운 성숙 단계로 나아갈 것이고, 이에 인도는 아세안과의 협력을 제도적인 차원에서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점에서 중국을 비롯한 아세안 주요 상대국의 경제적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가운데, 아세안을 둘러싼 경제 및 안보 구조 변화에 대한 인도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인도의 대응 방식은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지만, 전략적 이익을 보다 일관성 있게 확보하기 위해 인도는 아세안의 주요 대화 상대국들과의 전략적 호환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인도-아세안 협력에 있어서, 한국은 정책적 융합을 함께 구상해야 할 주요 대상국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와 아세안 간의 강화된 연계성을 바탕으로 인도와 한국의 협력방안을 담고 있으며, 인도의 신동방정책과 한국의 신남방정책의 접점 제시 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핵심용어: 경제협력, 경제관계

   One of the principal objectives of New Delhi’s ‘Act East Policy’ (AEP) is to strengthen India’s contact with the ASEAN as well as with the countries in Southeast Asia. The pursuit is evolving and ever-growing, both institutionally and regionally. With a focus on ASEAN-centric cooperation, forging a closer multi-modal connectivity cooperation between India’s bordering states and the immediate Southeast Asian countries has been one of the guiding principles of this engagement. Also, this engagement is becoming deeper with India aiming to extend the connectivity cooperation to the interior parts of the ASEAN region from the immediate neighbouring region of India. A renewed focus on engagement through increased cooperation in areas such as economic, political and security realms offers a positive future graph to the India-ASEAN engagement at present which is becoming one of the defining features of Indo-Pacific.
   With the possible conclusion of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in 2019-20, the regional economic architecture will move to a new level of maturity in which India would like to factor in its engagement strongly with the other countries. More importantly, it is in India’s interests to further deeper cooperation with the ASEAN as an institution. The economic role of ASEAN’s dialogue partners, especially that of China, will test India’s relationship character with the ASEAN. How should India react to the evolving regional economic and security architecture around the ASEAN?
   Options for India are perhaps plenty. Yet, India needs to find strategic compatibility with most of the ASEAN dialogue partners – some of which are influential economic actors in the region – to position its strategic interests more coherently. South Korea (officially known as the Republic of Korea) is one of those prime actors with whom India must envision to have more policy convergence keeping the ASEAN framework in mind, and draw strategic compatibility in specific areas of cooperation and mutual benefit. This study examines India’s growing engagement with the ASEAN and factors how India-South Korea could possibly cooperate within and outside an ASEAN framework. The study tries to establish policy convergence between India’s Act East Policy (AEP) and South Korea’s New Southern Policy (NSP), bilaterally and regionally, factoring the ASEAN and the countries around as the central focus of this cooperation.


Keywords: Act East, New Southern Policy, ASEAN, Indo-Pacific, Connectivity
JEL Classification: R50

Executive Summary


1. India’s ASEAN Significance: A Primer
1-1. The ASEAN Distinction
1-2. Objective of the Study
1-3. Methodology and Structure
1-4. Significance of the study


2. From “Look East” to “Act East” to “Act Indo-Pacific”: Factoring South Korea
2-1. India’s LEP: The ASEAN and a New Beginning with South Korea
2-2. Strategic Partnership: Transitioning from the LEP to AEP and Relations with South Korea
2-3. “Act East”: Taking Guard in the Indo-Pacific with ASEAN Centrality
2-4. “Delhi Dialogue”: Deliberating for an Action-Oriented Engagement


3. Scaling Connectivity in the East and Bridging the Gap
3-1. Delhi Declaration to AICS: Endorsing the ASEAN Spirit
3-2. IMT Trilateral Highway (IMTTH): Emerging as a New Gateway
3-3. Kaladan: Not Just a Transport Connectivity Project
3-4. “Bharatmala Pariyojana”: Neighbourhood First Policy and Land-Based Connectivity
3-5. BBIN, BIMSTEC and the MGC: “Neighbourhood First” to “Destination ASEAN” to “ASEAN First” Approach
3-6. The BCIM and Connectivity Cooperation with China
3-7. India’s Cautious Approach to BCIM
3-8. Between Connectivity and Conflict: Reviving the Ancient Silk Route
3-9. The Stillwell Road and Car Rally
3-10. Fukuda Vision: India-Japan Connectivity Cooperation in the ASEAN Framework
3-11. Japan’s Chemistry with Northeast India to Test China’s Nerve
3-12. Tokyo Strategy 2018 and India-Japan Possible Cooperation 


4. India-ASEAN FTA and the Regional Economic Architecture
4-1. An ASEAN-centered Economic Engagement
4-2. ASEAN-India Cooperation-Contradiction Context
4-3. India’s Cautious but Ambitious Approach on the RCEP
4-4. China’s Unilateralism on Free Trade and India
4-5. Japan: More of a Bilateral Economic Partner
4-6. South Korea: A Potentially Great Economic Partner


5. ASEAN and India-South Korea Cooperation in ASEAN by 2025
5-1. Why an ASEAN Framework of Cooperation?
5-2. India-South Korea Ties Vis-à-vis the India-China and India-Japan Ties in ASEAN
5-3. A Country-specific ASEAN Engagement
5-4. Exploring Connectivity Cooperation
5-5. Avenues for Cooperation in SAARC and BIMSTEC
5-6. Search for a ‘Plus’ Policy Context
5-7. Policy Recommendations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20
판매가격 3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Research o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dia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향후 미얀마 국내 상황 및 주요국 미얀마 정책을 고려한 한국의 대미얀마 전략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의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전략과 정책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