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ODA 정책연구 스리랑카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개발협력 방안 연구 경제협력

저자 정지원, 송지혜, 이상미, 오혜경, 명수정 발간번호 17-04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7.12.27

원문보기(다운로드:5,39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2017년은 한국과 스리랑카 수교 40주년이 되는 해이다. 스리랑카는 인도양에 위치한 인구 약 2천만 명의 작은 섬나라로, 30여 년간의 내전이 종식된 2009년 이후 높은 경제성장률 및 빈곤 감소율을 나타내고 있다. 2015년 당선된 시리세나 대통령 신정부는 경제성장과 지속가능발전에 초점을 맞춘 국가개발전략을 추진하며, 그 이행에 있어 기후변화를 주요 도전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최근 3년 사이 스리랑카에는 이상 강우현상이 심화되어 농업생산성과 수력발전, 물과 관련된 보건 분야에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스리랑카와 1977년 수교를 맺고 인적ㆍ물적 교류를 지속적으로 이어왔으며 스리랑카를 ODA 중점협력국으로 선정하고 별도의 지원전략을 마련하였다. 스리랑카는 우리나라의 상위 10위권 수혜국이며, 우리나라는 스리랑카의 2위 공여국이다. 수교 40주년을 기념하여 2017년 11월 열린 정상회담에서 우리나라는 2019년까지 EDCF 지원과 KOICA를 통한 무상원조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로 약속하였다.
  이 같은 배경하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ODA 중점협력국인 스리랑카의 기후변화 대응 수요와 개발 우선순위, 우리나라의 스리랑카 지원전략을 바탕으로 스리랑카의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 대상국의 국가개발전략 및 기후변화 관련 정책, 국제사회의 지원 동향 및 전략에 관한 문헌 및 통계 분석, 현지 관계자 및 전문가 면담 등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특히 주요 공여기관 및 국제기구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에 부재한 기후변화 지원전략 수립과 성과관리틀 도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먼저 급변하는 스리랑카의 국가 현황 및 국가개발전략을 살펴보고 국가 차원에서 기후변화를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지속가능 국가경제발전정책(NEDPSE), 공공투자계획(2014~20), 비전 2025와 같은 국가개발전략을 검토하여, 국가 발전에 있어 스리랑카가 인식하고 있는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스리랑카 역시 기후변화를 독립적인 이슈로 접근하기보다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스리랑카의 기후변화 전망과 취약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수요와 주요 정책을 분석하였다. 스리랑카는 유엔 기후변화 협상에서 도출된 합의사항을 이행하고자 상세한 기후변화 정책문서들을 작성한 상태이다. 국가기후변화정책,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 계획, 기술수요분석, 국가가 정한 기여(NDC) 등의 문헌 분석을 통해 스리랑카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대응 수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리랑카는 온실가스 감축보다 기후변화 적응이 보다 시급한 과제이며, 기후변화가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는 농수산업이 포함된 식량과 수자원, 보건, 연안 또는 해양, 그리고 생물다양성 분야임을 도출하였다.
  한편 4장에서는 국제사회의 스리랑카 지원 동향을 검토하고, 주요 공여기관의 스리랑카 지원전략에서 기후변화가 어떻게 고려되는지 특징을 파악하였다. 1절에서는 리우마커 등의 통계자료를 통하여 국제사회의 스리랑카 ODA 지원 동향과 기후변화 관련 지원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2절에서는 스리랑카에 대한 별도의 지원전략을 가지고 있는 일본, 미국, 아시아개발은행(ADB), 세계은행(WB), 유엔개발계획(UNDP)의 지원전략을 분석하였다. 이 국가 및 기관들은 스리랑카의 기후변화 취약성과 이로 인한 영향을 도전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기후변화 문제는 독립된 주제가 아닌 범분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각 공여주체별로 기후변화 대응전략과 재해대응 방식, 사업 전반에 대한 고려 방식 등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5장에서는 한국과 스리랑카의 전반적인 협력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협력전략(CPS)의 주요 내용과 평가보고서에 나타난 기후변화 관련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은 스리랑카를 중점협력국가로 선정하여 별도의 국가지원전략을 마련하였으나 기후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원 규모는 미미한 편이다. 1, 2차 스리랑카 국가협력전략(CPS)에서도 기후변화를 위험요소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기후변화 관련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기 수립된 스리랑카 지원전략하에서 향후 기후변화 대응 확대를 위한 분야ㆍ협력 유형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기후변화 대응 사업의 확대에 반드시 필요한 성과관리와 관련하여 주요 과제를 제시하였다. 보고서에서 도출한 협력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분석한 스리랑카 국가발전전략과 기후 취약성 및 수요, 현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자원과 관련된 농업, 수자원 공급과 관리, 재해대응과 관리를 유망협력 분야로 제안하고,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활동을 동시에 추구하는 융ㆍ복합 유형의 사업형태를 고려하도록 제안하였다. 협력 유형으로는 스리랑카에서 활동 중인 공여주체들과 활발하게 소통하여 협력과 조화를 모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다자개발은행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전문성을 활용하고 GCF 등 기후재원에 접근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과관리와 관련하여, 성과 프레임워크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스리랑카 CPS는 구체적인 목표와 기초선, 목표치가 부재하고 기후변화 관련 이슈가 고려되지 않았다. 국제기구와 미국 등의 공여국은 사업 설계 단계에서부터 기후위험을 판별하고, 필요한 경우 영향력 평가를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더불어 기후변화에 특화한 성과지표를 작성하여 해당 사업의 성과관리에 활용하기도 한다. 장기적으로 우리나라 또한 국제개발협력 활동에서 기후변화를 주류화하고 성과관리를 체계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처럼 체계적인 기후변화 성과관리는 스리랑카의 장기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후대응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시작점이자, 향후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질적 향상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야 할 과제이다. 

  The year 2017 marks the 40th anniversary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Sri Lanka. Located in the Indian Ocean, Sri Lanka is a small island nation with a population of about 20 million. The country has seen high economic growth and poverty reduction since 2009, when the civil war ended after 30 years. Elected in 2015, President Sirisena of Sri Lanka is pursuing national development that focuses on sustainable growth. In this regard, President Sirisena recognizes climate change as a major challenge in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development initiatives. In particular, atypical rainfall patterns have intensified over the last three years, causing damage to agricultural productivity, hydro power generation, and water-related health sectors.
  Since the opening of diplomatic relations in 1977, Korea and Sri Lanka have continued activ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Sri Lanka is also one of Korea’s ODA priority partnership countries. Thus, the Korean government has formulated a detailed strategy on cooperation with Sri Lanka. Sri Lanka is one of the top 10 ODA recipients for Korea. Likewise, Korea is the second largest bilateral donor for Sri Lanka. At the summit held in commemoration of the 40th anniversary of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Korea pledged to expand its bilateral cooperation, in the form of EDCF assistance and grant activities through KOICA, with Sri Lanka by 2019.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uide further cooperation with Sri Lanka, mitigating the advers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tudy focuses on Sri Lanka’s climate change policies and related needs, as well as its national development priorities. We also conducted a thorough review on major donors’ cooperation activities and policies, including those of Korea. Most importantly, detailed on-site interviews with major stakeholders were carried out. Through in-depth case analyses of major bilateral and multilateral donor organizations, we attempted to seek the policy direction for climate change assistance and formulate a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for Korea.
  The repor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chapters: In Chapter 2, we first provide an overview of Sri Lanka's national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 circumstances. We scrutinize recent development plans in Sri Lanka, such as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Plan for Sustainable Era, the Public Investment Plan 2014-2020, and Vision 2025. By reviewing the documents, we sought to observe how climate change is received and integrated into the policies. Our results indicate that Sri Lanka perceives climate change as a cross-sectoral issue. Sri Lankans recognize the advers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are pursuing countermeasures in various areas.
  Chapter 3 identifies projections and vulnerabilities to climate change in Sri Lanka. We analyzed the climate policies and climate-related needs of Sri Lanka accordingly. Sri Lanka has drafted detailed climate change policy documents to implement the agreements made under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ies and areas demanding support were identified through a rich analysis of documents, including national climate change policies,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adaptation plans, technology needs assessments, an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We were able to conclude that Sri Lanka has a more urgent need to adapt to climate change tha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areas significantly impacted were the food sector – including agriculture and fisheries, water resources, health, coastal and marine environment – and biodiversity.
  In Chapter 4, we reviewed the status of international support to Sri Lanka and examined various related issues. The chapter first looks at ODA support to Sri Lanka, including in regards to climate change, through the OECD DAC Rio Markers. In the following section, we analyzed the assistance policies implemented by donors, namely Japan, the United States, Asian Development Bank (ADB), World Bank, and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 All of the donors recognized Sri Lanka as being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nd identified climate change as a barrier to the country’s development. Furthermore, we observed that climate change is often addressed as a cross-sectoral issue which the donors treated with different weight, measures and strategies.
  Chapter 5 provides an overview of existing bilate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Sri Lanka and examines performance in this area. Korea has identified Sri Lanka as a priority cooperation partner and, therefore, developed a dedicated cooperation strategy. The first and second Country Partnership Strategies (CPS) for Sri Lanka consider climate change as a risk factor. Nevertheless, climate change is supported in an ad hoc basis, without a systematic assistance framework. Consequently, the amount provided to climate-related aid is nominal.
  Building on the lessons gained from the previous chapters, Chapter 6 seeks to lay out a direction for Korea’s future cooperation with Sri Lanka, with emphasis placed on climate change. We also suggest that a proper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is essential to increase climate-related support to Sri Lanka. The main points of Chapter 6 include the following.
  First, we proposed agriculture, water supply and management, and disaster management as the most significant and prospective sectors for bilateral cooperation. We also suggested to consider a multi-sectoral and integrated approach where projects with a focus on mitigation and adaptation can merge with one another. Potential projects and programs can take the form of partnerships with active bilateral and multilateral donors in Sri Lanka. Such partnerships will facilitate the use of expertise and experience by these donors and als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significant climate funds, such as the Green Climate Fund.
  Moreover,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performance framework for climate-related aid, learning from the previous and current CPS for Sri Lanka, which lacked specific goals, baselines, targets, and climate consideration. Some donors, namely the United States, identified climate risks from the design-phase, carried out impact assessments, and took appropriate measures, if deemed necessary. In addition, indicators specific to climate change can be produced and utilized to enable effective management of performance.
  In the long-term perspective, Korea should progress toward the mainstreaming of climate change in it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 must also establish a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Such actions are the starting point for quantitatively increasing climate-related aid to Sri Lanka. More importantly, it is a crucial transition that Korea must achiev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ts activiti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스리랑카의 국가 현황 및 개발전략
1. 국가 현황과 특징
    가. 정치ㆍ사회
    나. 경제
2. 국가개발전략
    가. 지속가능 국가경제발전정책
    나. 스리랑카 공공투자계획 2017~20
    다. 스리랑카 비전 2025


제3장 스리랑카 기후변화 영향과 대응전략
1. 기후변화 영향과 취약성
    가. 기후변화 전망
    나. 분야별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2. 기후변화 관련 주요 정책
    가. 국가기후변화정책
    나. 국가적응계획
    다. 기술수요분석
    라. 파리협정 이행계획
3.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국제사회의 스리랑카 지원 동향
1. 국제사회의 지원 현황
    가. ODA 지원 동향
    나. 기후변화 관련 지원 현황
2. 주요 공여국 및 다자기구의 지원전략
    가. 일본
    나. 미국
    다. 아시아개발은행(ADB)
    라. 세계은행(WB)
    마. 유엔개발계획(UNDP)
3. 소결


제5장 한국의 스리랑카 지원성과 및 과제
1. 한ㆍ스리랑카 협력 현황
    가. 한ㆍ스리랑카 교역 현황
    나. 대스리랑카 투자 현황
    다. 인적 교류
2. 스리랑카 ODA 지원 및 성과
    가. 규모 및 주요 지원분야
    나. 지원전략
    다. 기후변화 관련 사업 및 평가결과


제6장 스리랑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방안
1. 기본방향
2. 세부 협력방안
    가. 분야별 협력방안
    나. 협력 유형
    다. 성과관리
3. 결론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6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