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중국은 경제성장 둔화와 이에 따라 늘어나는 취업난에 대응하고자 창업을 적극 강조하고 있다. 2016년부터 추진 중인 「13차 5개년 규획」에서도 누구나 창업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모든 사람이 혁신의 주체가 된다는 의미의 ‘대중창업, 만중혁신’과 기술기반의 창업자를 의미하는 ‘촹커’ 육성이 주요 키워드로 등장했다. 또한 전국적으로 인큐베이터 형태의 ‘대중창업공간’ 설립이 확대되고 있다.
그리하여 창업을 선도하는 베이징과 선전,상하이 외에 각 지방정부도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 각종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중에서 쓰촨성 청두시와 후베이성 우한시가 주목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변화하는 중국의 창업 현황과 투자, 정책 방향에 대해 파악하고, 나아가 청두, 우한시의 창업 생태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협력 및 진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
중국은 2015년 창업 기업 수가 443만 9,000개로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창업은 서비스 업종에 집중되었으며, 그중 인터넷, 문화, 교육 서비스 분야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경험이나 기술을 보유한 교수나 전문 기술자의 창업 비중이 적고, 유사한 분야의 창업이 많아서 생존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창업 증가에 따라 투자도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2015년 상반기 주가 폭락과 더불어 유니콘(unicorn) 기업의 수익성 악화로 전반적으로 투자가 위축되는 분위기로 전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외시장인 신삼판을 통한 자금 회수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유니콘 기업 수는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둘째로 많아졌다.
중국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없애고, 공정한 경쟁 환경과 신용체계 구축에 나섰다. 또한 정책성 기금 조성을 통해 창업 투자 규모를 확대하고, 창업 기업의 투융자 채널을 다양화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그 밖에 대중창업, 크라우드 소싱, 대중지원, 크라우드 펀딩을 의미하는 ‘4중’ 지원 플랫폼 발전을 도모했다. 그리고 인큐베이팅 사업이 과학혁신능력 제고와 취업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여 신형 인큐베이터인 ‘대중창업공간’의 활성화에 나섰다. 대중창업공간은 2014년 50개에서 2016년 말에는 약 4,000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청두시는 2015년 2월 창업 활성화 전략인 「창업톈푸 행동 계획」을 발표하고, 창업행사인 ‘징롱회’를 연간 160회 개최하면서 창업 분위기를 고조하였다. 이어 창업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되어오던 투융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각종 산업 기금을 조성했으며, 기술이전과 자금이 스타트업에 효과적으로 지원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그 밖에도 실시간으로 청두시 스타트업 관련 통계, 지원정책, 행사 소개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 ‘커촹통’과 스타트업에 서비스 비용을 보조해주는 ‘혁신권’ 제도를 도입했다.
청두시 창업 지원 공간은 주로 청두 고신구 징롱광장 일대에 집중되어있으며, 대부분의 국제 협력도 이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청두시는 한국, 싱가포르, EU(프랑스, 독일)와 창업 협력을 진행 중이며, 이곳에는 한국 스타트업을 위한 중·한 창업단지가 조성되어있다.
우한시는 과학기술 분야 중소기업 창업을 장려하고자 1987년 ‘우한 둥후 신기술 창업센터’를 설립하면서 일찍부터 창업 지원 노하우를 쌓아왔다. 우한시는 창업 활성화를 위해 ‘황금10조’, ‘창업10조’ 등의 지원 정책을 추진 중이며, ‘창업밸리계획’에 따라 각종 기능이 종합된 대규모 창업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그 밖에 대학생 창업자에게 사무공간 및 자금, 멘토링 등을 지원하는 ‘칭퉁계획’과 중소기업이나 학생 창업자에게 법률 및 기술 자문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혁신권’ 제도를 운영한다.
우한시는 한국과 대만, 미국 등과 창업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과는 2016년 코트라 주관으로 협력 행사를 진행한 바 있다. 대만과는 2014년 ‘후베이(우한) 대만청년창업인큐베이터’를 설립하여 운영 중이며, 미국 실리콘밸리와 2015년부터 매년마다 창업행사인 ‘솽구솽촹회’를 개최하고 있다.
한편 청두, 우한시는 창업 지원 인프라가 빠르게 구축되고 있으나 이를 운용하는 소프트웨어 부분이 취약하며, 창업 지원 서비스의 다양성과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평가된다. 그 밖에도 창업자를 멘토링 해줄 경영인, 투자자 등 전문가 그룹이 동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에 체계적인 지원을 받기위해 창업 인력이 오히려 베이징, 상하이 등지로 유출되기도 한다.
따라서 청두, 우한은 기술과 경험이 풍부한 고급 인력 수요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해결하기는 어려워 외부로부터 인재 유치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이 도출됐다. 첫째 청두, 우한과의 창업 협력 채널 구축과 활성화가 필요하다. 두 도시는 창업 생태계 발전 잠재력이 높고, 한국과의 협력 의지도 강하다. 따라서 주무부처인 미래부 혹은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실무급 협력채널 활성화와 관련 인력 교류에 나서야 한다. 또한 상호간 창업 환경과 시장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정기적인 행사를 개최하고, 실질적으로 기업간 네트워크가 형성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우한시가 미국 실리콘밸리와 순차적으로 개최하는 교류행사처럼 한국도 이를 매년 정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청두시 온라인 플랫폼인 ‘커촹통’을 한국과 청두시 기업 정보를 공유하거나 상호간 정보 채널로 활용해야 한다.
둘째, 청두, 우한과의 창업 협력 확대와 창업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전문가 그룹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청두와 프랑스 협력 사례처럼 상호간에 창업 전문가를 멘토로 지정하여 스타트업을 측면 지원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인큐베이터 중심의 협력을 추진하되 관리자 파견을 통해 운영 시스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는 형식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청두에 있는 중한창업단지와 효과적인 교류협력을 위해서는 한국 측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청두, 우한과 공동 투자 플랫폼을 구축해서 현지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한국에 중국 자본을 유치해야 한다. 또한 양국의 투자 동향을 파악하고, 현지 유망기업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현지에 진출하려는 한국 VC의 펀드 운용 규모 확대를 통해 관련 기술 및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국내 창업 활성화와 스타트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 중국과 달리 한국은 포지티브 리스트 형태로 운영되고, 시행령, 시행규칙, 가이드라인 등 관련 규제안이 많다. 이는 창업 활성화와 융합을 통한 혁신을 저해하는 요소로 지적된다. 따라서 정부와 업계, 정치권이 적극적 논의를 통해서 규제 해결 방안을 모색해나가야 한다. 특히 시장 형성 초기 단계에는 가이드라인 수준 정도로 설정해 육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청두, 우한 시장에 대한 선행 조사를 통해 현지 선호도가 높은 아이템 개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청두는 내륙임에도 불구하고 소비력이 매우 뛰어나며, 유행에 민감하고 과시형 소비를 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문화와 미식에도 관심이 많다. 우한은 교통, 문화,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다.
둘째로 창업 지원 서비스 분야의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 청두와 우한에 소재한 인큐베이터의 대부분은 운영 노하우가 부족해 한국의 인큐베이터가 진출해 자문을 해주고, 기업 진출을 지원하는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셋째로 중국에 네트워크를 보유한 지원기관을 활용해야 한다. 데모데이를 통하거나 현지 창업 방안도 있겠으나 스타트업이 중국 전문 인력을 보유하지 못했다면 실행하기 다소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에 본투글로벌, 한화 드림플러스처럼 중국에 특화된 네트워크를 보유한 인큐베이터나 중국에 소재한 지원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 스타트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중에서도 외국기업이 진출하기 어려운 인터넷 사업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를 고민 해봐야 한다.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supporting startups in response to the slowdown in economic growth and the sluggish job market. In its 13th Five-Year Plan (2016-2020), the concepts of Dazhong Chuangye ,which signifies mass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and Chuangke , which translates into “technical makers,” have emerged as main keywords.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incubator spaces called Zhongchuang kongjian,meaning “maker-spaces for the people,” is expanding nationwide.
Following the trend, leading cities for startups such as Beijing, Shenzhen and Shanghai, as well as other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every effort to create a startup eco-system. Among these, Chengdu in Sichuan Province and Wuhan in Hubei Province are gaining attention. In this report, we analyze the changing trends, investment and policy directions for startups in China. We also further analyze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of Chengdu and Wuhan to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cooperation.
The number of China’s startups in 2015 was 4,439,000, rising to the highest ever. The hottest sector for startups was in the area of services, more particularly internet, culture and education services. Startups must overcome very fierce competition for survival, as the percentage of expert-led startups is small and startups are concentrated in similar target sectors. Investment for startups also recorded a historic amount. Along with the collapse of the stock market, unicorn companies have suffered a drop in profitability and investment for startups looks to have shrunk in the first half of 2015. However with vigorous fund exit taking place through the “new third board” OTC (over the counter) market, China remains the second-largest in number of unicorn companies in the world after the United States.
The Chinese government is removing restrictions on company establishment in terms of the process and cost required, also launching a government guidance fund to encourage investment for startups as well as to help startups diversify their funding channels. In addition, it is promoting new start-up spaces (Zhongchuang kongjian), based on the judgment that incubating is an effective means to develop innovative ability and employment.
Meanwhile, the supporting system for startups in Chengdu and Wuhan is building up rapidly, but the software to run this system remains weak and there is a lack of diversity and domain expertise in supporting services. Moreover, the number of experts like management specialists and investors who can mentor the startup teams are fewer than in Eastern cities in China. Therefore, Chengdu and Wuhan show a high demand for skillful and experienced manpower. Finding themselves unable to internally resolve these shortages, they are actively recruiting talent from outside. Thus, Chengdu has established cooperation channels with South Korea, Singapore, the EU (Germany, France), and Wuhan with Taiwan, the USA, UK and others, under various preferential policies.
As a result,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drawn.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vitalize cooperation channels for startups. Both cities have a high potential to develop startup eco-systems, and are willing to cooperate with Korea. Therefore, Korea has to promote the cooperation of the working-level committees and personnel exchange l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or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are the main organizations in charge of startup policies in Korea. It is also necessary to hold regular events to improve the mutual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market understanding, and help companies form a network. Especially, these events should be regularized on an annual basis, in the manner of regular exchange events held between Wuhan and Silicon Valley. The online platform Kechuangtong should be used to share corporate information between Chengdu and Korea as a mutual information channel.
Second, a specialist group needs to be adopted to enhance cooperation with Chengdu and Wuhan as well as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as we see in the case of cooperation between Chengdu and France, which designated management specialists as mentors to mutually support startups on each side. The mutual incubator service has to be a key part of cooperation, but it is preferable to exchange opinions on the operating system through the dispatch of managers.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communicate the opinions of the Korean side in order to carry out effective exchange and cooperation measures and ensure proper operations at Sino-Korea Innovation and Startup Park in Chengdu.
Third, Korea must establish a joint investment platform with Chengdu and Wuhan to support Korean startups which aim at the Chinese market as well as to attract Chinese capital to Korea. In addition, we must be able to grasp the investment trends of both countries and obtain information on local prospective companies. Furthermore, increasing the fund size of Korean venture capital willing to enter the Chinese market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industries.
Fourth, deregulation is necessary to revive domestic business and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startups. Unlike China, Korea applies a positive list system, and there are many regulatory measures such as enforcement ordinances, enforcement regulations, and guides. This has been identified as an obstacle for activ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through business convergence. Therefore, the government, industry, and political circles should conduct active discussions to seek ways to resolve these issues.
Next, the four main implications for businesses are a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tems with high local preference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on Chengdu and Wuhan markets. For example, Chengdu is famous for conspicuous and show-off consumption, and tends to be fashion-conscious in spite of its inland location. The region also shows an interest in culture and gourmet. Wuhan has high demands for transportation, culture, and bio/healthcare services.
Second, the cooperation of support services for startups should be sought. As most incubators located in Chengdu and Wuhan are lacking in operational know-how, Korean incubators could consider entering the market to provide consulting services and supporting the entry of Korean enterprises into the cities.
Third, Korean startups should make use of support organizations with networks in China. There are several ways to enter the Chinese market, such as pitching on Demo Day or setting up a local company in China, but these approaches are difficult to implement without Chinese experts. Thus, receiving assistance from domestic incubators which have specialized networks in China, for instance Born2Global and Hanwha DreamPlus, is recommended.
Finally, it is time to preemptively invest in Chinese startups. In particular, the internet business sector is an area in which investment should be considered, as it poses difficulties for foreign companies to advance into due to Chinese domestic regulation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선행연구 분석
3. 연구의 범위 및 한계
제2장 중국 창업 및 투자 추세
1. 창업 활성화 시기별 특징
2. 창업 현황
3. 창업투자 및 회수시장
제3장 중국 창업 지원정책 및 인프라
1. 지원정책 방향
가. 창업 환경 개선
나. 금융 지원 강화
다. 창업 지원 서비스 개선
2. 창업 지원 공간 유형별 특징
가. 창업 지원 공간 유형
나. 대중창업공간
제4장 협력 유망도시의 창업 생태계 분석
1. 선정기준
2. 청두시
가. 개황
나. 창업 생태계 분석
3. 우한시
가. 개황
나. 창업 생태계 분석
4. 주요 도시와의 비교 및 평가
제5장 평가 및 시사점
1. 평가
2. 정책 시사점
가. 청두, 우한: 창업 협력 채널 구축
나. 청두, 우한: 전문가 그룹 운용 및 인큐베이터 운영 협력 모색
다. 양국 공동 투자 플랫폼 구축
라. 국내 규제 해소와 회수시장 개선 필요
3. 기업 시사점
가. 중국 시장에 대한 선행 조사 필요
나. 창업 지원 서비스 분야 협력 모색
다. 중국 네트워크 보유 지원기관 활용
라. 중국 스타트업에 대한 선제적 투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18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