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GTI 회원국의 무역원활화 현황 및 역내 협력방안 경제협력, 다자간협상

저자 최보영, 선주연, 방호경, 나승권, 이보람, 최유정 발간번호 14-0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4.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11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최근 중국 동북 3성, 러시아 연해주의 발전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이 동북아 지역 내의 주요 지역협력 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 정부로서는 GTI를 통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추진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북한의 나진·선봉 지역 개발 등 통일을 준비하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 연구는 광역두만강 유역의 개발을 위한 한 단계로서 GTI 회원국의 무역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광역두만강 유역의 무역원활화에 대한 기존 연구가 실증분석 등과 같은 정치(精緻)한 분석에 근거를 두지 않은 채 정책제안을 제시해온 반면, 이 보고서는 실증분석과 현지조사 등에 근거하여 정책제안을 도출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최근 GTI 회원국의 역내무역집중도는 아세안 등의 주요 경제권과 달리 감소추세를 보였다. 또한 운송기반시설과 무역원활화 수준은 국토면적이나 인구수에 비해 세계적 수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역내국간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GTR의 경우 이제 시장 주도의 무역이 심화되는 기능적 차원의 경제협력에 맡기기보다 역내국간 무역원활화 조치와 같은 경제협력의 심화를 통해 상호무역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GTI 회원국의 무역원활화 조치가 GTR의 무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 결과, 양국의 무역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자국과 상대국 모두 무역원활화 수준을 함께 개선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책(규제) 관련 변수 중에서는 물류인프라, 통관행정, 물류서비스 역량 순으로, 물류성과 분야에서는 적시성, 국제운송, 물류추적 순으로 GTI 회원국의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GTI 회원국의 교역 장애요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하고자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수행했다. GTI 회원국의 통관절차는 서류준비 및 세관신고-화물심사·검사-관세징수·검사-통관완료·화물 반출입으로 동일하나,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서류의 종류와 수, 그리고 기타 규정 또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몽골과 러시아의 경우 중국과 한국에 비해 관세 및 기타 수수료의 지불방식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GTI 회원국 공통적으로는 통관의 불투명성과 OECD 평균을 상회하는 높은 화물검사 비율이 교역의 주요 장애요인으로 드러났다.
대다수 국가에서 도입되고 있는 통관자동화는 GTI 회원국간 이행수준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류 없는 무역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련 법과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하나, 이의 부재로 인해 이 조치의 불완전한 이행이 수출입업자들의 부담을 오히려 가중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이외에도 사전심사제도는 현재 GTR 역내 무역의 주된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품목분류의 자의적인 해석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으나 몽골에는 아직 도입되지 않고 있었다. 한편 GTI 회원국간 통관 시 높은 화물검사 비율이 역내 무역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있으며, 러시아와 몽골의 경우 위험관리, AEO 제도, AEO MRA 등 역내 통관간소화를 위한 조치 또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이 보고서가 제안하고자 하는 최우선의 협력과제는 적시성 관련 정보의 공표조치 이행으로, 이는 상대적으로 소규모 예산이 소요되면서도 실증분석 결과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개발도상국의 경우는 이 조치 이행을 위한 재원 마련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WTO 무역원활화 이행 신탁기금(TFAF)과의 연계와 한국-몽골 양자 차원의 기금 마련을 통한 지원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두 번째 협력과제는 GTR의 통관협력 이행상황의 주기적인 점검이다. 이를 위해 OECD의 무역원활화 지수를 활용한 평가방식 혹은 APEC의 무역원활화 실행계획의 후속사업인 SCFAP 중간평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GTI 회원국간의 AEO MRA 체결을 중장기적인 과제로 분류하였다. 이는 러시아와 몽골이 아직 WCO 기준에 부합하는 AEO 제도를 갖추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GTI 회원국간의 AEO MRA 체결은 역내 무역원활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중요한 협력과제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한편 실증분석 결과 싱글윈도 구축과 통관 전자화 등의 물류인프라 개선은 GTI 회원국의 교역량에 상대적으로 큰 파급효과가 기대되나 상당한 재원이 소요되므로 중장기 과제로 분류하였다. 이 보고서는 이에 대한 차선책으로 우리나라의 인적자원을 활용한 통관절차 전문 분야의 능력배양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통품목분류체계의 경우 GTI 회원국간의 산업구조와 제도가 상이하여 관세분류코드를 통일하는 작업에 장기간의 조율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ASEAN과 EU의 관세분류코드 조화 사례를 참고하여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The Greater Tumen Initiative (GTI) is an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mechanism with four member countries, all in Northeast Asia: China, Mongolia, Republic of Korea and the Russian Federation. Because of the lackluster performance of the GTI in the past, member countries have shown little interest in actively participating in GTI. Only recently has more attention been directed towards GTI by member countries, as the growth potential of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Northeast provinces of China were realized by policy makers. Korea also has been actively participating in GTI activities as the GTI can be a stepping stone for pushing ahead with the Park administration’s Eurasia Initiative. Furthermore, developing the Greater Tumen Region (GTR)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two Koreas to prepare for eventual unification. Although there exists some studies in trade facilitation in the GTR, little work has been done using empirical methodology along with analysis based on survey results. To our knowledge, our proposal represents the only work using both empirical and descriptive approaches to analyze trade facilitation issues of GTR.
Unlike other economic cooperation mechanisms such as ASEAN or EU, the inter-regional trade concentration ratio has fallen recently, implying that there is room for economic integration in the GTR. Also, we find that some GTI member countries have poor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lack appropriate trade facilitation measures.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of the trade facilitation in the GTR thus highlights the necessity of economic cooperation, to facilitate trade in the region. The empirical result of the proposal implies that trade partners, both the exporting country and the importing country, should improve their trade facilitation measures to fully benefit from trade. We considered a set of policy variables and logistic performance variables that affect the volume of trade of GTI member countries. We find that among the policy variables, logistical infrastructure has the greatest impact on trade, followed by custom procedures and logistics service capacity. Among logistic performance variables, timeliness has the most impact on trade, followed by international shipments and tracking and tracing.  
We complement our empirical analysis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customs and traders working in the GTR. The 4-steps custom procedures are common to the member countries; document preparation & custom declaration, physical inspection, duty collection, out approval. However, required documents and other regulations for each step varied among the GTI member countries. For instance, the e-payment system is not fully implemented in the Russian Federation and Mongolia while Korea and China allow duty payments through the Internet. GTI member countries also had issues in common regarding custom transparency and high levels of physical inspection rates, hampering the efficient movements of cross-border trade.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trade facilitation measures varied in many aspects. Korea was the only country to fully implement paperless trade. Other countries have partially introduced paperless trade, but for some countries the partial implementation has actually become burdensome to traders as the legal framework has not changed accordingly. Advance ruling is a measure that could help prevent disputes of classification and issues related to valuation, but Mongolia has yet to introduce such a policy. Also, even though risk management, AEO and AEO MRA are recommended for countries with high physical inspection rates, these trade facilitation measures were also not fully implemented for some countries.
Based on our analysis, we propose short-term and long-term goals for trade facilitation in the GTR. Publication of laws, regulations and procedures is pointed out as our top priorities and objectives, as it relates to timeliness which has been verifi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GTI countries’ trade among logistics performance measures. We also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securing the funds to obtain this goal. For trade capacity building in Mongolia, we may consider utilizing the WTO TFAF or using a bilateral aid fund from Korea. The second short-term goal we propose is to evaluate regularly the non-tariff policy measures of GTI countries using either the OECD trade facilitation index or following the APEC Supply-chain Connectivity Framework Action Plan.
The following goals are classified as long term. As Russia and Mongolia lacks the AEO system consistent with WCO, only after these countries have fully implemented the AEO program could we expect to conclude AEO MRAs with all GTI member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pilot study of the Korea-China AEO MRA prove that the completion of AEO MRAs of all GTI member countries could contribute to trade facilitation in the GTR significantly. Although a significant impact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Single Window in GTR trade facilitation is expected based on our empirical study, securing the considerable amount of funds required to complete this task may not be easy. Thus, as a second-best plan, we propose to support the developing countries of GTI in the form of sharing knowledge for ICT and custom automation. Lastly, we als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common classification system at a disaggregate level. As the classification is based on domestic industry and involves politics, unifying the system may take time. However, as we know that the common classification of ASEAN and EU has contributed to trade facilitation in the region, starting a discussion on this issue may be meaningful in the long run.

서언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범위와 구성
 
Ⅱ. GTR 역내무역 현황 및 무역원활화 수준
1. 역내무역 현황 
가. 대외교역 및 주요 교역대상국 
나. 역내무역 
2. GTR 각국의 무역원활화 수준 
3. GTR 국가의 무역원활화와 무역 간 상관관계 분석 
가. 실증분석 관련 기존 연구 
나. 실증분석 모형 및 자료 
다. 분석 결과 
4. 소결
 
Ⅲ. GTI 회원국의 통관절차와 역내교역의 장애요인 분석
1. 통관단계별 효율성 
2. 통관절차상의 특징 
3. 통관 투명성 
4. 통과(transit)의 문제 
5. 무역원활화 조치 현황 
가. 통관 자동화와 서류 없는 무역 
나. 위험관리제도 
다. AEO 제도 
라. 사전 심사제도(Advance Rulings) 
6. 소결 


Ⅳ. 정책 제언 
1. 정보의 공표 조치 이행 
가. WTO 무역원활화 이행 신탁기금(TFAF)과 연결 가능성 확인
나. 한국-몽골 양자 차원의 기금 지원 
2. 각국의 AEO 제도 정비 및 MRA 체결 
가. 단기 계획 
나. 중장기 계획: 회원국간 AEO MRA(상호인정협약) 체결 
3. 물류인프라 개선방안 
가. GTI 회원국 내 싱글윈도(National Single Window) 구축 
나. 인적자원 활용: 통관절차 전문 분야 능력배양 훈련 프로그램 실시 
4. GTI 공통품목분류체계 구축 
5. GTR 통관 협력방안 이행 점검 
가. GTR 무역원활화 조치의 이행 평가 
나. GTI 사업에 대한 정부 및 민간, 국제사회의 관심과 참여 유도
 
V. 결론 
1. 요약  
2.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중요성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5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