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동남아 주요국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경제협력, 노동시장

저자 곽성일, 배찬권, 정재완, 이재호, 신민이 발간번호 14-1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4.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75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노동환경 변화가 심화할 경우 기업의 대응전략을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73.3%가 제3국이나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보다는 생산성 향상 등 자구책을 통한 ‘현지화’로 극복하겠다고 답했다. 기업이 이전보다 현지화를 선택한 이유는 임금과 같은 가변비용의 증가가 이전에 따른 고정비용의 증가보다 낮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인근의 이전 후보지로 고려되는 국가들도 노동시장 환경이 유사하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임금 자체보다는 임금상승 속도에 기업들이 주목했다는 점과, 앞서 수행한 신규투자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에서 생산비용 상승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동남아가 노동집약적 생산공정의 입지로 선택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업들이 현지화를 택한 것은 위의 두 가지 설명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우리 진출기업은 여전히 동남아를 투자할 가치가 있는 곳으로 여기는 것이다.
제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동남아 노동환경의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최근 동남아에서 진행 중인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가 우리 진출기업의 활동에 일정 부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지만, 그 영향 정도는 산업별ㆍ기술수준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동남아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충격을 받고 있는 우리 진출기업에 대한 지원도 그 영향 정도에 따라 차이를 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해외진출기업 지원정책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초도진출 지원에 집중되어 있었고, 기업의 산업별ㆍ기술수준별로 차이를 두고 있지도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정부가 해외진출기업 지원의 적용범위 확대와 산업별ㆍ기술수준별로 차별화된 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글로벌 가치사슬이 확대되면서 국내에 남아 있는 기업과 이미 진출해 있는 기업 간 생산분업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므로, 동남아에 이미 진출한 우리 기업에 대한 지원도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해외에 위치한 기업이 국내생산과정을 상대적으로 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바가 제한적일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국내 생산성과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하므로, 지원에 앞서 산업별ㆍ기술수준별로 그 효과를 미리 식별하고 선별적으로 지원한다면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정책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and causes of the major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in Southeast Asia, while also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serves as a starting point for this analysis, because the flow of FDI, we believe,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hanging conditions in the labor market. In addition, we have explored whether the investment decisions of Korean firms are affected by the changes in the labor markets in the area, through both empirical analysis and a corporate survey on their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changes. We find that Korean firms, particularly,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mainly focus on localization at the management level. Furthermore,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proposed better ways to support the Korean firms operating in Southeast Asian markets.
In chapter 2, we have listed the causes of labor market changes in Southeast Asia. First, as increases in income made workers in the region to devote greater attention to democracy and human rights, the government could not ignore the workers' demands for higher pay and better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governments in the region have recognized that high external dependence may hinder sustainable developmen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ince the governments are aware of the necessities of expansion of domestic markets to avoid the risk, they have become noticeably pro-worker in terms of their labor policies. In addition, populist political activities also led to pro-worker policies. Since the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can reflect the needs of both the governments and their workers, in sum, we conclude that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s will continue to occur for some time.
In chapter 3,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structure in Southeast Asia as to labor supply and demand aspects. The features of labor supply in the reg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area exhibits a relatively high population growth rate as well as a high proportion of youth among the entire population. Second,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is expected to improve. In Vietnam, Indonesia, and Cambodia, where Korean corporations have been relatively active expanding their busines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we have observed a rapid increase in the enrollment rate in tertiary education. Third, if the ASEAN Economic Community succeeds in its plan, skilled workers can migrate more freely within the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demand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wo sentences. First, the structure of labor demand is becoming diversified in Southeast Asia. Second, we find that economic growth creates a number of jobs in the area through the elasticity of employment. In addition, comparing the wages of white-collar and blue-collar workers, we find that the white collar workers receive more wages than blue-collar workers across all countries. However, we could not confirm whether these wage differences are attributable to individual capabilities, due to limitations in the data.
In chapter 4, two analyses were carried out. First, we empirically analyze the Korean enterprises' determinan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Southeast Asia. Moreover, we investigate how they respond to the current changes in labor market environments through a corporate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empirical analysis, Korean firms continue to choose these areas as bases for labor intensive production process, despite the increase of local production costs such as labor cost. This result accords with survey results that the firms already working in these areas will not move, either back to Korea or to other countries. Interestingly, 57.3% of the companies responding to the survey answered that they overcame the recent wage increase through increase in productivity. Furthermore, where the labor market conditions are worsening, 73.3% of firms chose a localization strategy, such as productivity increases, to surmount the difficulties, rather than moving to other countries. The reason for these interesting results can be shown in the following two sentences. Firstly, the increase in variable costs currently being experienced is less than the increase in the fixed cost of relocation of production facilities. Secondly, countries that are generally considered as alternative locations, such as Myanmar, have also experienced similar changes in labor market environment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we believe that Southeast Asia still has potential for the inflow of FDI from Korean firms. Ongoing changes in labor market conditions in Southeast Asia are likely to have an adverse impact on Korean firms operating there, though the extent of the impact will differ across industries and technology levels. In chapter 5, therefore, we suggest that business support policies in overseas markets should widen the scope of their application, because current support policies tend to focus on supporting only the initial advances. Hence, for firms already operating in Southeast Asia to successfully expand their market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vide additional support measures for localization of these firms. Of course, since the companies located abroad do not use the domestic production process, the additional support of the firms located abroad may reduce the creation of domestic jobs. However, given the existence of previous research indicating that Korean firms' OFDI can positively affect domestic productivity and employmen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identify the impact of additional support by industry.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3. 연구 방법 및 구성 


제2장 동남아 노동시장의 환경 변화와 시사점 
1. 해외직접투자(FDI)의 유입과 동남아의 경제성장 
   가. 한국의 대동남아 해외직접투자 현황 
   나. FDI 유입과 동남아 국가의 경제성장 
2. 동남아 각국의 노동 정책 및 제도 변화 
   가. 노동정책의 변화 배경 
   나. 법정 최저임금 도입 및 급격한 인상 
   다. 기타 노동 관련 제도 변화 
3. 동남아 주요국의 노사분규 발생 추이와 분쟁해결제도 
   가. 노사분규 발생 추이와 특징 
   나. 노동분쟁해결제도 
4. 소결 


제3장 동남아 노동시장구조의 특징 분석 
1. 동남아 노동 공급의 특징 
   가. 높은 인구증가율과 청년층 비중  
   나. 역내 국별 인구 비중의 미약한 변화 
   다. 인적자원의 질적 개선 
   라. 아세안 역내 인력이동의 자유화 가능성 증가 
2. 동남아 노동 수요의 특징 
   가. 노동 수요구조의 다각화 
   나. 고용탄력성의 증가 
   다. 노동생산성의 완만한 증가 
3. 동남아 주요국의 임금 동향 및 특징 
   가. 평균 임금의 급속한 상승 
   나. 사무직과 생산직 간 임금격차 
   다.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 임금격차 
4. 소결 


제4장 노동환경 변화와 한국기업의 대응 분석 
1. 동남아 노동시장 환경 변화가 한국의 대동남아 투자에 미치는 영향분석 
   가.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나. 분석모형 
   다. 데이터 
   라. 실증분석결과 
2. 노동환경 변화에 대한 한국기업의 대응전략과 평가 
   가. 설문조사 개요 
   나. 동남아 노동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원인분석 
   다. 노동환경 변화에 따른 애로사항과 현재까지의 대응전략 
   라. 향후 대응전략: 현지화 전략 
3. 소결 


제5장 동남아 노동환경 변화와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1. 동남아 노동시장 환경 변화와 기업의 대응전략 
2. 성공적 진출을 위한 기업의 현지화 전략과 한국정부의 지원전략 
   가. 기업의 현지화 전략에 대한 시사점 
   나. 정부의 현지화 지원전략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2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중국 고용시스템과 일자리 정책 2023-12-29 중국종합연구 디지털 전환 시대 한중 청년여성들의 ‘일’과 ‘가족형성’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