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 전략 연구: 중견국 전략의 사례와 EEU가 한국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경제협력, 다자간협상

저자 박상남, 김선탁, 이지은, 박상준 발간번호 14-1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4.12.12

원문보기(다운로드:3,195)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의 핵심 목표는 한국외교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성공은 물론 남북분단을 뛰어넘어 국제적 차원의 리더십을 확보하고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통해 장기적인 국익을 지속적으로 실현해나가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 대안으로 한국이 중견국가의 길을 가야 한다고 제안하고자 한다. 현 정부가 주요 대외정책 중의 하나로 표방하고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한국이 중견국가의 길을 걷지 않고는 원천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정책이기 때문이다. 거대한 유라시아 대륙을 하나의 시장과 교류의 공간으로 묶어내기 위해서는 수많은 국가의 이해와 갈등을 조정하고 국가간 연대를 이끌어내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국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 공동 번영을 위한 명분과 의제를 선제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추진해나가는 중견국가로서의 일관된 의지와 행동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한국이 여타 국가들의 동의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국제적 리더십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공허한 메아리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가 생명력을 갖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이익보다는 중․장기적인 대의와 명분을 추구하고, 어느 한쪽에 편중되지 않는 중립성과 균형감 있는 행동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모든 국가가 공평하게 이익을 볼 수 있는 의제와 정책들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현재 제시되고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구호만 있을 뿐 구체적인 내용과 정책이 부족하며, 무엇보다도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한국이 어떤 자격을 갖추어야 하며 대내외적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단기적 선언으로 끝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한국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추진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를 모색해보는 것이다. 그 대안으로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방향은 바로 한국이 중견국가의 길을 담대하게 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남북분단을 뛰어넘어 국제적 차원의 리더십을 확보하고 여타 국가들과의 연대를 통해 장기적인 국익을 지속적으로 실현해나가기 위해서도 꼭 필요한 방향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한국이 중견국가의 길을 가도록 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 질문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이 추구해야 할 중견국가의 개념과 특성은 무엇이고, 그 유형은 어떠한가? 한국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성공을 위해 협력해야 할 유라시아 대륙의 주요 거점 중견국인 터키와 카자흐스탄은 어떠한 중견국가의 길을 가고 있는가? 이러한 이론과 유형, 사례들이 한국에 주는 정책적 함의는 무엇인가? 한국이 경제적․제도적 균형과 협력루트의 다원화를 통해 중견국가의 길을 가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유라시아경제연합(EEU)이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부족하나마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여기서 터키와 카자흐스탄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양국이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국가이기 때문이다. 터키와 카자흐스탄은 한국과 같이 유라시아 대륙의 지정학적 요충지에 위치해 있고, 가장 적극적으로 중견국가를 지향하고 있으며, 강대국들의 이해가 첨예하게 만나는 지역인 동시에 유라시아 대륙의 물류,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핵심 거점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터키와 카자흐스탄은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매개자를 자임하고 있어 유라시아 대륙의 연대와 소통에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양국과 한국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이다. 또한 본 연구가 EEU에 주목하는 것은 이 경제협력체가 한국이 유라시아 대륙에서 경제적․제도적 균형과 협력루트의 다원화를 통해 중견국가의 길을 가기 위한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EEU 참여국가들과 한국은 산업구조적으로 상호보완적일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EU와의 경제권 통합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정책적으로 호응하는 측면이 적지 않다. 이와 같이 다양한 중견국가의 사례와 EEU에 대한 분석은 한국이 국제적 신뢰와 리더십 확립, 다양한 외교적 옵션 확장, 경제적․제도적 세력균형을 이루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보안이 필요함을 제시해주고 있다.
첫째, 중견국가의 자격에는 물리적 조건뿐만이 아니라 국제평화와 공동발전을 위한 일관된 의지와 정책의 실천이 더욱 중요하다는 점이다. 한국은 그동안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외형적 조건은 충족되었지만 일관된 의지와 실천이라는 면에서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한국은 중장기적 외교정책의 지향점과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관된 정책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터키와 카자흐스탄은 한국과 같이 강대국들의 첨예한 세력경쟁이 벌어지는 지역에 위치해 있고 상대적으로 국력이 열세에 있으면서도 중견국으로서 일관된 의지와 정책을 실천함으로써 지정학적 열세를 오히려 강점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둘째, 터키와 카자흐스탄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중견국가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자국의 정체성과 국제적 사명감을 뒷받침하는 사상적 배경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은 중․장기적으로 대외정책의 방향을 결정할 국가적 정체성과 철학적 배경에 대한 재정립과 국내적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정권에 따라 대외정책에 부침이 있고,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에 한계를 보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외교의 가치와 철학적 담론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개별국가의 진정한 힘은 소프트파워를 통한 외교전략에서 창출된다. 터키의 경우 자국의 역사․문화적인 자산을 활용하여 다양한 차원에서 중견국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 역시 수많은 역사․문화적 자산을 가진 국가이며 현대의 한류는 유라시아 대륙 국가들에서 통할 만큼 보편성이 있다. 그러나 외교정책 차원에서 이러한 자산을 전략자원화하여 정교하게 활용하는 데는 아직 부족하다. 따라서 다양한 역사적․문화적 자산을 활용한 다각적이고 보다 정교한 소프트파워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넷째, 창의적이고 독자적인 의제를 선제적으로 개발, 제안하는 틈새외교에서 길을 찾아야 한다. 최근 들어 한국 역시 다양한 틈새외교와 정책개발을 선도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더욱 확고한 신뢰와 리더십을 인정받는 중견국가로 부상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정책개발과 의제설정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주변 강대국들에 가려 있던 터키와 카자흐스탄의 존재감이 부상하게 한 요인 역시 바로 이러한 틈새외교와 의제의 적극 개발에 있었다.
다섯째, 현실적 이해와 이상주의가 결합된 기여외교를 바탕으로 양자, 다자주의를 결합한 스마트한 외교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 한국보다 경제력이 부족한 터키가 일찍이 지구촌의 빈곤 문제를 의제로 들고 나와 다자, 양자 관계를 통해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면서 신뢰와 리더십을 확보한 사례에 주목해야 한다. 최근 한국도 ODA를 비롯하여 국제사회에서 적극적인 기여외교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너무 양자관계에 편중되어 있고 한국만의 독창적인 의제개발 없이 선진국을 따라 하고 있다는 점은 보완해야 할 점이다. 따라서 한국은 국제사회의 동의와 호응을 이끌어낼 의제를 개발하고 이를 양자, 다자적 접근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개도국의 환경 문제라든지 지구촌의 의료, 교육 시설의 현대화 등 한국의 기여외교를 상징할 수 있는 의제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ODA 정책도 이러한 창의적인 의제개발 없이 선진국을 따라 하기만 한다면 돈을 쓰고도 별다른 특징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는 사업이 될 가능성이 크다.
여섯째, 주변 강대국과 협력하면서도 독자적인 길을 모색함으로써 독립적인 국제적 행위자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신뢰를 쌓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터키, 카자흐스탄과 같이 한국도 미국의 동맹국이자 동아시아와 유라시아 대륙에서 독자성을 지닌 행위자라는 이미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유라시아 대륙을 향한 한국의 중견국 외교의 다자적 접근방안 중 하나로 EEU가 주는 의미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한국이 경제적 세력균형을 통해 날로 심화하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주도하기 위해서도 EEU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물론 EEU의 성패와 관련하여 다양한 논의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그 성패와 관련 없이 유라시아 대륙을 관통하는 자원부국인 구소련권 국가들과의 다자, 양자 협력은 물류망과 자원은 물론 지정․지경학적 차원에서도 한국에 많은 기회가 될 가능성이 있다. 카자흐스탄, 러시아, 우즈베키스탄의 외교관과 전문가들은 비공식적 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EEU 참여에 긍정적인 견해를 보인 바 있다.
이상과 같이 주요 중견국가들의 사례 연구가 주는 정책적 함의를 어떻게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에 반영하느냐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독자적인 영향력과 리더십을 구축할 수 있는지가 결정될 것이다.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바는 바로 이러한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을 국제사회 차원에서 현실화하는 방안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전략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각적인 차원에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다른 연구주제와의 중복성을 피하고 논의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는 중견국가 이론과 새로운 중견국으로 부상 중인 터키와 카자흐스탄의 사례가 주는 함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의 협력대상으로서 EEU를 검토해보는 것으로 연구범위를 제한했다. 아울러 관점에 따라서 5장의 EEU에 대한 분석은 다른 장과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을 모색하는 데는 다양한 협력대상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EEU만을 다룬 것은 역시 어색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새롭게 태동을 준비하는 EEU의 잠재적 회원국들이 한국과 상호보완적인 산업구조일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도 유라시아 대륙을 관통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의 유라시아 협력에 새로운 기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제한적이나마 이를 포함시켰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solution concerning “What does Korean diplomacy have to prepare for not only success of ‘Eurasia initiative’ but also realizing a long-range national interest constantly by collaborating with an international society, and by securing international leadership beyond the national division between two Koreas. This project, as its alternative, proposes that Korea must pursue to be “Middle power” itself. This is because “Eurasia initiative”, which the present government advocates it as one of the main foreign policies, may not be realized unless Korea becomes “Middle power”. For the purpose of integrating the Eurasia Continent into a united market and communication space among themselves, it is required to draw solidarity between countries while harmonizing interests and conflicts from a myriad of counties.
To do so, Korea must show a coherent action and intention as Middle power, and suggest a justification and agenda for the sake of international peace, stability and common prosperity. Without this kind of gradual process, Eurasia initiative is not likely to be accomplished by gathering international agreement and participation on it. Korea ought to endeavor proposing agenda and policy that all countries in the Eurasia continent could benefit equally from having no biased impartiality and sense of balance in order to vitalize Eurasia initiative.
Unfortunately, however, proposed present Eurasia initiative has only slogan rather than a concrete policy and content. Additionally, Korea does not suggest what qualification and condition they have to prepare for in order to attain i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f Korea can’t overcome such a limit, there would be less feasibility to realize it such as “Equal diplomacy” or “New Asia diplomacy” which was already proved failed one and ended up with short diplomatic declaration in the former governments.
This study covered what Korea has to make preparations so as to surmount this sort of limits which Korea already faces. Thus this study suggests Korea must be Middle power and there wouldn’t way to alternate it.
Ultimately, this study would explain the questions below in an attempt to overwhelm the limit that mentioned above and to alter Korea into Middle power.
First of all, what characteristics and concept of Middle power does Korea have to seek in the future? What kind of Middle power will Korea be according to various contents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What policy implication does the example of Turkey and Kazakhstan where are already Middle powers positioned at strongpoint of the Eurasia continent give Korea to bring Eurasia initiative to a successful issue? What does Eurasian Economic Union (EEU) mean for us as one of alternatives that Korea would become Middle power through diversifying cooperative routes and balancing economically and systematically?
The reason why this study selected Turkey and Kazakhstan is that both countries are considerably crucial parts of Eurasian cooperative strategy of Korea. Both countries are located in geopolitical strongpoint such as Korea, and they seek to be Middle powers actively. Also they are on the strategic point where the interests of great powers cross over and at the same time logistics and communications network of Eurasia. In addition, they advocate being in charge of mediators to connect between Europe and Asia. Hence that means they could take a role in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across the Eurasia continent, and they could be regarded as cooperators of Korea.
Furthermore, the reason why this study focused on EEU is that this organization is likely to provide Korea with alternatives, which could lead Korea into Middle power in the future. Also with the fact that the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Korea and participant countries in EEU is complimentary and they declare to integrate economic zone across the Eurasian continent, this study would consider they have mutual interest with Korean policy purpose of Eurasia initiative. The analysis about examples of a variety of Middle powers and EEU proposes that Korea is necessary for policy supplement below in order to establish international credibility, international leadership, broadening various diplomatic options and economic & systematic balance.
First of all, the qualification of being Middle powers requires not only physical condition but also coherent policy for international peace and common prosperity. However, Korea cannot be recognized as credibility and leadership of true Middle power because Korea still lacks of constant practice but they fulfilled external condition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a long time.
Second, the ideological background backing national identity and sense of duty is necessary to be Middle power. But Korea still doesn’t have domestic agreement and reestablishment regarding to national identity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to determine the midterm and long-term way. Thus there have been cases which showed limits of coherent policy and durability in accordance with a number of governments on foreign policy.
Third, the true powers of each country derive from diplomatic strategy through soft power. Korea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power that propagates Hallyu and has a wide range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However, in terms of foreign policy, they need to supplement more exquisite strategy of soft power.
Fourth, Korea must find their way in the niche diplomacy suggesting and developing creative and independent agenda. Recently, Korea also proposes a variety of the niche diplomacy and policy development vigorously. But in an attempt to be recognized as Middle power having an international leadership, more systematic and active improvement of policy and agenda setting are necessary for Korea.
Fifth, Smart diplomatic strategy combined between bilateral and multilateral relationship must be established with contribution diplomacy united between practical understanding and idealism. Korea carries out dynamic contribution diplomacy as well. But the problem on it is that current foreign policy is biased to bilateral relationship so much. Thus they need to enhance more multilateral approach than present.
Sixth, Korea is required to analyze the meaning of EEU as one of multilateral approaches’ solutions of Middle power towards the Eurasian continent. Effective action regarding to EEU is necessary to lead Eurasia initiative, and to diminish reliance to Chinese economy and balance economic influence. A great deal of experts and diplomats from Kazakhstan, Russia and Uzbekistan showed their optimistic opinions of Korean participation in EEU via unofficial interviews.
Seventh, building an image of independent international power and accumulating confidence through cooperation with near strong powers and pursuit of independent way are significantly essential. Korea also needs to enhance an image of independent power that is an alliance with U.S simultaneously.
Finally, both the success of Eurasia initiative and the feasibility that Korea could build its own independent leadership and influence in international society might be determined by whether Korea applies policy implication given by aforementioned examples of major middle powers to the strategy of Middle power.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다자주의 협력하에서의 중견국가 이니셔티브에 관한 고찰 
1. 서론 
2. 중견국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3. 다자주의와 중견국가의 이니셔티브: 현실주의적 외교와 이상주의적 외교 사이에서 
4. 중견국가의 유형분석 
가. 전통적 중견국가 
나. 새롭게 부상한 중견국가 
5. 소결: 한국에 주는 함의
 
제3장 탈냉전기 터키의 중견국 외교정책 
1. 터키의 대외정책 변화과정과 중견국가 조건 
가. 대외정책의 변화과정과 중견국가 의지 
나. 중견국가의 물리적 조건 
2. 중견국 전략과 다자주의 
가. ‘갈등제로’ 정책(Zero-problem Policy) 
나. 다자주의 확장 
3. 소프트파워 정책과 양자관계 
4. 소결 


제4장 역내 중견국으로 부상한 카자흐스탄의 외교정책 
1. 카자흐스탄의 대외정책 변화과정과 중견국가 조건 
가. 중견국가 의지와 전방위외교 
나. 중견국가의 물리적 조건 
2. 중견국 전략과 다자주의 
가. 상하이협력기구(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나. 아시아 교류 및 신뢰구축 회의 (CICA: Conference on Interaction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Asia) 
다.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 
라.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마. 유라시아경제공동체(EurAsEC: Eurasian Economic Community) 
바. 유라시아관세동맹(ECU: Eurasian Customs Union), 유라시아경제연합(EEI: Eurasian Economic Union) 
사.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아. 튀르크 위원회(Turkic Council and TURKSOY) 
자. 이슬람협력기구(OIC: The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차. 국제연합(UN: United Nation) 
3. 강대국 외교와 양자관계 
가. 강대국 외교정책 
나. 중앙아시아, 이슬람권, 아프리카 외교정책 
4. 소결 


제5장 ‘유라시아경제연합’이 한국의 중견국가 전략에 주는 함의 
1. 러시아의 유라시아 경제통합의 배경과 전략 
2. 유라시아경제연합(EEU)의 가능성과 한계 
3. 경제적 관점에서 한국과 관세동맹(CU)의 협력효과 
가. 한국과 3국 관세동맹의 수출입 추이 
나. 유라시아 경제통합과 한국의 경제협력 
4. 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 중견국가의 자격 
2. 중견국가로 나아가기 위한 사상적 배경의 필요성 
3. 소프트파워를 통한 외교전략 
4. 틈새외교전략(Niche diplomatic strategy) 
5. 기여외교와 다자주의를 결합한 외교전략 수립 
6. 독립적인 국제행위자로서의 이미지 구축 
7. EEU에 대한 적극적 대응의 필요성: 유라시아 대륙 외교를 위한 방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0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기후클럽 형성에 대한 통상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