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중국의 대외개방정책에서 중핵적 역할을 했다고 하는 경제특구 전략을 평가하고 그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국 경제특구의 향후 발전 방향을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평가와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특구 지역에 투자하고 있거나 앞으로 진출하려고 하는 한국의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도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This paper focuses on assessing the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that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China's foreign open policy since the 1980s, suggesting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hereafter.
Together, through such analyses, some useful strategies and devices are offered for Korean companies hoping to enter China's domestic market.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will expl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Section 2 and 3 will analyze the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in connection with foreign open policy by characteristic. Section 4 will assess the strategy of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and its result. Section 5 will review the Chi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Section 6 will deal with Korean companies entering China's domestic market. Finally, Section 7 will summarize the situation and present Korea's strategy for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Together, through such analyses, some useful strategies and devices are offered for Korean companies hoping to enter China's domestic market.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will expl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Section 2 and 3 will analyze the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in connection with foreign open policy by characteristic. Section 4 will assess the strategy of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and its result. Section 5 will review the Chi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Section 6 will deal with Korean companies entering China's domestic market. Finally, Section 7 will summarize the situation and present Korea's strategy for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의 대외개방화 정책의 전개
제1절 대외개방정책의 배경
제2절 대외개방화의 전개과정
제3절 연안개방화정책의 목표
제3장 중국 경제특구의 의의와 성격
제1절 경제특구의 전략적 의의
제2절 경제특구의 체제적 성격
제3절 경제특구의 지역경제적 성격
제4장 중국 경제특구 전략 성과의 평가
제1절 總量的 성과분석
제2절 外引內聯 전략의 성과
제3절 체제개혁실험 전략의 성과
제5장 중국 경제특구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와 전망
제1절 외국인투자유치제도
제2절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
제6장 한국 기업의 중국 경제특구 진출과 대응
제1절 한국 기업의 특구진출 상황과 전망
제2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에 대한 인식전환의 필요성
제3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 활용전략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2장 중국의 대외개방화 정책의 전개
제1절 대외개방정책의 배경
제2절 대외개방화의 전개과정
제3절 연안개방화정책의 목표
제3장 중국 경제특구의 의의와 성격
제1절 경제특구의 전략적 의의
제2절 경제특구의 체제적 성격
제3절 경제특구의 지역경제적 성격
제4장 중국 경제특구 전략 성과의 평가
제1절 總量的 성과분석
제2절 外引內聯 전략의 성과
제3절 체제개혁실험 전략의 성과
제5장 중국 경제특구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와 전망
제1절 외국인투자유치제도
제2절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
제6장 한국 기업의 중국 경제특구 진출과 대응
제1절 한국 기업의 특구진출 상황과 전망
제2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에 대한 인식전환의 필요성
제3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 활용전략
제7장 요약 및 결론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Working paper
A Theoretical Approach to Evaluating Global Vaccination Plans
2021-03-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2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