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중국의 대외개방정책에서 중핵적 역할을 했다고 하는 경제특구 전략을 평가하고 그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중국 경제특구의 향후 발전 방향을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평가와 분석을 통하여 중국의 특구 지역에 투자하고 있거나 앞으로 진출하려고 하는 한국의 기업들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도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This paper focuses on assessing the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that have played a central role in China's foreign open policy since the 1980s, suggesting som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hereafter.
Together, through such analyses, some useful strategies and devices are offered for Korean companies hoping to enter China's domestic market.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will expl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Section 2 and 3 will analyze the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in connection with foreign open policy by characteristic. Section 4 will assess the strategy of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and its result. Section 5 will review the Chi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Section 6 will deal with Korean companies entering China's domestic market. Finally, Section 7 will summarize the situation and present Korea's strategy for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Together, through such analyses, some useful strategies and devices are offered for Korean companies hoping to enter China's domestic market.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1 will expl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Section 2 and 3 will analyze the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in connection with foreign open policy by characteristic. Section 4 will assess the strategy of Chinese special economic zones and its result. Section 5 will review the Chinese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Section 6 will deal with Korean companies entering China's domestic market. Finally, Section 7 will summarize the situation and present Korea's strategy for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의 대외개방화 정책의 전개
제1절 대외개방정책의 배경
제2절 대외개방화의 전개과정
제3절 연안개방화정책의 목표
제3장 중국 경제특구의 의의와 성격
제1절 경제특구의 전략적 의의
제2절 경제특구의 체제적 성격
제3절 경제특구의 지역경제적 성격
제4장 중국 경제특구 전략 성과의 평가
제1절 總量的 성과분석
제2절 外引內聯 전략의 성과
제3절 체제개혁실험 전략의 성과
제5장 중국 경제특구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와 전망
제1절 외국인투자유치제도
제2절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
제6장 한국 기업의 중국 경제특구 진출과 대응
제1절 한국 기업의 특구진출 상황과 전망
제2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에 대한 인식전환의 필요성
제3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 활용전략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2장 중국의 대외개방화 정책의 전개
제1절 대외개방정책의 배경
제2절 대외개방화의 전개과정
제3절 연안개방화정책의 목표
제3장 중국 경제특구의 의의와 성격
제1절 경제특구의 전략적 의의
제2절 경제특구의 체제적 성격
제3절 경제특구의 지역경제적 성격
제4장 중국 경제특구 전략 성과의 평가
제1절 總量的 성과분석
제2절 外引內聯 전략의 성과
제3절 체제개혁실험 전략의 성과
제5장 중국 경제특구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와 전망
제1절 외국인투자유치제도
제2절 외국인투자환경의 평가
제6장 한국 기업의 중국 경제특구 진출과 대응
제1절 한국 기업의 특구진출 상황과 전망
제2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에 대한 인식전환의 필요성
제3절 한국 기업의 중국특구 활용전략
제7장 요약 및 결론
판매정보
분량/크기 | 20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ODA 정책연구
Research on Household Consumption Patter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India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2
2024-12-31
중국종합연구
대전환기의 대중국 전략 연구1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인프라 정책 및 수요 분석과 한·인도 협력방안: 개발협력을 중심으로
2024-12-31
연구자료
홍해 위기가 우리 경제에 미친 영향과 물류 회랑 다변화에의 시사점
2025-05-27
기타
2024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5-04-30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