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석유. 가스 수송체계 에너지산업

저자 서승원 발간번호 97-0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7.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3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러시아의 석유·가스산업은 GDP의 17%, 총수출의 46%의 비중을 점할 정도로 基幹産業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 外貨獲得源으로서 역할하고 있다. 따라서 러시아 정부는 석유·가스산업에 대한 세제 및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對外輸出與件을 점차적으로 개선하는 등 석유·가스의 생산증대 및 수출확대라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목표는 러시아 경제가 안고 있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로 인해 기대했던 만큼의 열매를 맺지 못하였다.

러시아의 석유·가스생산이 전반적인 경제악화와 함께 자본 및 기술의 부족, 외국기업의 진출 미흡 등으로 인해 1996년까지 계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여 왔다면 석유·가스의 수출은 이미 飽和狀態에 다다른 파이프라인 및 항구의 수용능력, 날로 급증하고 있는 輸送費用, 노후화된 수송인프라, 정부의 규제 등 주로 석유·가스수송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諸般問題로 인해 지지부진하였다. 이에 따라 러시아 정부는 석유·가스의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수송능력의 제고가 선결과제라는 점을 인식하고, 파이프라인, 석유터미널, 유조선 등 수송인프라의 확충 및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財源 및 기술 부족, 각 지방정부와 석유회사들간의 利害相衝 등으로 인해 제대로 진척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석유·가스의 수송문제는 결국 외국기업들의 對러 석유·가스부문 진출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고, 이는 다시 러시아 석유·가스산업의 생산회복을 더디게 하고 있다.

本 資料論文은 상기와 같이 러시아의 석유·가스수출을 가로막고 있는 수송메카니즘의 구조와 문제보수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의 석유·가스 輸出現況을 고찰하고 석유·가스 輸出政策의 변화 및 석유·가스 수송체계의 정비과정과 현재의 수송루트, 그리고 현재 추진중인 주요 수송개발 프로젝트는 파이프라인 利用權의 할당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추진중이거나 추진을 모색중인 韓·러간 에너지자원 개발사업의 실현여부와 이를 통한 우리의 러시아産 석유·가스 輸入可能性 등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Oil and Gas Transportation System in Russia Seungweon Suh Russia hosts the world's largest production of natural gas and third largest production of crude oil. Accordingly, Russia's export of these natural resources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world energy market. Driven by higher market prices abroad than back home, Russian government and business sector have also taken a keen interest in exporting their oil & gas resources.

However, Russia's oil & gas exports have not expanded according to expectations. This has been due to various transportation related problems, including limited capacity of pipelines and ports, a rapid increase in transportation costs and worn-out infrastructure. Although the Russian government and foreign companies are trying to improve transportation capacity of oil & gas, they have run into snags such as limited funds and conflict of interests.

Korea, highly dependent on foreign natural energy resources, has inherent interest in diversifying its oil & gas import routes. From this viewpoint, Korea needs to secure access to Russia's energy supply in order to satisfy and stabilize demand over the long-run.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oil & gas transportation system of Russia, and based on this, offers suggestions as to how the Korean government and business sector can import oil & gas from Russia.
서언

Ⅰ. 序 論

Ⅱ. 러시아의 石油/가스 輸出政策 및 現況
1. 石油/가스 輸出政策의 변화
2. 石油/가스 輸出現況
3. 輸送手段別 輸送現況

Ⅲ. 러시아의 石油/가스 輸送體系
1. 石油/가스 輸送網의 확립
2. 파이프라인 利用權의 할당
3. 主要 石油/가스 輸送루트
4. 主要 石油/가스 輸送開發프로젝트 推進現況

Ⅳ. 結論 및 示唆點

參考文獻

附 錄
1. 石油輸出供給시스템 보호에 관한 정부령 제42호
2. 러시아 石油輸出 合理化에 관한 정부령 제353호
3. 러시아 주요 석유/가스 輸送統計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중국 전기차 배터리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 연구 및 시사점 2024-03-27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그린에너지 협력방안 연구 2023-06-08 전략지역심층연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부유럽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기 대응 전략: 에너지 이슈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탄소 중립 대응 정책과 한국의 그린뉴딜과의 협력 방안 2022-03-3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자료 유럽 주요국 녹색당의 성공 및 실패 요인 분석 2021-12-30 연구보고서 에너지전환시대 중동 산유국의 석유산업 다각화 전략과 한국의 협력방안: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세계 주요국 탄소중립 전략과 중국의 저탄소 전략의 비교 분석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국제 에너지 시장 변화와 한ㆍ중동 에너지 협력 다각화 방향 2020-05-28 세계지역전략연구 라틴아메리카 에너지정책의 변화와 협력방안: 안데스 국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 투자와 한국의 정책과제 2018-12-31 연구보고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사회의 탄소가격제 도입과 경제영향 분석 2017-12-27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장거리이동 대기오염 대응사례와 시사점 2017-12-13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