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온실가스 감축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녹색성장정책은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보다 선진국에 적합하며 개발도상국이 추진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정책이라는 견해가 많다. 에너지 소비가 많은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감축기회가 많고 녹색기술이 발달해 녹색성장산업의 육성에 유리하다는 견해 때문이다. 그러나 에너지자원 부국인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녹색성장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 국가들의 핵심 목표는 에너지자원 수출로 축적한 부를 통해 산업을 육성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만드는 것인데 녹색성장산업이 그러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녹색성장정책은 WTO 체제하에서도 시행이 가능한 산업정책이다. 그러나 산업정책 측면에서 개발도상국의 녹색성장정책은 선진국과 달리 온실가스 감축보다는 에너지 효율성 제고와 국가에 적합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주력하여 이를 연관 산업의 육성기회로 삼아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산업육성정책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발도상국의 녹색성장정책은 개발도상국의 기본적인 인프라(전력망 등) 구축에 녹색성장산업의 수요를 반영하여 산업육성의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이어야 할 것이다.
한편 개발도상국인 카자흐스탄은 아직 녹색성장정책으로 명명한 뚜렷한 경제성장정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카자흐스탄의 경제성장정책인 산업다변화 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카자흐스탄이 녹색경제(녹색성장)의 도입을 경제성장의 기본방향으로 설정했다는 것과 산업다변화 정책에 녹색성장정책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자흐스탄의 산업다변화 정책인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프로그램 2010~2014’에는 녹색성장정책의 주요 요소인 에너지 효율화 정책과 신재생에너지 개발정책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에너지 효율화 제고를 통해 연관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산업다변화 정책이 본격적인 녹색성장정책이 아닌 까닭에 일반적인 산업다변화를 위한 정책요소를 더 많이 포함하고 있고 녹색성장을 위한 연관 산업의 육성정책은 충분치 않다. 또한 인프라 개발계획에 녹색성장산업의 수요가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카자흐스탄이 녹색성장정책을 강화하려면 에너지 효율화 산업 외에도 녹색성장산업과 관련된 연관 산업의 육성정책을 수립하고 녹색성장산업의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인프라 개발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또 카자흐스탄의 산업 현황과 산업다변화 정책을 살펴보면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 부문과 풍력산업부문, 전력망부문(스마트 그리드)에서 녹색성장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와 카자흐스탄이 녹색성장부문에서 경제적 협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정부간·산업간 협력이 긴요하다. 먼저 정부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사업환경이 비교적 자유로운 카자흐스탄을 러시아·CIS 지역의 녹색성장 협력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중점협력국가로 활용하되 카자흐스탄 정부 자체의 녹색성장 외교노력을 지원하고 양국간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을 녹색성장 협력사업과 연계해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카자흐스탄이 추진하고 있는 산업다변화 정책인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프로그램 2010~ 2014’이 녹색성장 정책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추진주체인 산업신기술부와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가 유럽과 같이 이 프로그램의 에너지 효율화 부문에서 최우선 협력대상국으로 지정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카자흐스탄에 대한 녹색차관 지원과 국내 관련 산업의 해외진출 연계, 녹색기술인력 양성 및 연구개발에 협력하고 WTO 체제하에서 녹색성장산업의 육성을 위해 ‘허용보조금’ 제도를 부활하는 데 협력할 필요가 있다.
산업간 협력으로는 먼저 카자흐스탄의 녹색성장 유망산업이자 우리나라가 육성하려는 녹색성장산업인 풍력산업, LED 산업, 스마트 그리드 산업 부문에서 협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카자흐스탄 정부 주도의 녹색시장 참여를 위해 기술개발 및 기술인력 양성을 조건으로 카자흐스탄 기업과 합작기업을 설립하고, 카자흐스탄을 러시아·CIS지역 녹색시장에 대한 전략적 투자처 및 수출기지로 육성하는 데 협력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에 각 녹색성장 유망 산업의 연관 산업(조선산업, 소재산업, 반도체산업, 태양광 산업, IT 산업 등)을 함께 육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여 녹색성장정책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산업 전반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카자흐스탄의 녹색성장산업에 대한 진출 전략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에너지자원 부국이자 개발도상국인 카자흐스탄의 사례를 생각해볼 때, 우리나라는 녹색성장 협력정책의 추진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방향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째, 새로운 녹색시장의 발굴을 위해 녹색성장의 여건이 갖추어진 개발도상국과 협력을 강화하고 국가별로 효과적인 녹색성장산업 협력분야를 찾아 선택과 집중을 통해 협력의 효과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녹색성장협력정책을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 제고와 영향력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적극 활용하되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과 연계하여 녹색성장 협력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녹색성장산업 육성에 효과적인 WTO 체제 구축을 위해 개발도상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발도상국의 녹색성장정책 추진을 지원하고 우리나라의 녹색성장정책 추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와 에너지자원 부국인 개발도상국의 경제협력을 에너지자원 개발부문에서 녹색성장산업부문으로 확대하여 상호 호혜적인 경제협력의 심화를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Green growth policy is an industrial policy applicable under the WTO regime. However, the green growth policy of developing countries as an industrial policy w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advanced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would rather focu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energy efficiency and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ies appropriate for their individual circumstances, than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In addition, developing countries must utilize fully the opportunity for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green growth policy. To this end, they must establish their master plans for basic infrastructure such as electrical grid installation, reflected in demands of green industries. It will be the ground for industrialization by green industries.
Kazakhstan, an energy-rich developing country, has yet to enact an economic growth policy that includes green growth. However, the industrial diversification program of Kazakhstan, named as ‘the State Program of Forced Industrial and Innovative Development 2010~2014,’ does have elements of green growth policy. It is written in the basic principles of this program that the introduction of a green economy represents the fundamental direction of Kazakhstan's economic growth. And the program includes policies for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nd for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ctually, the program is for industrialization but not exclusively green growth. So it does not have sufficient instruments for the green growth of Kazakhstan. To stimulate the green growth of Kazakhstan, Kazakhstan has to make the promotion plans for the industries related to green industries and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s to create the demand of green industries. The prospective green industries in Kazakhstan include energy saving and efficiency, wind power, and power grid including the smart grid industry.
To reinforce the economic partnership for green growth between Korea and Kazakhstan, cooperation among both governments and both industries is necessary. First, at the government level, Korea needs to designate Kazakhstan, which has a relatively free business environment, as the core partner country for green growth in the CIS region. Second, Korean government should give support to the diplomatic efforts of Kazakh government to take the lead of green economy internationally. Thir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mbine the green growth cooperation policy with Kazakhstan with the Knowledge Sharing Program of Korea. It will heighten the effectiveness of Korea's green growth cooperation with Kazakhstan. Fourth, Kazakhstan's government partner for green growth should be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New Technology, which oversees the industries of Kazakhstan. Fifth, Korea should earn the designation as a prior partner country in th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section of ‘the State Program of Forced Industrial and Innovative Development 2010~2014’ like EU. Sixth, the loans for encouraging Kazakhstan's green growth and the overseas expansion of Korean green industries should be linked strategically. Seventh,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for the nurturing of green technology manpower and for green R&D. Eighth, Korea and Kazakhstan need to make joint efforts to restore ‘Non-actionable Subsidies’ in the WTO regime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een industries.
At the industry level, both countries need to cooperate in the industries like wind power, LED and smart grids. These industries are the prospective industries for Kazakhstan and among Korea's strategic industries for green growth. In addition, R&D and training of engineers for green industries, the establishment of joint ventures and investment in Kazakhstan, and the development of Kazakhstan as the strategic base for CIS regions' green markets should become the cooperation agenda regarding industries of the two countries. Also, other related industries are to be developed together in wind power, LED and smart grid industries to expand the economic effects of green growth policy. And 'the growth-together strategy' should be u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Korean green industries by the advantages of its other related industries for the cooperation with Kazakhstan. The other related industries include shipbuilding, materials industry, semi-conductor industry, solar power industry, IT industry and etc.
Finally, this case study about Kazakhstan's green growth identifi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for green growth. First, potential green markets do exist in energy rich developing countries and these markets need to be developed. Second, the green growth cooperation policy for developing countries may be used as the diplomatic leverage for improving Korea's global position. Also, the green growth cooperation policy needs to be combined with Korea's Knowledge Sharing Program for the effectiveness. Third,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build an effective WTO regime to grow green industries together with the developing countries that pursue green growth. Four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with energy rich developing countries should drive the transition from energy resource development to green industry development for reciprocal economic growth.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제2장 개발도상국을 위한 녹색성장정책
1. 녹색성장의 개념
2. 개발도상국의 산업정책
가. 산업정책 논쟁
나. WTO체제하 산업정책 추진의 문제점
다. 산업정책의 추진방향
3. 산업정책으로서의 녹색성장정책 평가
4. 개발도상국의 녹색성장정책 추진 여건과 방안
가. 추진여건
나. 추진방안
제3장 카자흐스탄 산업다변화 정책의 분석 및 평가
1. 산업다변화 정책의 배경과 역사
2. ‘산업혁신 강화를 위한 국가프로그램 2010~2014’
가. 녹색경제 개념의 도입
나. 내용 분석
3. 녹색성장정책으로서의 평가
제4장 카자흐스탄 녹색성장산업의 개발 잠재력과 현황
1. 개발 수요
2. 개발 잠재력 및 현황 분석
가. 신재생에너지 개발부문
나. 에너지 절약 및 효율화 부문
다. 전력망 부문(스마트그리드)
3. 우선순위의 녹색성장산업 육성분야
제5장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녹색성장 협력방안
1. 정부간 협력방안
2. 산업간 협력방안
제6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44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