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남미 인구변동 연구 경제개발

저자 박윤주, 임상래, 이상현, 조영태 발간번호 11-59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7,37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지난 세기 동안 중남미는 폭발적인 인구증가를 경험하였으나, 이제는 저출산 및 고령화를 걱정해야 할 정도로 인구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가져올 뿐 아니라 중남미 사회를 변화시킬 것이며, 나아가 우리 사회와 중남미의 관계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중남미의 인구변동을 연구하고 이에 대한 대응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남미의 인구변동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모두 여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연구의 필요성과 주제 및 방법을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중남미 인구변동 현황을 개괄하고 그동안 중남미 인구가 변천해온 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식민시대부터 현재까지 중남미가 겪었던 대표적인 인구변동의 시기들을 점검하고 이들 변동이 중남미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중남미의 인구대국인 브라질, 멕시코, 콜롬비아와 아르헨티나의 인구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국가에서 향후 일어날 인구 변천을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남미의 출산력과 사망력이 인구학적인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구체적인 인구 데이터들이 소개되었고, 중남미의 출산력 및 사망력 변동의 요인들을 점검하였다. 또한 중남미 주요 국가들의 인구 현황, 출산력 및 사망력의 변화 추이를 설명하고 앞으로의 변화 또한 가늠하였다.
중남미의 인구변동을 분석하기 위해 주목해야 할 점은 비단 출산율과 사망률만은 아니다. 이 지역의 인구변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분석해야 할 또 다른 요소는 중남미 역내 및 역외 이민이다. 멕시코와 중미의 국가들의 경우 1960년대 이후 경험했던 출산율의 증가가 역외이민을 통해 해소된 경험이 있으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경우 일찍이 시작된 인구의 고령화 및 노동인구의 고령화가 페루, 볼리비아 등지로부터의 이주를 통해 극복된 예가 있다. 나아가 중남미의 저출산 기조가 유지되어 중남미의 인구구조가 고령화된다면 중남미로부터의 청년인구 유입을 통해 노동력을 공급받아왔던 미국사회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제4장에서는 이렇듯 중남미 인구변동에 상당한 영향을 끼쳐온 이민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남미에서 일어나는 역내ㆍ외 이민을 주요 이민 대상국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다시 중남미의 주요국들에서 일어나는 이민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중남미의 인구변동이 중남미 사회에 끼친 영향과 이에 따른 정책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즉 이 장에서는 제2ㆍ3ㆍ4장에 걸쳐 살펴본 중남미 인구변동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및 노동인구의 고령화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사회현상에 대한 중남미의 정책적 대응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중남미의 인구변동이 한국사회에 갖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In the last century, Latin American has been known for its explosive population growth. However, nowadays, the population growth rate has declined to the level where many Latin American countries such as Brazil and Mexico needs to worry its consequences. i.e. the ageing of population. Such demographic transition in Latin American not only means changes in its demographic structure but also will lead to some fundamental changes in the society. Therefore, it is critical to analyze Latin American demographic transition and possible challenges and responses posed by the transitio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demographic transition in Latin America. It consists of 5 chapter. The chapter 1 i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The chapter 2 reviews the history of Latin American demographic transiton and its consequences. Also this chapter overviews the population structure of Latin America and its particularities. The chapter 3 discusses the changes in fertility and mortality. After providing the general picture of transformation in ferility and mortality in Latin America, this chapter analyzes some demographically important countries. In the chapter 4, migration, another important variable to determine changes in population, was discussed. Considering the fact that Latin America has the largest number of people emigrate to other parts of the world, migration has some meaningful effects on population transition. The chapter 5 discusses consequences of such changes in Latin American population structure in women’s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s well as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lso this chapter analyzes policy responses of Latin American countries to the demographic challenges. Finally in the conclusion, possible implications of demographic transition to Korean society.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중남미 인구 연구의 필요성
3. 기존 중남미 인구 연구의 동향
4. 본 연구의 구성

제2장 중남미 인구변동 현황
1. 중남미 인구변동의 역사
가. 식민시대
나. 느린 인구성장(1650~1850년)
다. 완만한 인구증가(1850~1950년)
라. 인구 급증(1950~2000년)
마. 인구증가율 둔화와 고령화(2000년~)
2. 중남미 인구구조의 특징
가. 지역 및 국가간 인구구조의 차이
나. 주요국 인구구조의 특징
3. 결 론

제3장 중남미의 출산력 및 사망력 변동 추이
1. 인구변천 이론과 중남미
2. 중남미의 인구변천: 원인과 전망
가. 사망력
나. 출산력
3. 중남미 주요 국가들의 인구변천에서의 특수성
가. 아르헨티나
나. 콜롬비아
다. 쿠바
라. 브라질
4. 결 론

제4장 중남미의 이민
1. 서 론
2. 중남미 이민의 개관
가. 중남미 이민의 형성
나. 중남미 이민의 개요
3. 중남미 이민 현황
가. 역외이민의 변화
나. 역내이민의 경향
4. 중남미 주요국 이민의 특성과 이슈
가. 멕시코
나. 아르헨티나
다. 에콰도르
라. 칠레
5. 결론: 중남미 이민과 인구

제5장 중남미 인구변동의 영향과 정책과제
1. 서 론
2. 중남미 인구의 변동과 영향
가. 중남미 인구변동과 고령화
나. 경제활동인구와 중남미 노동시장
3. 중남미 노동인구의 고령화와 정책과제
가. 고령화와 경제생활
나. 주거 및 가족 형태
다. 고령화와 정책과제: 연금개혁의 내용과 함의
4. 중남미 여성의 노동참여 확대와 정책과제
가. 중남미 여성과 노동참여 확대의 의미
나. 여성의 노동참여, 차별 그리고 정책과제
5. 결 론

제6장 맺음말: 중남미 인구변동과 한국사회에의 시사점
1. 한국의 저출산 및 고령화에의 시사점
2. 대중남미 정책에의 시사점
3.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38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남미 디지털 전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한-중앙아 수교 30주년: 경제협력 평가와 4대 협력 과제 2021-12-27 ODA 정책연구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2021-08-31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25 연구보고서 동남아 CLMV 국가의 체제전환 평가와 북한에 대한 함의: 체제전환 지수 개발과 적용 2020-12-30 단행본 러시아 디지털 금융의 현황과 전망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르완다 농업분야 ODA 종합평가 및 개선방안 2020-07-28 단행본 2019 발간자료목록 2020-07-13 연구보고서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2019-12-30 ODA 정책연구 개발협력과 기후변화 대응의 통합적 접근방안: 페루 사례를 중심으로 2019-12-28 세계지역전략연구 동남아 사회주의 국가의 여성연맹 연구를 통한 북한 여성 관련 개발협력 사업에의 시사점: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여성연맹 사례를 중심으로 2019-12-31 ODA 정책연구 베트남의 교통분야 개발협력 방안 연구 2019-12-3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