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저자 이상훈 발간번호 11-2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그러나 최근 최저임금, 토지가격 등 생산비용 상승과 노동력 부족이 맞물리면서 많은 기업들이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각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산업구조 고도화정책과 도시화정책, 환경규제 강화 등은 대부분 임가공 무역에 종사하고 있는 현지진출 중소기업들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지의 생산환경이 악화되고 경영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생산비용에 편중된 투자환경 관련 정보에서 벗어나 다양한 투자환경에 대한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지역간 긴밀한 교통인프라 및 산업체인이 구축되고 있는 산둥성의 4개 연해지역, 즉 르자오, 웨이팡, 둥잉, 빈저우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지역의 산업정책, 임금․토지 등 생산비용, 투자우대정책 등 다양한 투자환경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지역별로 현지투자에 적합한 업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르자오의 경우 산업환경을 고려할 때 제지업, 식품가공업, 자동차부품산업의 진출에 좋은 조건을 갖춘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노동력 공급여건이 좋은 점을 감안할 때 방직․의류업 등 노동집약적 산업도 진출 가능한 업종이라고 할 수 있다.
농업이 발전한 웨이팡은 식품가공업, 농기계제조업으로의 진출이 유망하며, 정책적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는 환경산업과 신에너지산업의 진출도 유망한 지역이다. 그러나 방직․의류업, 제지업이 전통적으로 발달한 지역이기는 하지만 노동력 부족을 겪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이들 업종으로의 진출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둥잉은 2차산업의 비중이 72.6%를 차지할 만큼 공업이 발달한 지역이지만 석유화학공업에 집중되어 있어 기타 업종의 기업이 진출할 경우 부품․중간재 등의 수급과 생산시설 유지 및 보수가 어렵다. 또한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노동집약적 업종의 진출은 주의를 요하는 지역이다. 오히려 비교적 높은 소득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요식업, 유통 등 소비자 서비스업으로의 진출이 유망한 지역이다.
빈저우는 4개 지역 중에서 노동력이 가장 풍부하고 임금도 가장 저렴하다. 노동집약적 산업의 진출에도 호의적이어서 방직․의류업이나 식품가공업 등의 진출이 유망한 지역이다.
지역별 투자환경과 기진출 기업에 대한 현지조사 결과 4개 연해지역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기업이 투자결정을 할 때 경영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이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우대정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의사결정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접한 지역이어도 각 지역별로 형성된 생산네트워크와 산업클러스터가 상이하기 때문에 투자를 결정할 때 생산비용에 관한 정보수집 이상으로 각 지역의 산업환경에 대한 분석을 중시해야 한다. 셋째, 투자결정 시 각 지역에서 추진하고 있는 산업정책을 충분히 고려함으로써 해당 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직․간접적으로 향유할 수 있거나 불필요한 불이익을 피할 수 있어야 한다.
산둥성에 진출한 대부분의 기업이 소규모임을 감안할 때 신규 투자나 다른 지역으로의 이전을 준비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특히 해당 지역의 투자환경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첫째, 성(省) 단위로 집중되어 있는 정보에서 벗어나 지급시 단위의 투자환경에 대한 조사와 정보축적이 요구되며, 특히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운영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의 비용 중심 투자환경 조사와 정보제공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산업환경에 관한 정보 축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우리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이 소비자시장보다 생산자시장에 더 큰 비중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산업환경에 대한 정보 축적 및 제공은 매우 긴요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한국의 중앙정부와 산둥성 지방정부 간의 경제협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다. 산둥성은 우리 기업이 가장 집중적으로 진출한 지역이자 최근 현지 비즈니스 환경변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따라서 산둥성과의 경제협력 강화는 기진출한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최근 우리 정부와 중국 지방정부 간 경제협력이 강화되는 추세에서 산둥성과의 경제협력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However, recently, due to related factors such as increase of production costs such as minimum wages, land price and lack of labor, many compani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management. In addition, due to strength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urbanization policy, industrial restructuring policy; a heavier burden has been placed upon most small and medium Korean companies that entered China, most of which are in processing.
As the burden of management increases and production environment degenerates locally, it is required that to assess various investment environment, we need to extricate ourselves from investment information fixated on production costs. Thus,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four coastal areas of Shandong (Rizhao, Weifang, Dongying, and Binzhou) which have shown rapid economic growth recently, we attempt to provide information for various aspects concerning investment environment; including industrial policy, production cost, and investment preference of these areas. In addi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port also suggests types of businesses which may be suited to investment in each region.
As a result of research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and also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each region, it is possible to sugges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companies who are trying enter the four coastal cities cited above: First, in order to cope with the quickly-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there is need to get out of decision making based on contents of investment incentives suggested by local governments. Second, though the cities are located in the same region, production networks and industrial clusters are different, so emphasis should be on analysis of industrial environment of each (except for information of production cost) when making decisions for investment. Third, after taking into account industrial policies from each area when making decisions on investment, there should be support policy for relevant industry, direct and indirect.
By considering that most Korean companies in Shandong are small, active support by the Korean government is necessary for medium and small business to move into the area or make new investments, especially, in the form of information on investment environment of the area concerned. For this, the first thing required would be to investigate and accumulate information for investment environment of prefecture-level cities; there is a great need to pool information dispersed in several institutions together and increase access to information by managing and operating that integrated database. Second, considering that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Chinese market place greater priority on producer markets over consumer markets, there is a need to accumulate information related to industrial environments by reducing focus on production costs alone. Third, there is a greater need to reinforc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and local governments of Shandong. Shandong is an area where Korean companies entered most intensively and have experienced much difficulties due to recent changes in the local business environment. Therefore, the reinforcement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Shandong would be of enormous help to businesses of Korean companies advanced already, and in this sense,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will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promot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Shandong, in the context of recent trends to reinforc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Chin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기존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제2장 르자오(日照)시 투자환경
1. 도시 개황 및 경제 현황
가. 도시 개황
나. 경제 현황
2. 산업발전전략
3. 투자환경
가. 산업환경
나. 기타 투자환경
제3장 웨이팡(濰坊)시 투자환경
1. 도시 개황 및 경제 현황
가. 도시 개황
나. 경제 현황
2. 산업발전전략
3. 투자환경
가. 산업환경
나. 기타 투자환경
제4장 둥잉(東營)시 투자환경
1. 도시 개황 및 경제 현황
가. 도시 개황
나. 경제 현황
2. 산업발전전략
3. 투자환경
가. 산업환경
나. 기타 투자환경
제5장 빈저우(濱州)시 투자환경
1. 도시 개황 및 경제 현황
가. 도시 개황
나. 경제 현황
2. 산업발전전략
3. 투자환경
가. 산업환경
나. 기타 투자환경
제6장 종합 및 시사점
1. 종합 및 평가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98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