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Working paper
Strategic Trade Policy with Border Carbon Adjustments
무역정책, 환경정책
저자 서정민 발간번호 11-09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1.12.30
본 연구는 국경간 탄소조정(Border Carbon Adjustment)의 효과를 무역정책적 측면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Brander and Spencer(1985)의 전략적 무역정책 이론틀을 발전시켰다. 일반적으로 국경간 탄소조정은 탄소세나 탄소배출권 가격 등 국내생산자가 직면하는 탄소가격과 동일한 부담을 수입자에게 지우는 정책을 의미한다. 2단계 호혜적 시장(reciprocal market) 모형을 사용하여, 먼저 1단계에서 각 정부가 자국의 탄소세율을 결정한다. 이때 상대국이 정한 탄소세율이 높을 경우 자국의 수출업자는 그 차이만큼 국경간 탄조조정세가 부과되고, 자국의 탄소세율이 높을 경우에는 수입업자에게 그 차이만큼 국경간 탄소조정세를 부과하게 된다. 2단계에서 각 기업들은 주어진 탄소세율과 국경간 탄소조정에서 내수공급량 및 수출량을 결정한다. 분석결과, 국경간 탄소조정이 도입되면 자국 탄소세율이 높은 국가의 한계탄소저감효과가 탄소세율이 낮은 국가보다 크게 되는 등, 국내 탄소세율의 글로벌 차원의 효과가 달라지게 된다. 또한 자국 탄소세율과 상대국 탄소세율의 전략적 관계는 경쟁의 형태(수량경쟁인지 가격경쟁인지)에 의존하기보다는 국내 탄소세율을 상대국과 비교하는 기후변화정책 리더쉽에 의존함을 보이고 있다.
This article further develops a framework of Brander and Spencer (1984) by adding Border Carbon Adjustments (BCA) to compensate for cost differences caused by emissions reduction among countries. On a level playing field, BCA is one-directional in that only a country with a more stringent carbon tax can impose BCA on its imports. In a two-stage game with a reciprocal market model, governments move first by choosing domestic carbon tax rate on their own firms. The level of BCA is determined by both home and foreign carbon taxes. Firms take taxes and BCA as a given and compete by choosing either output levels or prices. The right to impose BCA makes two countries unequal in that a country with the right can extend the influence range of its domestic carbon tax on imports while the other cannot. Besides equalizing carbon costs across countries, BCA changes the incentive structure regarding governments’ domestic climate policy choices, as governments try to maximize their countries’ welfare. Our findings are robust whether the competition is Cournot or Bertrand because the effect by BCA dominates the mode of competition.
I. Introduction
II. Model
1. Setup
2. Stage 2
3. Stage 1
III. Equilibrium Analysis
1. Position-dependent Best Responses
2. Equilibrium Carbon Taxes
3. Impacts of BCA
IV. Discussion: Strategic Relationships between Home and Foreign Carbon Taxes
V.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판매정보
분량/크기 | 50 |
---|---|
판매가격 | 3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미중 전략경쟁 내 중국 탄소중립 대외전략과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수소에너지 산업지원정책과 한중협력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의 저탄소 에너지기반 구축을 위한 한-아세안 협력 방향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기후금융의 현황과 발전방향: 녹색채권을 중심으로
2022-06-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자료
인도네시아 탄소 중립 대응 정책과 한국의 그린뉴딜과의 협력 방안
2022-03-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순환경제 확산과 한국의 과제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유럽 주요국 녹색당의 성공 및 실패 요인 분석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2060 탄소중립 추진전략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RCEP 출범에 따른 공급망 변화와 한중 국제물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해운·항만 서비스 교역과 공급자 중심으로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