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지역연구시리즈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녹색성장 협력방안 연구: 태양에너지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경제협력, 에너지산업

저자 주진홍 발간번호 11-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1.25

원문보기(다운로드:2,23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우리나라는 가스 자원이 풍부한 투르크메니스탄과 에너지자원 개발 부문에서 협력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기술력을 가진 서방 선진국이나 적극적으로 차관을 제공해온 중국에 비하면 경쟁을 통해 에너지자원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적이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다른 에너지자원 부국과 같이 에너지자원에 의존적인 경제구조에서 벗어나 경쟁력 있는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해 산업다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이를 활용하여 에너지자원 개발 부문 이외의 산업협력 강화를 통해 경제협력 관계를 확대함으로써 에너지자원 개발 부문에 우회적으로 참여하는 정책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태양에너지 산업은 세계적으로 성장세가 뚜렷하며 우리나라도 녹색성장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산업 분야이다. 태양에너지 산업은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열 산업과 태양광 전지를 이용하는 태양광 산업으로 나뉘는데 태양광 산업은 태양광 전지, 폴리실리콘 등의 산업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업 육성에 유리하다. 특히 태양광 산업에서는 첨단 기술력과 낮은 전력요금이 경쟁력의 핵심요소로 평가된다. 관련 기업은 수직계열화, 대형화(1GW 이상 생산능력 확보), 글로벌 시장 진출(원가 절감 및 신흥시장 확보) 등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의 태양에너지 자원(일사량)은 우즈베키스탄과 함께 러시아 및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독립국가연합) 지역 내 최고 수준으로 중동 지역과 비교할 때도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어서 매우 풍부한 편에 속한다. 또한 투르크메니스탄 정부의 적극적인 전력 수출 정책과 주변국의 전력 수요, 터키와 유럽을 중심으로 한 태양에너지 전력 수요는 태양열 발전 산업의 토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투르크메니스탄의 값싼 전력 요금과 소규모 가정용 태양광 발전설비 수요(국내 인구의 약 73%)는 태양광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이다. 그러나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태양에너지 산업을 발전 산업의 관점에서만 보는 데 그치고 있어 태양에너지 산업 개발을 장기 과제로 분류해 놓은 상황이다. 풍부한 가스자원 덕택에 투르크메니스탄의 발전원가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태양에너지 산업을 산업다변화를 위한 제조업 육성의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 낮은 전력요금은 폴리실리콘 제조와 같은 태양광 산업 분야에서 가장 핵심적인 경쟁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을 간파한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주변국도 태양에너지 산업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세계 태양광 산업에서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고효율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시장의 공급 부족 전망도 투르크메니스탄의 태양광 산업 개발 가능성을 밝게 해준다. 고효율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의 핵심적인 경쟁력은 고도의 기술력과 낮은 전력요금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는 태양에너지 산업 부문에서 투르크메니스탄과 상호이익이 되는 협력을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 태양에너지 산업계, 특히 태양광 산업계는 고도의 기술력과 자본을 제공할 수 있고 투르크메니스탄은 낮은 전력요금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투르크메니스탄 자국과 주변국(터키, EU 등)에서 태양에너지 관련 시장을 개발할 가능성이 있다. 이 글에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협력방안을 제안한다. 태양열 산업 부문에서는 단기적으로 천연가스 발전과 태양열 발전이 동시에 가능한 150MW급 소규모 하이브리드형 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장기적으로는 터키를 협력국으로 하여 순수 태양열 발전소 건설을 통한 터키, EU로의 태양열 전력 수출을 추진한다. 태양광 산업 부문에서는 단기적으로 투르크메니스탄에서 폴리실리콘 산업(6,000~ 7,000톤급 생산 규모)을 수출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고, 중기로는 소규모 분산형 전력수요(2~4kW급)가 풍부한 투르크메니스탄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태양광 산업을 발전시키며, 장기적으로는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통해 터키, EU 등 신재생에너지 전력 수요가 풍부한 지역을 중심으로 주변국(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이란, 인도 등을 포함)에 전력 수출을 추진한다. 이 밖에 우리나라는 전력 수출을 위한 터키로의 고압직류송전망 건설에 협력하며 단기적으로는 총 10억 달러 규모의 수출차관(150MW급 하이브리드 발전소 건설: 4억 4,000만 달러, 6,000~7,000톤급 폴리실리콘 공장 건설: 5~6억 달러)을 제공하여 태양에너지 산업 개발에 협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협력은 에너지자원 의존형 경제를 개선하려는 투르크메니스탄과 태양에너지 산업 부문을 녹색성장의 축으로 삼으려는 우리나라의 정책적 필요를 동시에 충족시킬 것이다. 또한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자원 개발 부문에 참여하려는 우리 정부의 정책 추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public of Korea is currently trying to engage Turkmenistan, which has gigantic natural gas resources, in order to promote cooperation in the area of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However, Korea’s chances of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Turkmenistan are limited, because of higher level of technology possessed by Western countries in gas extraction and Chinese activities involving provision of enormous loans to Turkmenistan.
Turkmenistan, like other energy rich countries, is attempting to change its energy-dependent economic structure and to develop manufacturing industries. Korea’s participation in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in Turkmenistan would require that Korea address Turkmenistan's need for industrial development.
The solar energy industry is one of the fastest growing among industries in general, and Korea intends to promote it as a Green Growth industry. The solar energy industry includes several sub-industries such Concentrated Solar Power (CSP) and Photovoltaic (PV) industries. The PV industry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polysilicon manufacturing, solar cell manufacturing and etc.
Turkmenistan has muc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 solar energy industry. First, with Uzbekistan, Turkmenistan has the biggest solar resources among the former Soviet countries, as the level of insolation in southeastern Turkmenistan is similar to a number of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Second, Turkmenistan already has markets for its electricity exports such as Turkey, Iran, and other countries in the vicinity. Also, Turkmenistan is relatively close to the EU, with a large demand for renewable electricity. The fact that Turkey will be connected to Europe’s electricity network presents an added advantage in this regard. Third, the price of electricity, the core factor with respect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PV industry, is very low. Fourth,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PV market in Turkmenistan is high, because it needs to supply small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s for about 73% of the population for whom power is not supplied through the electricity network.
Given the above, there is great potential for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urkmenistan, especially in the PV industry. The global PV market is becoming polarized, with a market for low-efficiency, cheap solar cells on one side and the one for highly efficient expensive solar cells on the other. Though Korea currently possesses the requisite technology, it is in need of a market. Turkmenistan is both able to export electricity and offers the cheapest price for power. Also, it has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domestic PV market.
Korea and Turkmenistan will thus ne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the following. First, they need to construct a 150MW ISCC (Integrated Solar Combined Cycle) power plant as a pilot project with Turkey in order to export electricity to Turkey in the short term. In the long term, pure CSP (Concentrated Solar Power) plants will need to be built in order to export solar power to the EU. 
Second, in the PV industry, Turkmenistan needs to try to develop polysilicon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cheap electricity. Korea needs to cooperate with Turkmenistan in the polysilicon industry by contributing high technology. For the mid term, Turkmenistan needs to develop a solar cell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domestic demand for small (2~4 kW)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s.
Third, Korea needs to provide export loans(about 1 bil. dollars) to enable Turkmenistan to develop the previously mentioned industries. Approximately 500~600 mil. dollars may be needed to develop a polysilicon manufacturing factory with an annual production capacity of 6,000~7,000 tons. And another 440 mil. dollars would be needed to build a 150 MW ISCC power plant.
If such cooperation is indeed realized, great synergy effects for both Korea and Turkmenistan can be expected. Korea can support its solar industries as green growth industries by providing production sites and markets for the related companies, while Turkmenistan can foster new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 world class competitiveness, which would help the latter diversify its industrial structure. Also, based on the deepened economic relationship, Korea may participate in Turkmenistan’s energy resource development.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과 범위

제2장 세계 태양에너지 산업 현황과 발전 요건 평가
1. 태양에너지 산업 개요
2. 태양에너지 발전 산업 현황 및 전망
3. 태양에너지 관련 산업 현황 및 전망
가. 금속실리콘 산업
나. 폴리실리콘 산업
다. 태양전지 제조 산업
4. 태양광 산업의 발전 요건 평가

제3장 투르크메니스탄의 태양에너지 산업 입지 여건(Ⅰ)
1. 투르크메니스탄 전력 시장 현황
2. 태양에너지 개발 잠재력 평가
3. 태양에너지 개발 계획 및 현황

제4장 투르크메니스탄의 태양에너지 산업 입지 여건(II): 주변국 현황
1. 주변국의 전력 시장 현황
2. 주변국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3. 주변국의 태양에너지 산업 현황 비교

제5장 태양에너지 산업 개발 협력방안
1. 투르크메니스탄의 태양에너지 산업 개발 가능성 평가
가. 태양에너지 발전 산업
나. 금속실리콘 산업
다. 폴리실리콘 산업
라. 태양전지 산업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 산업
마. 주변국과의 비교 평가
2. 투르크메니스탄의 태양에너지 산업 개발 방향
가. 태양에너지 산업 개발 및 협력 모델
나. 태양에너지 산업 개발 방향
3. 협력 방안
가. 태양열 산업 부문
나. 태양광 산업 부문
다.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간 협력 주도
라. 금융지원 방식과 규모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04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