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동남아 전략산업 분석: 신·재생에너지 - 우리나라와의 협력방안 모색 경제협력, 에너지산업

저자 배정환, 이보람 발간번호 10-3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3,57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현 정부가 ‘녹색성장’을 향후 주요 경제 패러다임으로 정하면서, 녹색성장기술의 핵심 기술이라 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투자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선진국인 유럽과 미국, 일본 등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현황이나 보급정책 등은 비교적 국내외에 잘 소개가 되어 있는 편이나 우리와 인접한 지역인 동남아시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남아시아 주요 5개국인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별 경제개발 현황과 에너지 수급구조,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현황, 보급 정책과 향후 계획 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에서 이들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어떤 분야에서 협력사업이 가능하며, 온실가스 저감 목표를 이미 국제사회에 공언한 바 있는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신·재생에너지 공동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측면에서 상호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동남아 국가들과 국제협력사업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들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국제협력사업 현황과 해외자원개발법상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지원 현황, 신·재생에너지 관련 관세완화정책 등을 살펴보고,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and investment on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as current government announced 'green growth' as major economic paradigm. While profile and promotion policy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U, U.S.A. and Japan are known generally, those of South East Asian countries adjacent to our country are not known well.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economic profile, demand and supply of energy, development status and promotion policy and planning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of five major South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Indonesia, Philiphine, Malyasia, Vietnam, and Thailand.
Based on the above primary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ssible ways for improving reciprocal benefits in terms of mitigation of green house gases. Besides, we studied on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relative to new and renewable energy between Korea and South East Asian countries and Korean government's supportive policies on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law and mitigation policy on tariff with regar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First of all, transfer of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technology, hydrological power generation technology, biomass and biogas, biodiesel power generation and refinary technology, heat pump technology, and provision of feedstock for bioenergy are selected as major potential cooperation fields. It is expected to increase rate of return of the projects if they are connected with CDM program. Next, we suggest utilization of pre-exis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grams such as R&D cooperation projects of international energy agency, APEC new and renewable energy cooperation projects, and new and renewable energy forum of ASEAN+3.
Finally, as potential government supportive policies in the sense of cooperation with South East Asian countries, overseas resource development policy and tariff mitigation policy should be modified in order to boost overseas plantation of bioenergy and accommodate imports of feedstock for bioenergy.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제2장 동남아 국가별 일반 현황 
1. 동남아 5개국 개관 
2. 인도네시아 
가. 일반 현황 
나. 에너지 부문 현황 
다. 온실가스 현황 
3. 필리핀 
가. 일반 현황 
나. 에너지 부문 현황 
다. 온실가스 현황 
4. 말레이시아 
가. 일반 현황 
나. 에너지 부문 현황 
다. 온실가스 현황 
5. 베트남 
가. 일반 현황
나. 에너지 부문 현황 
다. 온실가스 현황 
6. 태국 
가. 일반 현황
나. 에너지 부문 현황 
다. 온실가스 현황 


제3장 동남아 국가별 신·재생 에너지 산업 현황 및 정책 
1. 인도네시아 
가. 산업 현황 
나. 정책 및 계획 
2. 필리핀 
가. 산업 현황
나. 정책 및 계획
3. 말레이시아
가. 산업 현황
나. 정책 및 계획 
4. 베트남 
가. 산업 현황
나. 정책 및 계획
5. 태국 
가. 산업 현황
나. 정책 및 계획


제4장 결론: 동남아시아와의 신·재생 에너지 분야 협력방안 
1. 국제협력방안 
가. 기후변화 관련 개도국 국제협력프로그램 
나. 신·재생에너지 분야 국제무역의 증진 
다. 우리나라와 동남아 간 국제협력프로그램 
2. 동남아의 향후 유망 신·재생에너지 분야 
가. 인도네시아 
나. 필리핀 
다. 말레이시아
라. 베트남 
마. 태국 
3. 정부 지원방안 
가. 해외자원개발법상 지원방안 
나. 관세부문 지원방안 


참고문헌 


부 록: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과 정책 
<부록 Ⅰ>  
1.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개관 및 보급 현황 
2.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 
3. 신·재생에너지원별 시장 현황 
<부록 Ⅱ> 관세 지원 내용 
<부록 Ⅲ> 용어 정리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59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일본의 핵심광물자원 확보전략과 한ㆍ일 협력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한-아프리카 자원 협력을 통한 핵심광물 확보 전략 2024-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과 한·인도 협력에 대한 시사점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중앙아시아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전망과 한-중앙아 협력 시사점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의 대중남미 통상환경 평가와 정책 과제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걸프 국가의 아시아 중시 정책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인도의 국영기업 주도 경제개발전략과 한국-인도 협력 방안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국가의 그린 에너지 산업 기반과 협력 방향 연구 2024-12-31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기타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기본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에너지안보 강화와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기본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중국 태양광·BESS 산업의 글로벌 시장 독점화와 주요국 대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