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한‧인도 CEPA 이후 對남아시아 통상정책 경제통합, 무역정책

저자 조충제, 성한경, 최윤정, 송영철 발간번호 10-19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04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남아시아의 부상과 역내 경제통합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네팔, 부탄, 몰디브 8개국으로 이루어진 남아시아는 2009년 기준 세계인구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남아시아가 2004~08년 평균 8.2%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였다. 남아시아는 같은 기간 ASEAN의 경제성장률 5.8%를 크게 앞질렀으며 2009년에는 6.5% 성장하여 글로벌 불황에 강한 면모까지 보여주었다.
글로벌 인사이트(Global Insight) 등 주요 경제전망기관들은 2030년경까지 남아시아가 평균 5%를 웃도는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ASEAN보다 높은 경제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남아시아는 2010년 현재 세계 GDP의 약 2.6%를 차지하는 데 그치고 있지만, 그 비율은 점차 높아져 2015년 3.6%, 2020년 4.7%, 2030년에는 7.8%까지 높아질 전망이다. 한편 ASEAN은 2010년 1.6%에서 2030년 3.2%로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남아시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높은 성장잠재력과 함께 남아시아는 경제 성장 및 발전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통상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인도는 우리나라는 물론 ASEAN과의 FTA를 발효시켰으며, 일본과의 FTA도 2011년 중 발효시킬 계획이다. 파키스탄도 중국, 말레이시아와의 FTA를 발효시켰으며 일본, 태국, 베트남 등과 특혜무역협정(PTA: Preferential Trade Agreement)을 추진하고 있다. 스리랑카는 다양한 경제협력체에 참여하며 인도, 파키스탄과의 FTA를 발효시켰으며, 최근 지역무역협력에 더욱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동안 FTA 추진에 소극적이던 방글라데시도 최근 스리랑카와 FTA 추진을 논의하는 등 FTA 추진에 동참하고 있다.
남아시아 역내 경제통합도 ASEAN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 예정대로라면 2016년이면 남아시아는 나름대로 역내 단일관세를 적용하는 경제권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취약한 역내 교역비중의 주요인이던 높은 교역비용이 관세장벽 인하, 무역원활화(trade facilitation) 조치, 국경간 연결성(connectivity)을 강화하는 인프라 건설 등으로 점차 낮아질 것이다. 무엇보다 경제통합에 대한 남아시아국가들의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해 경제통합의 걸림돌로 작용하였던 역내 정치적 갈등 및 긴장마저 오히려 완화되는 경향까지 생겨나고 있다.  


한‧남아시아 교역특성 및 FTA 기대효과


 한국과 남아시아의 상품교역은 2002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왔다.  2002년 약 26억 달러에 불과했던 대남아시아 수출이 세계 경제위기 속에서도 2008년과 2009년 각각 115억 달러, 100억 달러를 기록하며 2년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하였다. 수입 역시 2002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8년 74억 달러까지 증가하였으나, 2009년에는 세계 경제위기의 여파로 전년대비 약 36% 감소하며 47억 달러의 수입에 그쳤다.

South Asia including India, Pakistan, Bangladesh, Sri-Lanka, Afghanistan, Nepal, Bhutan Maldives account for 23% of world population in 2009 and reached average 8.2% of GDP rate from 2004 to 2008. Furthermore, South Asia is expected to grow at above 5% by 2030 which growth faster than ASEAN so that Its GDP proportion accounts for 7.8% as well.
South Asia is pursuing more aggressive trade policies for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nd especially, focusing on FTA with other countries such as S. Korea and Japan, EU that completed or under the process of negotiation, etc. In addition, economic integration of South Asia is also being advanced in gradual and scheduled to use single tariff among South Asia countries in 2016. This trend would be more obvious by removing high trade cost and improving trade facilitation, building infrastructure which enhancing bother connectivity. Moreover, strong will of South Asia countries for economic integration would play a role for easing political conflicts and tension between countries.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Trade policy for South Asia should be in line with international economy policy and New Asia Foreign Policy of Korea. So, several core policies are suggested such as expanding FTA network, enhancing energy and resource, green growth cooperation, bilateral and multilateral trade cooperation, facilitating investment and development. Especially, for FTA with South Asia, following three fundamental strategies should be based: market preoccupancy strategy, progressive FTA strategy, flexible FTA strategy. Further- more, FTA strategies and roadmap for FTA by countries are also suggested. Korea-Pakistan FTA should be targeted in 2014 in priority, and then Korea-Bangladesh, Korea-Sri Lanka FTA should be targeted in 2017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Korea and SAARC FTA should be considered after 2016.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 방법 및 내용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남아시아의 부상과 역내 경제통합 
1. 지역 특성과 성장잠재력 
2. 국별 최근 경제동향 
가. 인도 
나. 파키스탄 
다. 방글라데시 
라. 스리랑카 
마. 아프가니스탄 
바. 네팔, 부탄, 몰디브 
3. 주요국의 통상정책 
가. 남아시아 통상정책 개요
나. 인도 
다. 파키스탄
라. 방글라데시
마. 스리랑카
4. 역내 경제통합 및 통상구조 
가. SAARC 및 SAFTA 추진 경과 
나. SAFTA 협정문 및 추진 계획 
다. 역내 통상구조 
5. 역내 경제통합 평가 및 전망
가. 경제통합 정도의 비교
나. 경제통합 저해요인 
다. 평가와 전망 


제3장 한‧남아시아 교역 특성 및 분석 
1. 한‧남아시아 교역 특성  
가. 교역 확대과정 
나. 교역 품목 및 형태별 변화 
2. 교역관계 변화 
가. 경쟁관계 
나. 분업관계 
3. 한‧남아시아 교역구조 분석 
가. 한·남아시아 
나. 한·파키스탄 
다. 한·방글라데시 
라. 한·스리랑카 
4. 대남아시아 FTA 기대효과 
가. 거시경제적 효과 
나. 비거시경제적 효과 


제4장 대남아시아 통상정책 방향과 전략 
1.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통상정책 
가. 중국 
나. 일본 
2. 대남아시아 통상정책 목표 및 과제  
가. 비전과 목표 
나. 정책과제 
3. 대남아시아 FTA 추진 계획 및 전략 
가. 대남아시아 FTA 추진의 당위성 
나. 대남아시아 FTA 추진전략 
다. 대남아시아 국가별 FTA 추진 전략 및 로드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9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