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Working paper
East Asian Financial and Monetary Cooperation and Its Prospect: Beyond the CMI
경제협력, 금융통합
저자 박영준 발간번호 10-04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10.10.13
본 논문은 ASEAN+3 체제의 지역 금융안전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Chiang Mai Initiative Multilateralization)와 아시아채권시장 발전방안(Asian Bond Market Initiative),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다시 활발해진 역내 단일통화에 대한 논의에 대해 살펴본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가 보다 실효성있는 지역 금융 안전망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역내 경제 감시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신설 예정인 경제조사국(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의 감시기능은 더욱 강화 되어야 하며, 현재 운영 중인 ASEAN+3 경제동향 점검 및 정책대화(Economic Review and Policy Dialogue)와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이와 함께 본고에서는 조정국(Board of Coordination)을 별도로 설치하여 ASEAN+3 경제동향 점검 및 정책대화의 정책 권고안에 대한 회원국의 이의신청이나 법률적 자문 등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현행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가 아시아통화기금과 같은 지역통화협력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CMIM 사무국의 설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ASEAN+3 cooperation of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s, and reviews the regional monetary issues of a single currency and currency competition in East Asia. We point out potential systemic risks in East Asia and the importance of regional surveillance. ASEAN+3 regional surveillance should move forward to the stronger measures of peer review and peer pressure, and make the AMRO a well-resourced professional surveillance secretariat to create capacity to apply independent conditionality. To this effective surveillance mechanism, we propose to establish the Board of Coordination to support the ASEAN+3 ERPD by confirming its decision or remitting the relevant case to the ASEAN+3 ERPD and providing possible legal consultation. The institution building of the CMIM secretariat will accelerate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monetary institution, e.g. an Asian Monetary Fund. The current crisis provides sufficient incentives for East Asian economies to pursue internationalization of their currencies, and it would open the possibility towards a single currency in East Asia.
I. Introduction
II. East Asia’s Financial Cooperation
1. East Asia’s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s
2.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III. Regional Surveillance Mechanism in East Asia
1. ASEAN+3 Economic Review and Policy Dialogue
2. AMRO as a New Regional Surveillance Unit 21
IV. Way Forward for Effective ASEAN+3 Surveillance
1. Systemic Risk and Regional Surveillance
2. Looking Beyond the Current ASEAN+3 ERPD
V. The Idea of an Asian Monetary Fund
1. CMIM as a Precursor to Asian Monetary Fund
2. East Asia vs. Euro-Zone
VI. Asian Currency Competition and Movement Toward a Regional Currency
VI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II. East Asia’s Financial Cooperation
1. East Asia’s Regional Financial Safety Nets
2. Asian Bond Market Initiative
III. Regional Surveillance Mechanism in East Asia
1. ASEAN+3 Economic Review and Policy Dialogue
2. AMRO as a New Regional Surveillance Unit 21
IV. Way Forward for Effective ASEAN+3 Surveillance
1. Systemic Risk and Regional Surveillance
2. Looking Beyond the Current ASEAN+3 ERPD
V. The Idea of an Asian Monetary Fund
1. CMIM as a Precursor to Asian Monetary Fund
2. East Asia vs. Euro-Zone
VI. Asian Currency Competition and Movement Toward a Regional Currency
VII.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Appendix
판매정보
분량/크기 | 50 |
---|---|
판매가격 | 3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