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농업 정책과 한·중앙아시아 농업 협력 확대 방안: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을 중심으로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

저자 조영관, 이시영 발간번호 10-0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08.17

원문보기(다운로드:4,27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식량안보가 중요한 세계경제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한국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농업 협력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농업 직접투자, 농기계 수출, 기술 전수, 농업 인프라 부문 진출 등과 같은 다양한 차원에서 투자와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확대하고 심화하여, 중앙아시아의 농업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농업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 3개국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농업에 유리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구소련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요한 농업국가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평가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세계 11대 밀 생산국이며, 우즈베키스탄은 세계 6대 면화 생산국으로 세계 주요 농업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 농업이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한국에서도 식량안보가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농업 투자나 협력은 활발하지 못했다. 이것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고, 투자 조건이 열악한 이유도 있었으나, 한국 정부나 기업의 투자, 협력 의지가 부족했던 것도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우즈베키스탄의 해외농업기술센터 설치, 정부 차원의 농업 조사단 파견 등을 통해 앞으로는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농업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아시아 주요 농업국가인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의 농업 분야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와 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현지 국가들의 수요에 맞는 투자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As the importance of Food Security is becoming an international issue, Korea has to consider positive ‘Agriculture Cooperations’ with Central-Asia,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for establishment of stable food supply foundation in Korea. There are promising measures to invest and cooperate with Central Asia in the agricultural sector, such as direct investment, export of farm machiner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e in Central Asia, and provides strategic expansion ways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by intensifying established researches. Especially, we focused on 3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in Central Asia.
Central Asia has traditionally favorable natural environment for agriculture, and Kazakhstan and Uzbekistan are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nations in the world since the Soviet Union. According to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alysis, Kazakhstan is the 11th wheat producer, and Uzbekistan is the 6th cotton producer, then they are classified into major agricultural countries.
Even though agriculture is of great importance in Central Asia, and food security is emerging as new issue in Korea, they do not cooperate each other in agriculture sector. The reason why political condition is unstable, and economic condition including investment environment is also poor in Central Asia, Korean government or corporations have no strong will to entry into Central Asia for investing agriculture or collaborate with Central Asia on agriculture sector. In these days, Korea has tried to cooperate with Uzbekistan by establishing Overseas Agri-Development Center and dispatching Agri- Research group at government level, so we can expect to enlarge the Agriculture Cooperation between Korea-Central Asia.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expanding agriculture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 is to establish the investment strategy considering their demands. Korean government policy to securing foreign food base in recent years, Cenral Asia is actually attracting national attention including government, private enterprises, and even individuals. However, they hardly ever invest in agriculture sector.
First of all, we hav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governmental policies in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then we have to promote to invest and cooperate in the priority field that Central Asia asks for collaborations. For example, Central Asia needs huge foreign investment in their irrigation facilities and agricultural infra because of lack of water resource and infrastructure for agriculture development. They have strategic policies such as development of rural area and farm modernization, so Korea can initiate them into farming techniques. These ways will be based on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e cooperation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중앙아시아 농업 현황과 농업 개혁의 특징


1. 중앙아시아 농업 현황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즈스탄
2. 중앙아시아 농업 개혁의 특징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즈스탄


제3장 중앙아시아 농업의 과제와 정책
1. 중앙아시아 농업의 과제
가. 수자원 부족과 사막화
나. 기계 설비의 노후화
다. 사회간접자본 시설의 부족
2. 중앙아시아 농업 문제 해결 정책
가. 수자원 이용 국제협력과 관개시설 건설
나. 기계 설비의 공급 및 사회간접 시설의 확충


제4장 중앙아시아 농업부문의 외국인투자 유치 정책
1. 중앙아시아 농업부문 외국인투자 유치 제도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즈스탄
라. 3개국 투자 환경 비교
2. 중앙아시아 농업부문 외국인투자 현황
가. 외국인투자 현황 및 특징
나. 한국의 투자 및 협력 현황


제5장 한ㆍ중앙아시아 농업 협력 확대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90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시진핑 시기 중국의 해외직접투자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3-12-30 연구보고서 해외직접투자가 기업의 지식재산권 확보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