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식량안보가 중요한 세계경제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한국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농업 협력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 농업 직접투자, 농기계 수출, 기술 전수, 농업 인프라 부문 진출 등과 같은 다양한 차원에서 투자와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확대하고 심화하여, 중앙아시아의 농업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농업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 3개국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농업에 유리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구소련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요한 농업국가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평가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세계 11대 밀 생산국이며, 우즈베키스탄은 세계 6대 면화 생산국으로 세계 주요 농업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 농업이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한국에서도 식량안보가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농업 투자나 협력은 활발하지 못했다. 이것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고, 투자 조건이 열악한 이유도 있었으나, 한국 정부나 기업의 투자, 협력 의지가 부족했던 것도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우즈베키스탄의 해외농업기술센터 설치, 정부 차원의 농업 조사단 파견 등을 통해 앞으로는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농업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아시아 주요 농업국가인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의 농업 분야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와 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현지 국가들의 수요에 맞는 투자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확대하고 심화하여, 중앙아시아의 농업 현황을 분석하고, 한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농업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에서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 3개국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중앙아시아 지역은 전통적으로 농업에 유리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구소련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요한 농업국가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평가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세계 11대 밀 생산국이며, 우즈베키스탄은 세계 6대 면화 생산국으로 세계 주요 농업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에서 농업이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한국에서도 식량안보가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농업 투자나 협력은 활발하지 못했다. 이것은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치,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고, 투자 조건이 열악한 이유도 있었으나, 한국 정부나 기업의 투자, 협력 의지가 부족했던 것도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우즈베키스탄의 해외농업기술센터 설치, 정부 차원의 농업 조사단 파견 등을 통해 앞으로는 한국과 중앙아시아의 농업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아시아 주요 농업국가인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즈스탄의 농업 분야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와 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현지 국가들의 수요에 맞는 투자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
As the importance of Food Security is becoming an international issue, Korea has to consider positive ‘Agriculture Cooperations’ with Central-Asia,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for establishment of stable food supply foundation in Korea. There are promising measures to invest and cooperate with Central Asia in the agricultural sector, such as direct investment, export of farm machiner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e in Central Asia, and provides strategic expansion ways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by intensifying established researches. Especially, we focused on 3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in Central Asia.
Central Asia has traditionally favorable natural environment for agriculture, and Kazakhstan and Uzbekistan are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nations in the world since the Soviet Union. According to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alysis, Kazakhstan is the 11th wheat producer, and Uzbekistan is the 6th cotton producer, then they are classified into major agricultural countries.
Even though agriculture is of great importance in Central Asia, and food security is emerging as new issue in Korea, they do not cooperate each other in agriculture sector. The reason why political condition is unstable, and economic condition including investment environment is also poor in Central Asia, Korean government or corporations have no strong will to entry into Central Asia for investing agriculture or collaborate with Central Asia on agriculture sector. In these days, Korea has tried to cooperate with Uzbekistan by establishing Overseas Agri-Development Center and dispatching Agri- Research group at government level, so we can expect to enlarge the Agriculture Cooperation between Korea-Central Asia.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expanding agriculture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 is to establish the investment strategy considering their demands. Korean government policy to securing foreign food base in recent years, Cenral Asia is actually attracting national attention including government, private enterprises, and even individuals. However, they hardly ever invest in agriculture sector.
First of all, we hav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governmental policies in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then we have to promote to invest and cooperate in the priority field that Central Asia asks for collaborations. For example, Central Asia needs huge foreign investment in their irrigation facilities and agricultural infra because of lack of water resource and infrastructure for agriculture development. They have strategic policies such as development of rural area and farm modernization, so Korea can initiate them into farming techniques. These ways will be based on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e cooperation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e in Central Asia, and provides strategic expansion ways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by intensifying established researches. Especially, we focused on 3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in Central Asia.
Central Asia has traditionally favorable natural environment for agriculture, and Kazakhstan and Uzbekistan are the most important agricultural nations in the world since the Soviet Union. According to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analysis, Kazakhstan is the 11th wheat producer, and Uzbekistan is the 6th cotton producer, then they are classified into major agricultural countries.
Even though agriculture is of great importance in Central Asia, and food security is emerging as new issue in Korea, they do not cooperate each other in agriculture sector. The reason why political condition is unstable, and economic condition including investment environment is also poor in Central Asia, Korean government or corporations have no strong will to entry into Central Asia for investing agriculture or collaborate with Central Asia on agriculture sector. In these days, Korea has tried to cooperate with Uzbekistan by establishing Overseas Agri-Development Center and dispatching Agri- Research group at government level, so we can expect to enlarge the Agriculture Cooperation between Korea-Central Asia.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expanding agriculture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 is to establish the investment strategy considering their demands. Korean government policy to securing foreign food base in recent years, Cenral Asia is actually attracting national attention including government, private enterprises, and even individuals. However, they hardly ever invest in agriculture sector.
First of all, we hav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governmental policies in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then we have to promote to invest and cooperate in the priority field that Central Asia asks for collaborations. For example, Central Asia needs huge foreign investment in their irrigation facilities and agricultural infra because of lack of water resource and infrastructure for agriculture development. They have strategic policies such as development of rural area and farm modernization, so Korea can initiate them into farming techniques. These ways will be based on the improvement of agriculture cooperation and investment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중앙아시아 농업 현황과 농업 개혁의 특징
1. 중앙아시아 농업 현황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즈스탄
2. 중앙아시아 농업 개혁의 특징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즈스탄
제3장 중앙아시아 농업의 과제와 정책
1. 중앙아시아 농업의 과제
가. 수자원 부족과 사막화
나. 기계 설비의 노후화
다. 사회간접자본 시설의 부족
2. 중앙아시아 농업 문제 해결 정책
가. 수자원 이용 국제협력과 관개시설 건설
나. 기계 설비의 공급 및 사회간접 시설의 확충
제4장 중앙아시아 농업부문의 외국인투자 유치 정책
1. 중앙아시아 농업부문 외국인투자 유치 제도
가. 카자흐스탄
나. 우즈베키스탄
다. 키르기즈스탄
라. 3개국 투자 환경 비교
2. 중앙아시아 농업부문 외국인투자 현황
가. 외국인투자 현황 및 특징
나. 한국의 투자 및 협력 현황
제5장 한ㆍ중앙아시아 농업 협력 확대 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90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Working paper
A Theoretical Approach to Evaluating Global Vaccination Plans
2021-03-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2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