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외국인직접투자는 국내 경제의 효율을 높이고 체질을 강화시키는 수단이나, 2000년 이후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액은 100~120억 달러 수준에서 정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국내 외국인직접투자가 국내 생산 및 고용, 그리고 생산성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추정하여 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에서 조사한 국내 투자환경을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has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main pillars of growth in the Korean economy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However, the growth of FDI has slowed to a virtual halt recently. In particular, global increases in FDI from 2003 to 2007 did not translate into growth in Korea, as FDI into Korea actually de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Even though FDI inflow met the target level in 2009, FDI growth into Korea has become stagnant, standing still between 10 to 12 billion US dollars since 2000.(The rest is omitted.)
서 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1. 개요
2.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및 평가
제3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1. 생산 및 고용 파급효과 가. 개요
나. 분석 방법
다. 분석 결과
2. 생산성 파급효과
가. 분석모형
나. 분석자료
다. 분석 결과
3. 소결
제4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환경 분석
1. 국내외 문헌상의 평가
가. 해외 문헌 평가
나. 국내 문헌 평가
다. 소결
2. M&A형 FDI 관련 문제점
가. 국내 자본시장의 미발달
나. M&A 관련 세제상 문제점
다. M&A 중개서비스업의 미발달
라. 경영투명성 부족 문제
3. 투자제한업종 현황
가. 「외국인투자촉진법」상 제한 내용
나. GATS 양허상 주요 제한 내용
다. 주요국의 외국인투자 제한 내용
4. 분야별 규제
가. 금융 및 외환
나. 지식재산권
다. 조세관련
라. 진입제한 및 기타 애로
5. 외국인직접투자 인센티브 관련 문제점
가. 현황
나. 해외 사례
제5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의 개선방안
1. M&A형 FDI 활성화 방안
가. 국내 자본시장의 육성
나. M&A 관련 세제의 정비
다. M&A 중개서비스업의 육성
라. 경영투명성 제고
2. 투자제한업종의 추가개방 방안
가. 법률ㆍ회계ㆍ세무서비스
나. 보건의료서비스
다. 교육서비스
라. 시청각서비스
마. 통신서비스
바. 부정기항공운송업
3. 분야별 규제의 개선방안
가. 금융 및 외환
나. 지식재산권
다. 조세
라. 진입제한 및 기타 애로
마. 노사문제
4. 외국인직접투자 인센티브 제도 개선방안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1. 개요
2.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및 평가
제3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의 경제적 효과
1. 생산 및 고용 파급효과 가. 개요
나. 분석 방법
다. 분석 결과
2. 생산성 파급효과
가. 분석모형
나. 분석자료
다. 분석 결과
3. 소결
제4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환경 분석
1. 국내외 문헌상의 평가
가. 해외 문헌 평가
나. 국내 문헌 평가
다. 소결
2. M&A형 FDI 관련 문제점
가. 국내 자본시장의 미발달
나. M&A 관련 세제상 문제점
다. M&A 중개서비스업의 미발달
라. 경영투명성 부족 문제
3. 투자제한업종 현황
가. 「외국인투자촉진법」상 제한 내용
나. GATS 양허상 주요 제한 내용
다. 주요국의 외국인투자 제한 내용
4. 분야별 규제
가. 금융 및 외환
나. 지식재산권
다. 조세관련
라. 진입제한 및 기타 애로
5. 외국인직접투자 인센티브 관련 문제점
가. 현황
나. 해외 사례
제5장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의 개선방안
1. M&A형 FDI 활성화 방안
가. 국내 자본시장의 육성
나. M&A 관련 세제의 정비
다. M&A 중개서비스업의 육성
라. 경영투명성 제고
2. 투자제한업종의 추가개방 방안
가. 법률ㆍ회계ㆍ세무서비스
나. 보건의료서비스
다. 교육서비스
라. 시청각서비스
마. 통신서비스
바. 부정기항공운송업
3. 분야별 규제의 개선방안
가. 금융 및 외환
나. 지식재산권
다. 조세
라. 진입제한 및 기타 애로
마. 노사문제
4. 외국인직접투자 인센티브 제도 개선방안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28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중국 하이난(海南) 자유무역항의 무역·투자자유화 성과와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국내 전략산업 투자유치 인센티브 개편 방향
2023-12-08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ODA 정책연구
공공기관 ESG 현황과 경영전략: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2022-11-21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Do Korean Firms Respond to the Labor Costs of Host Countries?
2020-09-01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혁신성장 정책과 제도: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 제1편 주요국의 혁신성장 정책
2019-12-31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혁신성장 정책과 제도: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 제2편 주요국의 혁신성장 제도
2019-12-31
연구보고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다국적기업 철수의 영향과 정책대응 방안
2019-12-30
연구자료
한일 및 한중일 투자협정의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 국내법원판결에 관한 판정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자료
일본의 산업경쟁력강화법 시행 성과: 사업재편을 중심으로
2018-12-28
연구보고서
국경 간 데이터 이동에 관한 국제적 논의 동향과 대응 방안
2018-12-28
연구보고서
대외개방이 국내 분배구조에 미치는 영향
2017-12-27
전략지역심층연구
인도 외국인직접투자의 구조적 변화와 시사점: M&A를 중심으로
2017-12-27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과 한국의 성장전략: 미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2017-11-30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