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Working paper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경제협력
저자 이창재 발간번호 94-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4.07.01
한-소 친선관계는 1980년대 후반 소련이 한국에게 10년 만에 처음으로 베일을 벗김으로 시작되었다. 엄청난 기회의 땅 소련에 대한 한국의 뜨거운 열기는 소련과 경제협력에 대한 높은 기대로 대체되었다. 실제로 양국 간의 교역은 소련에 활발하게 투자기회를 찾으려는 한국 기업에 의해 빠르게 성장하였다. 또한 1991년 1월 한국은 소련에게 3년 동안 30억불의 경제협력 기금 제공에 서약하였다. 그러나 1991년 말 소련 붕괴와 더불어 정치정 불안, 러시아 경제의 경제적 하락이 잇따랐고 이것은 한-소 경제협력의 발전에 심각한 장애가 되었다. 게다가 러시아는 한국 공적자금으로 조성된 대부금을 갚을 수 없었기 때문에 러시아와의 경제협력이 한국에 최선의 이익을 줄 것인지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한- 러 경제협력에서 최근 하락이 얼마나 심각한가? 첫째로 본 보고서는 양국의 교역과 직접투자를 중심으로 경제협력의 전개를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는 노력을 할 것이다. 또한 양국 간 경제협력의 장애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침체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시도를 할 것이다. 본 보고서의 마지막 부문에서 한-러경제협력을 위한 장기적 가능성과 단기적 전망이 논의될 것이다.
한- 러 경제협력에서 최근 하락이 얼마나 심각한가? 첫째로 본 보고서는 양국의 교역과 직접투자를 중심으로 경제협력의 전개를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려는 노력을 할 것이다. 또한 양국 간 경제협력의 장애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최근 침체의 원인을 규명하려는 시도를 할 것이다. 본 보고서의 마지막 부문에서 한-러경제협력을 위한 장기적 가능성과 단기적 전망이 논의될 것이다.
The rapprochement between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late 1980s unveiled the Soviet Union to Koreans for the first time in decades. In fact,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grew quickly, initiated by Korean businessmen who were also very active in searching for investment opportunities in the Soviet Union. Furthermore, in January 1991, Korea pledged to provide the Soviet Union with a US$3 billion economic cooperation fund over a three-year period.
However,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at the end of 1991, as well as political instabilities and economic deterioration of the Russian economy that followed, constituted very serious obstacles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the fact that Russia was unable to service Korean loans made the Korean public very skeptical as to whether economic cooperation with Russia was in Korea's best interest.
How serious is the recent slowdown in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First, this paper will try to answer this question by reviewing the evolution of econom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centrating on their bilateral trade and direct investment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attempt to find the causes of the recent malaise in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by analyzing the obstacles to it. In the last section of this paper, both long-term possibilities and short-term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will be discussed.
However, the disintegration of the Soviet Union at the end of 1991, as well as political instabilities and economic deterioration of the Russian economy that followed, constituted very serious obstacles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 addition, the fact that Russia was unable to service Korean loans made the Korean public very skeptical as to whether economic cooperation with Russia was in Korea's best interest.
How serious is the recent slowdown in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First, this paper will try to answer this question by reviewing the evolution of econom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centrating on their bilateral trade and direct investment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attempt to find the causes of the recent malaise in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by analyzing the obstacles to it. In the last section of this paper, both long-term possibilities and short-term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will be discussed.
Contents
I. Introduction
II. Current Status of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Trade
Investments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Other Areas of Economic Cooperation
III. Obstacles to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IV. Possibilities and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Long-term Possibilitie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Short-term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V. Conclusion
References
I. Introduction
II. Current Status of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Trade
Investments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Other Areas of Economic Cooperation
III. Obstacles to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IV. Possibilities and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Long-term Possibilitie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Short-term Prospects for Korea-Russian Economic Cooperation
V. Conclusion
References
판매정보
분량/크기 | 22 |
---|---|
판매가격 | 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EU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EU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 내 포퓰리즘 확산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