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경제협력, 기업경영

저자 이충열, 이종하, 이선호, 이종윤 발간번호 21-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99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에서는 신남방 국가 현지의 기업과 현지 한국계 기업 간의 상생 협력 관계를 조사·분석하고 관련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관찰 동기에서 시작되었다.

첫째, 신남방 국가의 한국계 중소기업들은 각국의 정책 지원에서 소외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하여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각국 정부는 이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수행한다. 한국 정부 역시 한국계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제공하는데, 신남방 국가 대부분이 저소득 국가에 소재하고, 한국이 이들 국가의 개발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관련 분야에 자금이 투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신남방 국가에 진출한 한국계 중소기업들은 이러한 지원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다. 이들은 현지에 등록된 기업이기 때문에 한국 정부의 지원 대상에서 누락되었고, 신남방 국가의 정부들은 이들을 자국 기업이 아닌 한국 기업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신남방 국가에 진출한 한국계 중소기업들은 현지 기업과의 여러 협력 기회가 있지만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지 기업으로부터 부품과 원료를 조달받아 비용을 절감하거나 현지 판매 루트를 활용하여 새로운 수요처를 만들 수 있지만 이러한 활동이 매우 제약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시작하여 신남방 국가에 진출한 한국계 기업과 현지 기업 간 협력 기회를 활용하기 위한 이론과 현황을 분석하고, 정책을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대상국가로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인도를 선정하고, 이들의 경제 및 기업 경영환경, 중소기업 현황 및 정책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이들 4개국 경제는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다소 차이는 있지만이들 모두 자국의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하여 각종 정책을 수행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 4개국에 진출한 한국계 기업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진출 한국계 기업의 산업별 및 업종별 현황을 살펴보았다.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많은 한국계 기업이 진출한 반면, 태국과 인도에는 그 수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트남은 최근에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으며, 그에 반해 태국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제조업 기준으로 볼 때 주로 의류, 섬유 등 노동집약적인 산업을 중심으로 진출한 반면, 태국과 인도는 전자부품이나 자동차 부품 기업 중심으로 진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의 경우 저임금 기반의 산업들이 오래전에 진출하여 영업한 결과이며, 태국은 이미 1인당 소득과 임금이 아세안 내에서 상당한 수준에 이르러 고소득 수준에 적합한 산업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인도에 자동차와 전자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이 진출한 것은 델리 인근 삼성전자 공장과 첸나이 주변 현대자동차 공장의 협력 업체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외국계 기업과 현지 기업 간의 상생 협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소기업간의 상생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외국계 글로벌 기업과 현지 중소기업간의 상생관계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즉 외국계 기업이 현지 중소기업에 각종 경영 컨설팅을 하거나 직원 교육 등을 실시하는 형태가 다양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외국계 기업이 자사의 생산성이나 제품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지에서 원자재 및 부품을 제공하는 현지 기업들의 협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며, 현지 판매를 위해서 역시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한국계 중소기업과 현지 중소기업간의 협력 가능성을 검토하고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때 한국계 중소기업과 현지 중소기업 모두 상생 협력 사업을 추진할 재무적인 능력과 사업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부의 역할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즉 정부가 주도하여 한국계 중소기업과 현지 중소기업 간 협력을 추진하는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첫째, 상생 협력 모델을 제시하였다. 상생 협력 모델의 참여자로 현지 기업 및 현지 한국계 중소기업, 현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한국 정부 및 현지 대사관, KOTRA 등 양국의 정부 및 공공기관, 한국의 개발협력기관, 중소기업 진흥 및 컨설팅 기구, 대학 연구소 등 각종 기관이 참여하여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둘째, 주요 사업으로는 현지 한국계 기업과 현지 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축사업, 현지 인력 역량강화 프로그램, 기업 컨설팅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이 사업에 양국의 중소기업이 모두 참여하도록 하였다. 상생 협력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재원 조달, 사업 담당기관 선정 등의 행정적인 업무가 해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및 인도에서 가능한 상생 협력 프로그램 수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각국의 중소기업 현황과 신남방 국가에 진출한 한국계 중소기업의 현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과정에서 정부가 준수하여야 할 원칙과 유의사항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the way of win-win cooperation between local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nd local Korean SMEs in the New Southern country. For this purpose, it first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current their mutual relationship and cases of previous cooperation of major companies. 

The motivation for this study started with the following observational motivations. First, Korean SMEs in the New Southern countries have been marginalized from the local government’s policy support. In general, SMEs in most countries face many difficulties compared to large enterprises. As a result, their governments carry out various policies to support them. They may give financial support or technical assistance. Governments of the New Southern countries are not exceptions. They manage many programs to support them. Despite this fact, Korean SMEs in the New Southern countries have a difficulty to receive them. Mainly, the governments of the New Southern countries recognize them not as their owns companies but as Korean companies.

Second, Korean SMEs in the New Southern countries are excluded from the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Legally, they are locally registered companies and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n Korean company are not an assignment of Korean government. 

Third, Korean SMEs in the New Southern countries have been unable to utilize their opportunities to cooperate with local companies. For example, they may reduce their costs by procuring parts and raw materials from local companies or to create new customers by using local sales channels. They may get some advises during the labor dispute. Frankly, these activities are very limited.

This study, starting from these problems, presents a theoretical analysis and examines the recent activities of local SMEs as well as Korean SMEs in New Southern countries. Four countries of Indonesia, Thailand, Vietnam, and India of were selected as main analysis target countries. The economies, business environments, and the current activities and policies of SMEs of these countries were examined. It tells that the economies of these four countries are growing very rapidly, and their governments have been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o revitalize their SMEs.

Meanwhile, in order to examine the status of Korean companies of these four countries, their business activities were examined by country and by industry. It shows several interesting facts. For example,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Vietnam has increased rapidly in recent years, while that of Thailand has been stagnant. It is shown that Korean companies in Indonesia and Vietnam are mainly in the labor-intensive industries such as clothing and textiles, whereas those in Thailand and India are centering on industry of electronic parts or automobile parts. It is because wages in Vietnam and Indonesia are still relatively low while per capita income and wages in Thailand have already reached a considerable level in 아세안. It was also interpreted that the reason SMEs entered India centered on the automobile and electronic parts industries was because they were partners of Samsung Electronics' factories near Delhi and Hyundai Motor's factories around Chennai.

It also checks the previous cases of the win-win co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companies and local companies. Surprising, very little win-win cases were observed between local SMEs and Foreign SMEs. However, the win-win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global companies and local SMEs appeared in various forms. In other words, many foreign companies have provided various types of assistance to local SMEs such as management consulting or training for employees of local SMEs. It is because cooperation with local companies that provide raw materials and parts locally is essential for foreign companies to improve their productivity or their product quality. Also, they recognized that cooperation with local companies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to raise the local sale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Korean SMEs and local SMEs and suggested several policy measures. At this time, the role of the government was included because both Korean SMEs and local SMEs lack the financial and business capabilities to implement them. In other words, it is to suggest a method of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Korean SMEs and local SMEs led by the government. Here are some of major conclusions.

First, several win-win cooperation models were presented. In this win-win cooperation model, Various organizations and agents such as local SMEs, local Korean SMEs, local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the Korean government and local embassies, public institutions of both countries such as KOTRA,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organizations, SME promotion and consulting organizations,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etc. will participate to carry out the policies and programs.

Second, major policies and programs include (1) a network establishment project between local Korean companies and local companies, (2) a local manpower capacity building program, and (3) a corporate consulting program etc.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se, administrative tasks such as financing for win-win cooperation projects and selection of institutions in charge of win-win cooperation projects had to be resolved. In addition, some examples of win-win cooperation programs of Indonesia, Vietnam, Thailand, and India are presented. It should be reminded that all of these programs must be customized to be implemented in the New Southern Policy counties because their economic and culture environments are quite different. Finally, the principles and precautions to be observed by the government are present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중소기업간 상생의 이론적 분석
1.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의 정의
2.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의 이론적 배경
3. 신남방 국가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4.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

제3장 신남방 국가 중소기업의 현황 분석: 특징과 성격
1. 인도네시아
2. 베트남
3. 태국
4. 인도
제4장 신남방 국가의 한국 중소기업 현황 분석: 특징과 성격
1. 인도네시아
2. 베트남
3. 태국
4. 인도
5. 신남방 국가 기업 및 전문가 면담
6. 분석 종합
제5장 현지 기업과 외국 기업의 상생 협력 사례
1. 인도네시아
2. 베트남
3. 태국: 토요타태국
4. 인도: Fiat 자동차
5. 아세안: 일본 자동차 산업의 아세안 지역 생산 네트워크 구축
6. 사례 종합

제6장 현지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계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 방안
1. 상생 협력 모델
2. 상생 협력과 정부 및 공공기관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44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