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G2 시대 일본의 대중(對中) 경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경제협력

저자 김규판, 이형근, 김은지 발간번호 12-15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1,75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보고서는 중국의 국제적 위상 강화를 의미하는 G2 시대에 즈음해서 일본의 대중(對中) 경제협력을 분석하였다. 특히 중국의 WTO 가입과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일본경제의 장기침체와 같은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일본정부와 일본기업이 대중 경제협력을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해왔는지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일ㆍ중 간 경제관계의 변화 및 일본의 대중 경제협력 전략을 다각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대중 경제협력 방향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중국의 GDP, 무역규모, 외환보유고와 같은 경제지표는 물론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동아시아 FTA 논의, 동아시아 금융협력이라는 다양한 경제적 관점에서 중국의 국제적 지위 격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중국경제는 일본에 어떠한 존재이며, 일ㆍ중 경제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2001년 중국의 WTO 가입 이후 일ㆍ중 간 경제관계가 무역과 직접투자를 중심으로 일본이 중국에 의존하는 방향으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본정부는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가 ASEAN을 중심으로 일본 엔화의 국제적 지위를 격하시킬 것으로 보고, 엔화의 통화스와프 확대나 사무라이채권 발행 확대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의 FTA 추진 과정에서 일본과 중국은 서로 경계감을 늦추지 않고 있다. 한편 동아시아 금융협력은 동아시아 지역의 금융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되지만, 아직 중국 측의 여건이 성숙되지 않았음을 한계로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일본의 대중 무역의존도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일ㆍ중 간 무역구조가 경쟁과 보완이라는 복합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무역구조의 변화와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품목별, 가공단계별, 중국 내수시장의 점유율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고, 현시비교우위지수, 무역특화지수, 산업내무역지수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원재료와 가공제품 간의 수직형 무역구조에서 가공제품 간의 수평적 무역구조로 뚜렷이 변화하고 있고 일본이 대중국 중간재 공급기지로서 경쟁력을 유지하는 반면, 중국이 일본의 최종재 수출대상지로 부각되고 있음이 주목된다. 그리고 중국의 경쟁력 향상으로 일ㆍ중 간 경합관계가 확대되는 산업에서도 부품ㆍ소재를 중심으로 상호보완적인 산업내무역이 심화됨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일본기업의 대중 투자에 대한 특징 분석과 함께 일본기업의 대응전략을 고찰하였다. 첫째, 일본기업이 실시한 대중 투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ㆍ업종별ㆍ지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시기별로 일본의 대중 투자는 플라자합의 이후 엔고, 1990년대 중국의 외자도입 확대, 중국의 WTO 가입을 계기로 급속히 확대되었고, 업종별로는 제조업 비중이 감소하는 대신에 비제조업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동부ㆍ연해 지역에 대한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가운데 중부ㆍ내륙 지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둘째, 중국에 진출한 일본기업의 경영성과를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신규설립ㆍ자본참가의 지속적인 확대와 함께 매출액도 증가하였고, 일본기업의 경상이익률과 당기순이익률이 상승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일본기업이 중국 현지 경영활동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대중 투자의 위협요인에 따른 ‘중국 리스크’ 및 중국정부의 외자유치 장려업종 분야의 ‘기회요인’을 고려한 일본기업의 대응전략을 살펴보았다. 일본기업은 중국 리스크를 경감ㆍ분산하기 위해 차이나 플러스 원(China+1)과 같은 최적의 국제분업 체제를 고려하여, 중국의 성장세를 활용하면서도 리스크 분산 차원에서 동아시아 전체를 유망한 투자진출 지역으로 설정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일본정부의 대중 경제협력에서 ODA를 대신하여 새로운 경제협력 의제로 부상하고 있는 에너지절약ㆍ환경 분야의 산업협력과 통화ㆍ금융협력 분야를 선정하여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에너지절약ㆍ환경 분야의 산업협력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에너지 절약 분야, 중국 에코시티 공동 건설 협력 프로젝트, 그리고 기타큐슈시가 추진 중인 톈진과 다롄의 에코타운 개발 협력 프로젝트를 살펴보았다. 특히 2006년부터 개최되고 있는 일ㆍ중 에너지절약ㆍ환경 종합포럼은 일본정부가 양국 기업의 매칭과 비즈니스 고충 해결이라는 간접지원을 통해 자국기업의 대중 진출을 독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최근 일ㆍ중 정부가 추진 중인 양국간 국채매입 확대와 무역결제에서 엔화와 위안화의 직접교환은 아직 협력기간이 짧아 가시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동아시아 지역에서 FTA나 위안화의 국제화, 금융협력 등 일련의 경제통합 과정에서 중국이 일본을 위협함으로써 이 지역을 둘러싼 일ㆍ중 간 주도권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양자간 및 다자간 FTA 논의에서 일ㆍ중 간 주도권 경쟁은 우리의 이니셔티브를 상당히 제약한 측면이 있다. 우리나라는 협상이 진행 중인 한ㆍ중 FTA와 협상 예정인 한ㆍ일 FTA, 한ㆍ중ㆍ일 FTA 그리고 RCEP을 동시에 고려하여 동아시아 FTA 추진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관점에서 중국과의 금융ㆍ통화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현 시점에서는 그간 통화스와프을 중심으로 전개된 동아시아 지역의 금융협력 문제를 어떠한 방향으로 확대ㆍ발전시킬 것인지, 이 분야에서 우리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과 기대할 수 있는 이익은 무엇인지 논의를 심화시키는 작업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중무역 의존도가 심화되면서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고성장 지속에 따른 중국 내 고급소비재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중국의 소비패턴 변화 정보 등 중국 내수시장 개척을 위한 정보 제공, 현지 네트워크의 활용 등의 정책적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일본기업들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성장시장인 아시아 신흥국의 수요를 획득하기 위한 사업전략을 수립하여 수출지역의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점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일본기업들은 전기전자 산업에서 최종재 경쟁력이 감소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첨단 전자부품ㆍ소재에 대해서는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에 한ㆍ중 간 부품소재 산업의 무역 원활화와 이러한 분업구조를 유지 또는 심화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울러 중국의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한ㆍ중 간 수출산업구조가 비슷해짐에 따라 한ㆍ중 기업 간 협력 증대 등 새로운 산업협력의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셋째, 우리의 대중 투자액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일본과 마찬가지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우리의 대중 투자 활성화를 위해 중국정부의 외자유치 관련 정책 변화에 따른 대중 투자의 환경변화를 예의주시해야 한다. 또한 업종별ㆍ지역별ㆍ산업별로는 비제조업에 대한 진출 확대, 중서부 지역에 대한 제조업 진출 활성화, 차세대자동차산업과 같은 신산업 분야 진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중국리스크 대응의 차원에서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1) 전략이 요구된다. 정부 차원에서는 양국간에 상생(win-win)할 수 있는 협력 분야 발굴, 대중 투자의 환경변화와 관련된 중국정부의 방침에 대한 정보제공 확대, 국내기업의 경쟁력 향상 등을 위한 정책대응 등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는 대중 산업협력 차원에서, 우리 기업이 고도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국내 시장여건상 해외진출이 필요하고, 진출에 애로사항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지원책을 강구해야 한다. 다만 이와 같은 산업협력이 2, 3년 내 단기적으로 성사되기는 어려우므로 중장기적으로 일본정부가 추진하는 국내 지원체계를 벤치마킹 대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특정 산업분야를 선정하여 지원해야 할 당위성을 확보한 경우에는 중국 관련 인사의 초청 연수와 국내 전문가의 중국 세미나 개최, 민관합동 포럼 개최, 그리고 필요한 경우는 펀드조성까지도 염두에 두고 협력을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During the last decade China has boosted its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an emerging economic powerhouse. Deeply integrated into the global economy, China has risen to become an international power second only to the United States, and it is often regarded the eras of the US-China G2 has come. China has been pursuing bilateral and regional trade agreemen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FTAs within ASEAN, along with its WTO entry in 2001 and globalization of the Chinese currency Yuan. Under the circumstance Japan’s international economic position has weaken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ing level of dependence on Chinese economy. Both Japanese public and private sectors recognize that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rnational agendas. This paper is aimed at introducing the structure of Japan-China trading system and analyzing Japan’s government policy along with corporations’ management strategies on Chinese market, providing a broad picture of growing econom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also derive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Japanese experiences on how Korea should build and implement its economic cooperation schemes with China.
Chapter two exhibits the rising of China in the global economy. We use indices such as GDP, trade volume, and foreign exchange reserves to review China’s burgeoning economy in detail. We also analyze China’s growing prominence in the world by taking a closer look into the globalization of the Chinese currency Yuan, bilateral FTA negotiations between East Asian countries, and regional financial cooperation in East Asia with the emergence of a new global financial governance system.
In chapter three, the structure of Japan-China trading system is analyzed in terms of trading items, process stages, and domestic market shares in China using indices such as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Trade Specification Index (TSI), and Marginal Intra-Industry Trade Index (MIIT).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clear that the Japan-China trading system has developed competitive yet complimentary interregional relations. Even the very competitive industries between Japan and China maintain their parts and materials sectors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chapter four, three points are examined in the perspective of Japanese firms’ business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Chinese market. First, we analyze investment strategies classified by period, industry, and region. Second, we conduct business performance assessment. Increasing sales and net profit figures shows that the business strategies of the Japanese firms are paying off in China. Finally, we analyze how Japanese firms handle China risk. Japanese firms intend to include East Asia as a whole on their standard of prospective investment area to reduce country risk via diversification while focusing on the Chinese market at the same time.
Chapter five discusses the economic cooperation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in specific areas. We look into policy evaluation and prospect in two sectors;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Industry, and Monetary and Financial Market.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and manufacturing firms are drawn from the paper in the above analysi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work out effective ways of carrying forward FTA negotiations with East Asian community. Under the circumstances of both Chinese and Japanese governments attempting to take the initiative in East Asian community,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take into account the ongoing Korea-China bilateral FTA negotiations, the resumption of Korea-Japan FTA negotiations, the launch of joint Korea-China-Japan FTA, and RCEP all together.
Second, we could obtain from the Japanese experienc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me up with the corresponding strategy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Korea’s dependence on Chinese economy. We suggest four options; follow the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and demand prediction on Chinese domestic market; pay close attention to the new emerging markets in Asia to diversify export regions other than China; facilitate trade flows of parts and materials manufacturing sectors by reinforcing our industrial competitiveness; foster the business cooperation with the Chinese counterparts.
Third, in order to boost Korean firms’ investments in China,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be alert to the changes in Chinese foreign investment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tinuously provide updated information on Chinese government policy to Korean firms while discovering cooperation fields with China to pursue mutual advantages.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take support measures to certain domestic companies armed with high technological prowess but lack of overseas expansion strategy. In this respect, the government should further actively engage in the partnership and cooperation methods by inviting China experts on training sessions, conducting Korean experts’ seminars across China, holding private and public joint forums, and creating a fund development plan if necessary.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구성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특징 


제2장 중국의 G2 부상과 일ㆍ중 경제관계의 변화 
1. 머리말 
2. 중국의 경제성장과 국제적 지위 격상 
   가. 중국경제의 급성장 
   나. 중국의 국제적 위상 격상 
3. 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일ㆍ중 간 경쟁과 협력 
   가. 동아시아 지역의 FTA 추진을 둘러싼 일ㆍ중 간 경쟁과 협력 
   나. 동아시아 금융협력 분야에서의 일ㆍ중 간 경쟁과 협력 
4. 일ㆍ중 경제관계의 변화 
   가. 일ㆍ중 양국간 무역의존도 역전 
   나. 중국에 대한 중간재 공급기지로서 일본의 지위 약화 
   다. 대중(對中) 직접투자에서 일본의 비중 저하 
   라. 일ㆍ중 무역마찰 
5. 소결 


제3장 일본의 대중 무역구조 변화 
1. 머리말 
2. 일본의 대중 무역관계 변화 
   가. 일ㆍ중 무역관계의 전개 과정 
   나. 일본의 대중 무역의존도 심화 
   다. 품목별 무역구조 변화 
   라. 가공단계별 무역구조 변화 
   마. 일본의 중국 내수시장 진출 현황 
3. 일ㆍ중 간 산업별 경쟁력 분석 
   가. 현시비교우위지수 분석 
   나. 무역특화지수 분석 
4. 일ㆍ중 간 산업별 분업관계 분석 
   가. 분석방법 
   나. 분석결과 
5. 소결 


제4장 일본의 대중 투자 현황과 전략 
1. 머리말 
2. 일본의 대중 직접투자 실태 분석 
   가. 시기별ㆍ업종별ㆍ지역별 대중 투자 현황 
   나. 대중 투자 일본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3. 일본기업의 대중 투자 전략 
   가. 대중 투자의 위험 및 기회 요인 
   나. 중국리스크(China Risk) 대응전략 
   다. 일본기업의 대중 투자 기회요인 활용전략: 차세대자동차 분야를 중심으로 
4. 소결 


제5장 일본정부의 대중 경제협력 
1. 머리말 
2. 일본정부의 대중 경제협력 기조 
   가. 일ㆍ중 수교 이후 일ㆍ중 경제협력 
   나. 중국의 WTO 가입과 일ㆍ중 경제협력 기조의 전환 
   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일ㆍ중 경제협력 
3. 일본의 대중 에너지절약ㆍ환경 협력 현황 
   가. 일ㆍ중 간 에너지절약ㆍ환경 협력의 필요성 
   나. 일본정부의 에너지절약ㆍ환경협력 지원체계 
   다. 주요 분야별 협력 현황 
4. 일ㆍ중 금융협력 
   가. 일본의 중국국채 매입 개시와 중국의 일본국채 매입 확대 
   나. 엔화ㆍ위안화의 직접교환 
5. 소결 


제6장 결 론 
1. 요약 
   가. 중국의 G2 부상과 일ㆍ중 경제관계 
   나. 일ㆍ중 무역구조의 변화 
   다. 일본의 대중 투자 현황과 전략 
   라. 일본정부의 대중 경제협력 
2. 시사점 
   가.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둘러싼 일ㆍ중 경쟁 분야 
   나. 일ㆍ중 무역구조 분야 
   다. 일본의 대중 투자 분야 
   라. 일본정부의 대중 경제협력 분야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8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