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세계지역전략연구
목록으로
전 세계 대부분 국가가 코로나19 통제를 위해 봉쇄와 이동 제한, 통금 등의 조치를 발동하였으나, 한국은 이러한 조치 없이 코로나19의 조기 확산 방지에 성공하였다. 세계 주요 언론은 한국정부의 코로나19 확산 방지 및 통제 성공 사례를 헤드라인으로 소개하여 방역 선진국으로서 한국의 면모를 전 세계에 깊이 각인시켰다. 이러한 한국의 방역 역량은 질병 관리 당국의 신속한 대응과 감염자 및 접촉자 추적을 위한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에 의거한 것이다. K-방역으로 불리는 한국의 성공적 방역 모델은 3T(Test-Trace-Treatment)를 핵심요소로 하고 있으며 한국은 K-방역 모델을 전 세계에 전파하여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남미 국가의 확산 방지 실패 요인을 분석하여 코로나 같은 감염병의 재발을 막기 위해 한국의 방역 역량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를 염두에 두고 이를 통해 한국과 중남미 국가 간의 방역 및 의료 협력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본 연구의 기본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부분은 중남미 주요 국가(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페루, 에콰도르)에서의 바이러스 확산 메커니즘을 조사하고, 두 번째 부분은 차후의 감염병 재발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의료 협력의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세 번째 부분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염두에 두고 새로운 시대적 과제로 등장한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중남미 의료 부문의 혁신 방향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주요 국가에 대한 협력 방향을 요약하고 국가별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중남미에서 바이러스 확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되는 변수를 검토한다. 전염병을 통제하기 위해 정부가 취한 조치, 보건위기를 다루는 정치 리더십, 정부의 보건ㆍ의료 부문 지출,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 불평등한 사회경제적 구조의 바이러스 확산 역할, 인적 자원 및 의료 장비를 포함한 의료(방역) 부문의 자원 및 역량, 바이러스 확산 제어에 필요한 ICT 인프라 역량 등이 각국별로 검토되는 주요 변수들이다. 또한 각국 정부의 바이러스 검사 및 추적 조치의 적극성과 효율성을 검토한다. 전염병의 전파 메커니즘과 검사 및 추적 조치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중남미 국가들에서 감염병 재발 시 확산을 신속하게 통제하기 위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한국의 지원 및 협력 방향도 좀 더 구체화할 수 있다.
중남미 5개국에서의 코로나 확산 메커니즘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코로나19 확산의 억제를 위해서는 정치 지도자의 경각심과 중앙정부의 신속한 대응이 필수적이다. 2) 중남미 국가의 보건ㆍ의료 부문 지출은 OECD 국가보다 훨씬 낮으며 보건ㆍ의료 부문에 대한 저투자는 의료 부문의 부실한 대응으로 이어졌다.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축으로 인해 보건ㆍ의료 부문에 대한 정부 지출이나 의료 부문에 대한 집중적 투자 증가 역시 기대하기 어렵다. 3) 이들 국가의 비공식 부문 종사자의 비율은 대부분 50%가 넘으며 빈곤층은 대부분 위생 상태와 거주 여건이 열악한 도시 주변부 지역에 거주하고 있어 바이러스 통제에 불리한 조건에 있다. 정부의 격리 조치 역시 이들의 생업 활동을 일정 부분 보장하기 위해 엄격하게 시행되지는 못하였다. 4) OECD 평균보다 낮은 의료진 비율 및 ICU 병상, 의료장비와 의료용품 및 개인보호장구(PPE) 부족, 환자 치료에 필수적인 인공호흡기와 의료용 산소 부족 등으로 의료기관은 적절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의료 시스템의 붕괴가 현실화되기도 하였다. 5) 보건ㆍ의료 시스템의 중복과 파편화로 의료보험은 모든 국민 특히 빈곤층에 적절한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의료 시스템은 지리적ㆍ계층적으로 양극화되어 이중구조를 보이고 있다. 중남미의 의료 시스템은 지리적으로는 중소도시 및 농촌의 빈약한 의료 시설과 대비되는 대도시의 현대적 병원으로, 계층적으로는 빈곤층이 이용하는 공공의료 부문의 부족한 설비 및 과잉 수요 그리고 이에 대비되는 중산층 이상이 이용하는 민간의료 부문의 첨단시설을 갖춘 현대적 병원으로 나뉘어 공존하고 있다. 이 같은 의료 부문의 이중구조는 한국의 협력이 한편으로는 공공의료 부문의 시설 개선에, 또 다른 한편으로는 대도시 민간의료 부문에 대한 경제적 진출로 분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6) 정부의 검사 및 추적 조치는 대부분 부실하고 비효율적이며 접촉자를 추적하여 이들을 격리하는 정밀한 추적조사 시스템을 충분히 갖추지 못하였다. 초기 대응의 실패로 바이러스가 공동체 전체로 광범위하게 확산함으로써 추적조사 시스템의 효과가 사실상 무력화되었다.
이 같은 분석은 단순한 의료 부문의 역량 부족만이 아니라 정치적 의지, 불평등한 경제사회 구조와 제도적 효율성과 통일성의 결여 등도 바이러스 확산에 기여하였으며 따라서 의료 부문에 대한 투자 못지않게 경제적 평등과 제도적 효율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추적조사 및 방역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의료 시설과 장비의 도입만이 아니라 중남미 국가들의 효율적 제도 개선과 정부의 의료 부문 투자도 병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연구의 두 번째 부분은 중남미 각국의 진단 및 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특히 병원, 장비, 프로그램의 후진성과 부실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병원은 충분한 의료 인력과 장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인구 구성 대비 낮은 의료진 확보율, 의료설비와 의료용품의 부족, 개인보호장구 부족으로 인한 의료진 및 언론인들의 감염과 희생, 각종 치료장비의 부족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특히 관심을 가진 부분은 중남미 각국의 코로나 방역 조치의 신속성과 효율성으로 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일 검사자 수, 양성 판정률, 추적조사 실시 여부 및 추적방식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중남미 대부분 국가는 초기 대응에 실패하였으며 검사대상도 대부분 유증상자에 한정되어 코로나 확산의 저지에 별다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이 점에서 K-방역 프로그램의 도입과 제도화,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ICT 인프라 확대는 대중남미 협력의 핵심적 분야라 할 수 있다.
연구의 세 번째 부분은 중남미 국가의 ICT 개발 잠재력과 이에 기초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전망에 대한 분석이다. 대부분의 중남미 국가는 디지털 경쟁력 및 네트워크 준비 지수에서 세계 랭킹 50~100위 사이의 중하위권에 위치해 있다. 중남미 국가의 ICT 인프라는 아직 초보 단계에 있으나 이는 역설적으로 미래의 발전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종과 함께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ICT 인프라를 기반으로 비대면 생활을 일상화하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가 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평등한 디지털 전환은 지속가능한 경제와 국가 경쟁력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에 살아남기 위한 필수조건이 되었으며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을 억제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적 도약을 위한 전제조건이 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중남미 보건ㆍ의료 부문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주도할 디지털 혁신의 발전을 주도할 네 가지 트렌드에 주목한다. 첫째, 중남미 병원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통해 서류 작업을 없애고 전자의무기록(EMR/EHR), 의료영상저장 전송 장치(PACS) 등 정보기술과 응용 시스템을 활용하여 진단 및 치료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병원정보 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의 도입이다. 디지털 병원은 병원 관리를 위한 더 나은 재정적 옵션뿐만 아니라 더 나은 치료와 임상 결정을 제공하는 기초가 된다. 중남미 병원은 대부분 진단, 치료, 보험 처리까지 수기를 통한 문서 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정부는 EMR 확대 적용을 통해 디지털 병원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의료 부문의 디지털 전환은 각국 정부의 포괄적 디지털 전략의 한 부문으로 추진되어 장기적 전망은 긍정적이다. 다수의 중남미 국가들은 전자정부 프로젝트를 이미 오래전부터 진행해 왔으며 그중 상당수가 효과적 집행을 위한 법ㆍ제도의 정비와 독자적 시행기구 설치로 시행에 점차 속도를 내고 있다. 중남미 국가들은 사회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국가의 주요 발전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의료 부문의 디지털 전환은 정부 정책에서 우선순위에 속하여, 미래의 주요 성장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둘째, 원격진료는 다양한 이유로 병원에 가지 못하거나 의사를 만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병원 접근이 어려워진 코로나 국면에서 비대면 진료와 치료를 제공하는 원격진료는 크게 증가하여, 오지의 주민들도 이를 통해 대도시 병원의 전문적인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원격진료는 빈곤층에게 의료 서비스 접근을 용이하게 하며 중남미의 낙후된 병원 시스템의 취약점을 보강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나아가 코로나와 같은 감염병이 재발할 경우에도 코로나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의료 서비스가 소홀해진 비전염성 만성병 질환자 치료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중남미 의료시장에서 생체 신호를 측정, 기록, 전송하는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및 기타 소형기기를 포함하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건강 데이터의 생산자이자 소유자로서 환자의 적극적인 역할을 지칭하는 ‘의료 소비주의(healthcare consumerism)’는 빅데이터와 AI 알고리즘이 데이터 중심의 의사 결정을 제공하는 선진적 의료 서비스의 발전 과정에서 더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의사 중심의 의료 서비스 모델로부터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새로운 의료 서비스 모델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웨어러블 기기의 역할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마지막으로 AI의 활용은 의료 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성 개선, 그리고 비용 절감을 위한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이미 코로나 국면에서 AI를 활용한 효과적인 진료 예약 시스템을 통해 수많은 사람이 단시간에 의사 진료를 받을 기회가 주어졌고, 고가의 진단 장비를 대체할 수 있는 저비용 솔루션이 개발되어 확산하였다. 첨단병원 시스템에서 AI는 또한 최적의 치료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의료진의 임상 결정을 지원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브라질, 멕시코 및 아르헨티나 등지에서는 이미 AI 기술을 사용하는 많은 의료 스타트업이 등장하여 기존의 의료 서비스에서 소외된 수백만 명에게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마지막인 네 번째 부분은 한국정부와 ICT 기반 의료 관련 기업들의 중남미 진출과 관련된 기회와 위험 요소를 분석하고 각국의 상황에 적합한 진출전략을 제안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SWOT 분석을 통해 각국에 대한 진출전략도 제시하고 있다. 브라질과 멕시코는 향후 개발 가능성이 크므로 적극적으로 진출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페루와 아르헨티나는 정치ㆍ경제적 불안정과 개발 잠재력의 제약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에콰도르는 제한된 디지털 인프라와 제도 미비로 보다 신중하고 점진적인 접근이 권장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위 중남미 5개국의 빈곤지역 주민에 대해서는 시장적 협력을 넘어서 ODA 프로그램을 통해 ICT 기반 의료 혜택을 경험할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이다.
While the world has struggled to cope with the Covid-19 pandemic, the Republic of Korea has not only survived the pandemic, but utilized this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its international reputation through swift and skillful control of the measures. This success story has widely spread across the globe making headlines in the major news media. The Korean quarantine system, characterized by the three Ts (Test-Trace-Treatment),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quick response by the authorities concerned and the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to trace suspect cases.
This study is basically compos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the mechanisms of transmission of the virus in some Latin American countries (Brazil, Argentina, Mexico, Peru, and Ecuador); the second part deals with the development prospect of the medical industry, focusing on its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post-Covid era; and the last part presents the mode of cooperation with the Latin American medical sector.
More than anything else, this study examines variables that are assumed to have affected the spread of the virus in Latin American countries: measures taken by the government to control the epidemic, the quality of political leadership dealing with the health crisis, government spending on the health sector, effectiveness of the healthcare system, the role played by unequal socioeconomic structures, the resources and capabilities of the medical sector, including human resources and medical equipment, and the capabilities of ICT infrastructure to be used to control the spread of the virus. In addition, we also analyze the government measures for testing and tracing the suspect cases to see how effective and timely those measures have been. By analyzing the transmission mechanisms of the epidemic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est and trace policy we can locate the exact point of support and cooperation needed for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After examining many aspects of spread-control mechanisms in the five aforementioned countries, we conclude as follows: 1) the commitments on the part of the central government or the top political leadership to curb the spread of Covid-19 are important especially at the initial stage; 2) government spending on the health sector have been much lower than OECD countries, signifying that the medical preparedness of the health sector has been insufficient to deal with the sudden onset of the virus, and also that the economic contraction caused by Covid-19 means it will be difficult to expect any major increase in government spending or investment in healthcare; 3) the high percentage of informal sector employees, mostly living in the poor areas of the city and countryside with poor sanitary conditions and commuting by mass transportation,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the virus despite the stringent lockdown measures; 4) the shortage of medical staff, ICU beds, medical equipment and supplies (includ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the medical staff and ventilators and oxygen for the patients), though commonly observed in many parts of the world, prevented hospitals from providing effective treatment and even threatened the breakdown of the hospital system in some locations; 5) the healthcare sector has been divided into two de facto separate systems, that is, ill-equipped and poorly staffed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in the small cities and countryside on the one hand, and well-equipped and staffed private healthcare institutions for the affluent in the big cities, on the other; and 6) the test and trace policies of the governments were mostly scanty, ineffective and too slow to catch up with suspect cases. Initial responses to the virus have been slow and insufficient, in part due to the lack of test-kits and lab facilities, thus losing the golden time to effectively flatten the curve.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an analysis of the whole area of interactions among the state, economy, and medical sector leads us to believe that the coronavirus has widely spread through the rifts created by socioeconomic inequalities, fragmentation of the healthcare system, lack of medical preparedness and the supportive role of ICT infrastructure. Korea can be a great partner for Latin American countries to modernize their hospital system, supply appropriate medical equipments and supplies, introduce the K-quarantine programs, and invest in the ICT infrastructure and technologies.
The second part focuses on the ICT development potential in Latin American countries. Most Latin American countries rank between 50 and 100 in the digital competitiveness and network preparedness index. They are not advanced but have a great potential to develop further. For Korea this means a great variety of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the cooperative relations with the Latin American countries as well as business opportunities.
The coronavirus seems to be here to stay, with many different variants appearing all over the world, meaning it is time to formulate a proper vision for the post-Corona era. In the post-Corona era our lifestyle will be significantly transformed due to digital technologies and supporting ICT infrastructure playing a key role in ensuring a sustainable econom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Digital transformation is not an option anymore but an essential requirement to survive in the new era, and the same holds for measures to curb infectious diseases like Covid-19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This study provides four venues to catch up with the new trends in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health industry: 1) The hospital system in Latin American countries needs to incorporate digital solutions, making paper work disappear and ensuring a seamless flow of diagnosis and treatment process using EMR/EHR, PACS, and other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pplied systems. Digital hospital solutions will provide better treatment and better clinical decisions, as well as better financial options for hospital management. Though most of the hospitals in the region still rely on paper work for medical processes, there are already movements toward establishi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Many countries have been pushing for e-government projects recognizing digital health as a key task to accomplish.
2) Telemedicine is another way to provide better medical services for those who cannot come to hospitals and see doctors for various reasons. People living in remote areas and emergency patients in locations without sufficient medical equipments can take advantage of the expert diagnosis and treatment in the big city hospitals through telemedicine. Telemedicine is an absolute necessity for the people in high mountain areas and Amazon jungle in Latin America. Telemedicine has also provided a safe way of diagnosis and treatment during Covid-19 and will be a valuable service if any similar pandemic strikes again.
3) Smart wearable devices, including smart watches, smart phones and other small devices that measure, record and transmit vital signs to digital hospitals, are growing fast and will continue to do so. Healthcare consumerism, which refers to the active role of patients as producer and owner of health data, will play a bigger role in the healthcare process as big data and AI algorithms become ever more important in providing data-driven decision making.
4) AI has provided many valuable solutions for low-cost diagnosis in many diseases and also helped provide a cheap way of seeing doctors in a short time. Brazil, Mexico, and Argentina have seen many medical startups using AI technology emerge and develop fast providing valuable services for millions of people who otherwise could not use healthcare services.
In the third and final part of this study,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in terms of opportunities and risks involved when the Korean government and ICT-based healthcare providers seek to advance into Lain America. We recommend an active pursuit of opportunities toward Brazil and Mexico due to their huge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We recommend rather cautious but still active cooperation toward Peru and Argentina despite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instabilities and rather limited development potential for the time being. We recommend a cautious and gradual approach toward Ecuador due to its limited digital preparedness and small market chances. We also recommend active support for people in disadvantaged areas within Latin American countries using ODA programs offering them chances to experience the benefits of ICT-based healthcare.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의 주요 내용
3. 연구방법
4. 연구의 차별성과 기대효과
제2장 중남미 지역의 의료ㆍ방역 환경
1. 사회ㆍ문화적 특성
2. 보건ㆍ의료체계
3. 사회안전망
제3장 중남미 주요국의 코로나 방역역량과 의료 인프라
1. 브라질
2. 멕시코
3. 아르헨티나
4. 페루
5. 에콰도르
제4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남미 방역ㆍ의료 시장과 디지털 전환
1. 중남미 방역ㆍ의료 능력과 K-방역협력 모델
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남미 ICT 능력과 디지털 의료시장
제5장 한-중남미 의료ㆍ방역 협력 방향
1. 시장 부문
2. 국제개발협력 부문
3. 제도 및 정책추진 부문
제6장 결론: 대중남미 보건ㆍ의료 진출전략
1. 코로나19가 한-중남미 협력에 주는 시사점
2. 국가별 보건ㆍ의료 부문 분석과 진출전략
3. 종합: 중남미 방역ㆍ의료 부문의 도전과 한국의 진출전략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419 |
---|---|
판매가격 | 1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