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디지털 경제의 확산이 서비스 무역 비용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 시사점 경제개혁, 무역정책

저자 김상겸, 박순찬, 박인원, 오수현 발간번호 18-01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8.12.31

원문보기(다운로드:38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디지털 경제의 확산은 서비스 교역환경에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넷을 통한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하여 판매자와 소비자 양측의 시장접근이 언제 어디서나 가능해짐에 따라 전자상거래를 통한 교역은 크게 증가하고, 데이터의 거래량도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디지털화로 통신·운송 등 서비스의 무역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기업들은 글로벌 가치사슬(GVC)을 형성하고, IT 및 경영 서비스를 통해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로, 전체 생산액 대비 서비스 부가가치의 비중이 높아지는 서비스화(servicification)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추세이다. 2006년 전체 무역대비 80% 초반을 점하고 있던 세계 제조업 상품무역 점유율은 2013년 70%대로 하락한 이후 2017년 현재 76.8%에 머무르고 있다. 반면 서비스 무역은 2006년 19.8%에서 2017년 23.2%로 점유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제2장에서는 디지털 무역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비롯하여 각 국가의 대응전략을 살펴보았다. 일본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려는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반면, 디지털 경제에 대한 대응은 제조업 혁신 정책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은 2010년대 들어 서비스 산업 육성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제조업 고도화를 위한 생산성 서비스와 ICT 서비스 분야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있다.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인 독일은 Industrie 4.0 전략의 수립으로 제조업 생산 과정에 내재된 서비스를 디지털화하고자 하며, 스마트 팩토리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반면 호주는 전통적으로 관광, 교육 등 서비스 산업 중심 경제로서 서비스업에 대한 상세한 통계를 바탕으로 서비스 교역 확대 전략을 수립해 오고 있다. 최근에는 핀테크 산업 지원 정책에 힘입어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금융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디지털 경제의 확산이 서비스 무역비용에 변화와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측정하였다. 실증분석은 2단계로 구성되며, 그 첫 번째 단계에서는 2000~14년 기간에 세계 43개국, 5개 서비스 산업을 대상으로 양자간 서비스 무역비용을 Novy(2013)에서 소개된 국내거래와 국제거래의 상대적 차이를 통한 톱다운(Top-down) 방식의 무역비용 추정방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디지털 기술의 확산이 상기 측정된 양자간 무역비용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무역비용을 추정한 결과, 서비스 무역비용 상당치는 2000년 약 265%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2014년 231%로 추정되었다. 한편 제조업의 무역비용 측정치는 2000년 151%로 서비스업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2014년 128%로 추정되었다. 이는 제조업에 비해 서비스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부가가치를 생산함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무역 비중을 보이는 데 대한 원인으로 높은 서비스 무역비용을 지목하고 있는 기존 연구들의 정성적 평가를 정량적으로 검증한다. 산업별로 서비스 무역비용이 가장 높은 서비스 산업은 유통서비스이며, 운송서비스의 무역비용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앞서 서비스 전체의 무역비용과 유사하게 각 산업의 서비스 비용은 2000~14년 기간에 완만하지만 감소추세를 보인다.
   무역비용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통상환경의 디지털화를 나타내는 변수로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제공하는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IDI)와 European Centre for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ECIPE)가 제공하는 디지털 무역제한지수(DTRI)를 고려하였다. 첫 번째 변수는 각 국가의 디지털 기술수준을 대변하는 변수로, 정보사회를 측정할 때 가장 널리 사용된다. 두 번째 변수는 디지털화에 수반된 제반 규제를 반영하기 위한 변수이다. 분석한 결과, ICT 발전지수의 서비스 무역비용 절감효과는 제조업 무역비용의 절감효과를 크게 상회하고 지난 10년 기간 중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ICT 발전지수의 개선을 통한 서비스 무역비용 및 제조업 무역비용의 절감과 이에 따른 국제무역의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ICT 발전지수의 주요 항목, 즉 디지털 관련 기기의 개발과 보급을 통한 ICT 접근성의 개선, 디지털 관련 인프라의 확산과 개선을 통한 ICT 이용도의 제고, 디지털 관련 기기 및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인적자원의 교육을 통한 ICT 활용력의 제고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국가의 디지털 기술의 진전이 초래하는 서비스 및 제조업 무역비용의 절감효과는 디지털 무역규제의 부정적인 효과에 비해 강력하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ICT 발전지수의 무역비용 절감효과를 훨씬 상회하고 통계적인 유의성도 높은 디지털 무역제한지수의 무역비용 유발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무역제한 요인들에 대한 규제의 완화와 표준화를 위한 국제적인 규범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특히 서비스 무역의 경우 재정과 시장접근을 제한하는 정책을 완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실증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외국인직접투자 제한, 지식재산권, 데이터 관련 정책, 콘텐츠 접근, 표준과 온라인 판매 및 거래 정책 등에 대한 국가 간 기준의 차별성을 조사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범세계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디지털 무역을 제한하는 규제의 무조건적인 완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되며, 적절한 규제와 제도적인 정비를 통한 효율성 제고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증분석 결과의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한국 서비스업의 무역비용은 서비스업과 디지털 기술의 생산성에서 한국에 앞선 미국의 경우와 비교할 때 고려된 5개 서비스 산업 모두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서비스 교역량의 변화를 요인별로 분해하여 추정한 결과 한국의 서비스 교역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서비스 산업의 성장이 주도한 결과로 나타난다. 그러나 미국과 달리 제3국으로의 무역전환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이는 한국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이, 특히 선진국 시장에서, 아직은 비교우위를 갖지 못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한국의 디지털발전정도(IDI)는 미국보다 높지만 디지털무역제한지수(DTRI)가 미국보다 높은 점을 고려하여 중력모형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나 절대치에 있어 DTRI의 무역비용에 대한 부정적 효과가 IDI의 긍정적인 효과에 비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볼 때 한국의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디지털 인프라의 양적인 발전과 함께 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제도적 개선과 규제의 정비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서비스 산업 육성을 위한 세금과 보조금 등 지원정책과 정부조달 관련 정책의 정비를 통해 재정과 시장접근성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제4장에서는 한국경제의 국제적 연계성이 주요 경쟁 상대국들과 비교하여 어떠한 평가를 받고 있는지 MCI 국제연계성지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 한국의 상품 관련 국제적 연계 순위는 8위, 서비스 분야는 12위이지만, 금융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비하여 한 단계 낮은 28위, 인력교류 분야는 51위, 디지털 경제를 대표하는 교역재인 데이터 교류 분야는 중국보다 여섯 단계 뒤처진 44위를 기록하고 있어 지표상 동 분야에서 낙후된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 서비스 산업의 특성과 업종별 국제경쟁력을 여러 지표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은 운송과 건설 서비스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지보수 및 금융서비스 분야는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후보군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제3장의 실증분석 결과 무역비용 절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사업서비스를 포함한 다수의 고부가가치 창출 서비스 업종은 국제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분야로 검증되었다.
   우리나라가 서비스 교역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이 취약한 것은 서비스업의 낮은 생산성에 기인한다. 서비스업에 대한 한국의 취업 비중은 제조업 대비 4배 이상인 70.4%이다. 하지만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59.2%(2016년 기준)이며, 노동생산성 증가는 제조업의 1/4 수준에 불과한 2.4%에 그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본고에서는 첫째, 디지털 규제환경 개선, 둘째, FTA 활용 및 국제협력 확대를 통한 규제·제도 조율로 무역비용 절감, 셋째, R&D 제도 개선과 디지털 인재 육성을 제시하였다. 

   The rapid spread of digital technologies is bringing about a reshaping of the global business landscape, in which the roles of services have been diversified in the global value chain  (GVC). As a matter of fact, the share of global manufacturing goods trade, which stood at 80% of total trade in 2006, fell to 70% in 2013 and remained at 76.8% as of 2017. On the other hand, the share of service trade gradually increased from 19.8% in 2006 to 23.2% in 2017.
   Against this backdrop, we attempt to verify how innovating digital technologies can significantly affect trade costs in services by conducting rigorous empirical experiments. Our empirical investigation may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about global trade patterns currently in action and allow the designing of more practical policy options to take in the digitalizing global economy.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xamine the case with diverse approaches. First, we introduce digital economy strategies launched by major economies, then review ongoing cooperation agenda discussed in the global community, including the WTO, OECD and APEC, in response to digitalization. Next, we examine how manufacturing and service trade costs have changed in Korea from 2000 to 2014, and trade costs between Korea and its major trading partners. Following this, we analyze the determining factors of service trade costs using the gravity model. Next, we analyzed Korea's service trade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its global competitiveness in each service sector.
   One of the initial outcomes we found is th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s service trade is very low compared to its manufacturing trade. The empirical evidence clearly suggests the weak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Korea’s service trade field is due to low productivity in its service industry. The share of the service sector in Korea is 70.4%, accounting for a larger portion than the manufacturing sector. However, the value added portion of the service industry is 59.2% (as of 2016), and the increase in labor productivity is only 2.4%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Next, we analyze and measure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s in the service trade cost in the digital economy. In the first phase of the analysis, the bilateral service trade costs for five service industries in 43 countries and in the world between 2000 and 2014 are compared with those of domestic transactions and international transactions introduced in Novy (2013). We used a top-down trade cost estimation method with relative difference. In the second stage, the effect of proliferation of digital technology on the measured bilateral trade cost using the gravity model was quantitatively analyzed.
   Our estimations of trade costs indicated the service trade cost value was about 265% in 2000 and estimated at 231% in 2014. On the other hand, the trade cost measur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was 151% in 2000, which is lower than the service industry, and estimated at 128% in 2014. These results quantitatively verify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existing studies that point to high service trade costs as a cause of the relatively low share of trade, even though the service industry produces a relatively high added value as compared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service industry, which has the highest service trade cost by industry, is a distribution service and the trade cost of transportation service is the lowest. Similar to the service costs of the entire service industry, the service cost of each industry gradually decreases in the period of 2000-2014.
   In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rade costs, we used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ment Index (ITI) provided by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and the Digital Trade Restriction Index (DTRI) provided by the European Center for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ECIPE). The first variable represents the level of digital technology in each country and is most widely used in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The second variable is used to reflect the regulations that accompany digitization. The results show the service trade cost reduction effect of the ICT development index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duction effect of the manufacturing trade cost, is continuously increasing during the past 10 years and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also analyze that the reduction of service and manufacturing trade costs caused by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will not be stronger than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de regulation.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DTRI, which greatly exceeds the trade cost reduction effect of the ICT development index and has high statistical signific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ternational norms for relaxation of regulations and standardization of digital trade restriction factors. 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the empirical analysis that it is the most effective to mitigate policies that limit the access to finance and market access in the case of service trade, policies to limit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ata policy, content access, standards and online sales and transactions and international efforts for standardization should be mitigated. However, the unconditional easing of regulations restricting digital trade would not be a desirable approach, and appropriate regul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institutional maintenance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More specifically, examining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trade cost of the Korean service industry is considerably higher in the service industries and the productivity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five service industries is at an advanced level. The factor analysis shows that the growth of service trade in Korea is led by growth in the service industry. However, unlike in the US, the effects of trade diversion to third countries were significant, reflec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service industry, especially in developed markets, not yet comparable. In order to develop the service industry in Korea, the above-mentioned digital infrastructure should be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regulation should be prioritized to enhance its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it seems to be more effective to improve financial and market accessibility through support policies such as taxes and subsidies to promote the service industry and improvement in government procurement-related policies.
   As a strategy to enhance Korea’s international competiveness in the service industry, this paper suggests firstly improvement of the digital regulatory environment, second, expans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such as by enhancing FTA networks, and third, improvement of R&D operating mechanism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디지털 경제와 서비스 무역: 변화와 대응
1. 디지털 경제 확산과 서비스 무역의 변화
    가. 디지털 경제 확산에 따른 국제통상 환경의 변화
    나. 서비스 무역의 추세와 특징
2. 디지털 경제 확산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주요국의 대응
    가. 국제적 논의 동향
    나. 주요국의 서비스업 확대를 위한 전략


제3장 디지털 기술의 확산과 서비스 무역비용: 정량분석
1. 최근 통상환경과 디지털 기술의 확산
2. 디지털 기술의 확산과 서비스 무역
3. 서비스 무역비용의 추정
    가. 서비스 무역의 특징과 서비스 무역비용
    나. 추정방법
    다. 서비스 전체의 무역비용
    라. 서비스 전체 무역 증가의 분해
    마. 산업별 무역비용의 변화 및 비교
    바. 산업별 서비스 무역 증가 요인의 분해
4. 중력모형과 데이터
5. 분석 결과
    가. 디지털화가 전체 서비스의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
    나. 디지털 무역제한의 세부 항목과 서비스 무역비용
    다. 디지털화가 서비스 산업별 무역비용에 미치는 영향


제4장 디지털 경제와 한국 서비스 산업: 현황 및 과제
1. 디지털 경제와 한국 서비스 산업
    가. 디지털 시대의 한국의 국제적 연계수준
    나.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 현황 및 특성
2. 한국 서비스 산업의 수출경쟁력
    가. 국제시장 점유율(IMS)
    나. 무역특화지수(TSI)
    다. 대칭적현시비교우위(RSCA) 지수
    라. 무역수지기여도(CTB)
3. 한국 서비스 수출의 경쟁력 저해 요인
    가. 서비스 산업의 중소기업 집중 현상
    나. 서비스 수출의 소수의 저부가 항목에 대한 집중 현상
    다. 디지털 규제환경


제5장 결론 및 정책 시사점
1. 요약 및 정책 함의
2. 한국 정부의 서비스 산업 해외진출 추진전략
3. 정부 서비스 지원정책의 특성 및 과제
4. 대응과제 및 시사점
    가. 디지털 경제 확산에 대응한 규제환경 개선
    나. FTA 활용 및 국제협력 확대
    다. R&D 제도 개선과 디지털 인재 육성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6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