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연구: 직업교육 ODA 사업의 효율화 방안을 중심으로 경제개발, 노동시장

저자 박영호, 정재욱, 김예진, 정민지, 황규희 발간번호 연구보고서 19-0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9.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87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개도국의 산업수요에 부응하여 산업기술인력의 양성을 지원하는 직업교육훈련(TVET) 사업은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ODA)의 주력 분야 중 하나로 동남아, 중앙아시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거의 모든 지역을 망라하고 있으며 점차 증가하는 개도국의 협력수요를 감안할 때 앞으로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한국이 실시해온 직업교육훈련 ODA 사업의 추진 과정을 관찰해 보면 인력수요 전망에 대한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직업교육훈련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직업훈련센터 건설이나 교육기자재 제공 등 하드웨어 지원과 커리큘럼 등 교육 과정 계획 수립에 앞서 인력수요 전망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예측력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동안 한국이 실시해 온 인력수요 조사 방법으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개도국의 산업인력 수요 전망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론을 다루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직업교육훈련 ODA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도국 노동시장의 제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산업인력 수요 전망에 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를 대표적인 신흥국가인 베트남에 시범 적용하여 산업 및 업종별 산업인력 수요 전망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나아가 최근 신흥국 노동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인력 수요조사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이 그동안 개도국에서 수행한 직업교육훈련 ODA 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대상으로 수요의 관점, 즉 산업인력 수요조사 실시 여부, 조사 범위, 조사 방법의 적절성 등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사업들의 사업제안서, 타당성조사 보고서, 평가보고서 등의 자료를 입수하여 직업교육훈련 사업 추진 과정에서 교육수요 조사 부분이 사전적으로 어느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어졌는지를 평가하였다.
   제3장에서는 신흥국의 산업인력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론 개발에 앞서 다른 선진국 및 신흥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 노동시장 전망모형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과거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배치가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였고, 이에 따라 산업인력 수요 전망 연구가 시작되었다. 기본적으로 노동수요는 경제의 총수요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파생수요이기 때문에 정확한 거시경제 전망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인구, 거시, 산업, 노동 등의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각 부문별 연관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일반균형모형에 기반한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모형의 규모가 커지다 보니 국가별로 추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경제 전체를 적절히 거시경제, 대외경제, 노동시장 등의 블록으로 나누고, 블록 내의 동태적 추정에 집중하기도 한다. 또한 기술발전, 국제교역환경의 변화로 인한 신산업의 등장과 기존 산업의 쇠퇴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정성적 방법을 보완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력수급 전망 전담기관인 고용정보원을 설립하고 2006년부터 국가 인력수급 전망 추진체계에 따라 인구·사회·경제·산업구조의 변화를 반영한 인력수급 전망을 실시하고 있다. 전체 전망모형은 크게 총량 인력수급 전망 부문과 신규 인력에 대한 수급 전망 부문으로 나뉜다. 총량 부문은 경제활동인구의 구성과 추이, 산업별 성장 전망치를 기초로 노동인력의 저량(stock)을 추정하는 부문이며, 신규 인력에 대한 수급 전망 부문은 신규 인력의 공급과 수요가 학력, 전공, 기술 수준 등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일정 기간 동안의 유량(flow)으로 파악한다. 인력공급 전망은 인구주택총조사를 활용한 인구 추계,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활용한 경제활동참가율 추계를 활용하여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전망치를 추정한다. 인력수요 전망은 국민소득계정자료를 바탕으로 산업·거시계량모형을 활용하여 산업별 실질부가가치에 대한 전망치를 추정하고 산업별 노동 및 생산에 대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얻은 취업추계를 곱하여 산업별 노동수요를 전망한다. 이에 산업-직업 간 노동수요행렬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산업 및 직업별 노동수요를 추정한다. 최종적으로 총공급과 총수요가 자연실업률 수준에서 일치하도록 재귀적 구조를 구성하여 인력수급전망을 도출한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인력수급전망 방법론은 우리나라의 사례와 비슷하다. 미국 노동통계국의 모형은 산업이나 직업 측면에서 세분화된 자료를 활용하는 특징이 있고, 네덜란드의 ROA 모형은 하부 노동시장에서 교육의 분야나 수준별 직업 전망을 세분화하여 예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통계 정보나 전망 수행 역량 부족으로 인해 체계적인 산업인력 수요 전망을 시행하기 어렵다. 일부 국가에서 국제노동기구 등 국제기구나 원조공여국의 지원을 통해 산업인력 수요 전망에 필요한 통계 정보 구축과 전망 수행 방법론 개발을 시행하고 있다. 다만 이런 지원사업은 일회성으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고, 산업인력 수요 전망 사업 자체가 워낙 필요한 비용과 인력이 방대하다 보니 자체적으로 산업인력 수요 전망을 체계화하고 지속하는 것이 쉽지 않다.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은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어느 한 가지 방법에 의존하기보다는 분석 기법들의 ‘결합’을 통해 예측력을 높이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분석 방법의 결합은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지만, 다양한 방법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예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4장에서는 신흥국의 특성에 맞는 정량적 기법과 정성적 기법의 결합을 시도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신흥국인 베트남을 대상으로 산업 및 직업별 인력수요 전망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베트남은 신흥국 중에서도 비교적 노동시장 관련 통계 구축 수준이 양호하고, 직업교육 ODA 사업의 핵심 산업인 제조업의 비중이 높으며, 우리나라의 직업교육훈련 원조 규모가 가장 크기 때문에 본 사례 연구를 적용할 대표 신흥국으로 선정되었다. 우선 베트남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대분류 산업 20개와 대분류 직업 9개에 대한 고용 전망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론에 기초하여 산업 및 직업 대분류에 대한 전망을 시행하였으나 신흥국의 특성상 시계열이 짧고 거시 전망의 안정성이 낮아 2019~24년에 대한 중기 전망까지만 실시할 수 있었다. 그 결과 2024년까지 연평균 총취업자 수는 0.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산업별로는 상당한 추세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업 부문 취업자 수는 매년 약 2.4% 증가하는 반면, 농업 부문이나 광업 부문 등 1차 산업의 취업자 수는 연평균 0.8~3.1%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직업별로도 전문가 직종에 대한 고용이 연간 5.3% 증가하는 반면, 단순노무종사자나 농림어업 부문 숙련 노동자에 대한 고용은 연간 1.9~3.5%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직업훈련교육의 핵심 산업인 제조업의 세부 산업 및 직종에 대한 전망을 시행하였다. 제조업 세부 통계가 부족하여 베트남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지 못하고 UNIDO의 INDSTAT 4의 제조업 내 산업별 부가가치와 취업자 수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체 제조업의 고용인력 규모는 2017~24년 동안 연평균 1.7%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이 중 통신장비 제조업(ISIC Rev. 4기준 263번 산업)의 경우 2007~12년간 연간 47.3%와 2013~16년간 연간 35.8%로 큰 폭의 고용 성장세를 보였으나 2017~24년 동안 고용 증가율이 연평균 3.9%로 조정될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의 통계 구축 수준에서는 제조업 세분류 161개 산업에 대한 계량적 방법론 적용만 가능하기 때문에 더 세부 산업에 대한 인력수요 전망은 비전통적 방법론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 TVET 사업의 핵심 대상이라고 할 수 있는 제조업 중 최근 베트남에서 가장 유망한 무선통신장비제조업을 대표 산업으로 선정하고 정량적 기법과 정성적 기법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상위 산업인 통신장비 제조업에 대한 노동인력 전망을 기초로 교역통계, 사업체 조사 결과, 베트남 정부 및 산업 전문가 면담 등을 활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우 현재 UNIDO에는 데이터가 소분류(3단위)까지밖에 없으므로, 이보다 심화된 세분류(4단위) 분석에 필요한 인력수요 전망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기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제표준산업분류에는 세분류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제10차 한국 표준산업분류를 참고하여 통신장비 제조업을 다시 ‘유선통신장비 제조업’과 ‘방송 및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이하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비용의 제약상 1개 세분류 산업에 대해서만 기업 설문조사를 실시할 수 있었다. 휴대폰 및 관련 부품이 베트남 수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을 고려하여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을 선택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체 설문조사에서는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향후 전망, 현재 고용인원 및 향후 인력수요, 국제표준직업분류(ISCO-08) 중 직업교육 ODA와 관련이 높은 3개 직종(전문가, 기술자 및 준전문가,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에 대한 향후 인력수요를 파악하였다. 추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미래 전망은 단기(향후 1년)와 중기(향후 5년)로 나누어 질문하였다. 설문 응답기업은 대부분 외국기업이었으며, 휴대폰 및 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많았고, 베트남 산업 전체와 비교했을 때 대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발전에 관해서는 기업들이 대체로 해당 산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특히 직원 규모 500명 이상 대기업들이 미래 산업전망을 보다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수요 측면에서는 응답기업의 절반 이상이 지난 1년간 인력을 충원했으며, 특히 설립한 지 5년 미만의 신생기업이 보다 적극적으로 인원을 충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인력수요에 있어서는 기업들이 단기(향후 1년)보다 중기(향후 5년)에 걸쳐 인력을 더 많이 증가시킬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3개 직종에 대한 인력수요는 향후 중기적으로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에 대한 수요가 다른 직종에 비해 높았으며, 장기적으로 베트남의 기술발전에 따라 해당 직종이 미숙련 단순노무종사자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인력수요 전망에 정성적인 평가를 반영하기 위하여 베트남 현지를 방문하여 경제 기획, 예측, 통계 등을 담당하는 현지 기관들을 대상으로 주요 이해관계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에서는 현지 노동시장의 특징 및 문제점,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산업 전망 및 인력수요 전망, 직업교육훈련 관련 수요를 파악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정보는 계량분석과 설문조사를 결합하여 추정한 산업별·직종별 인력수요 전망 수치를 최종 보정하고, 직업교육훈련 ODA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활용되었다. 베트남의 노동시장은 비공식 부문이 크고, 교육 받은 인력이 적으며, 노동집약적 산업 부문에서 외국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특징이 있었다.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향후 전망에 대한 현지 관계자들의 의견은 긍정적 전망과 부정적 전망으로 크게 갈리었다. 먼저 앞으로도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은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며, 이와 더불어 인력수요 증가율도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이 있었다. 긍정적 전망의 주요 근거로는 외국인 투자 증가 가능성, 베트남 정부의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에 대한 관심, 현지 기업의 휴대폰 제조 참여 등이 있었다. 반면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성장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는데, 삼성전자의 베트남 생산물량 감소와 현지 기업 및 노동자의 역량 부족으로 인한 외국인 투자 감소 가능성 등이 주요 근거로 거론되었다. 직업교육훈련 ODA에 있어서는 미숙련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계량분석, 설문조사, 이해관계자 면담을 결합하여 베트남의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내 3개 주요 직종에 대한 인력수요를 전망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재 통계가 부재한 베트남의 산업 세분류(4단위)에서 인력수요를 전망하기 위해 교역통계 및 제4장 2절에서 예측한 베트남 통신장비 제조업 부가가치 추정치에 기업체 설문조사 결과를 적용하여 2020~24년 베트남의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산업 전망,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인력수요 전망,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내 3개 직종에 대한 직종별 인력수요 전망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수치는 이해관계자 면담 내용을 반영하여 현실에 맞게 조정하였다. 계량분석 결과 통신장비 제조업은 과거 10년간 연평균 약 60%씩 성장하였으며, 통신장비 제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선통신장비 제조업도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래 전망과 관련하여 계량분석에서는 통신장비 제조업이 향후 5년간 약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기업체 설문조사에서는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향후 5년간 성장률이 5~10%에 그칠 것이라는 답변이 많았고, 이해관계자 면담에서도 설문조사 결과를 보충하는 의견이 많아 최종적으로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중기적 성장률을 연평균 10%로 조정하였다. 인력수요의 경우 계량분석 결과에서 얻은 고용유발계수 추이와, 현지 기업체 설문조사, 이해관계자 면담 결과 등을 종합하여 취업자 수 증가율이 향후 5년간 연평균 2%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산업별·직종별 인력수요의 경우 현재는 전체 직종 중 단순노무종사자 비율이 가장 높지만, 향후 5년간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내에서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가 점차 증가하여 산업 내 가장 비중이 큰 직업군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을 대상으로 계량분석과 기업체 설문조사의 결합을 통해 무선통신장비 제조업 분야에서 직업군별 노동인력 전망치를 추정했는데 이러한 방법은 다른 신흥국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적용 가능하다. 대부분의 신흥국에서 관련 통계 구축 정도는 베트남의 통계시스템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산업 대분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중분류 수준에서 시계열 통계자료 활용이 가능하므로 그 수준에서 계량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 들어 많은 개도국들이 국제노동기구(ILO)나 선진 원조 공여국의 지원으로 국가 및 산업 통계시스템 구축에 나서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볼 때 정량분석 방법론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국제 분업체제에 편입되어 있는 산업 분야에서의 인력수요 전망은 제5장에서 소개한 글로벌 가치사슬(GVC) 분석 방법론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많은 신흥국들이 글로벌 가치사슬 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방법론은 결코 유용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의 경우 아직까지 선진국에서도 자주 사용되지 않고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지만, 최근 들어 개도국에서 빠르게 인터넷 사용이 확대되면서 구인구직 광고의 상당 부분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활용성이 떨어진다고 보기 어렵다. 개도국의 높은 비공식 부문 비중을 감안하면 활용 범위에 있어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설문조사 등 전통적인 인력수요 조사 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데다가 자료 수집 주기를 쉽게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노동수요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섬유의류 등 전통산업보다는 정보통신 등 개도국 신흥산업의 인력수요를 전망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을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ODA 수행기관의 관심과 더불어 정책적 지원 노력이 요구된다.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VET) programs are a critical area within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mandate of Korea. Korea is implementing TVET projects in a wide range of regions, including Southeast Asia, Central Asia,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the Middle East, and Africa.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mand for TVET from developing countries, Korea is expected to continue and expand its TVET projects. Korea has not been conducting systematic labor market forecast in the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VET projects. Developing systematic labor forecast methods and increasing predictability of labor demand should precede actual hardware support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job training centers and distribution of training materials as well as curriculum develop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VET projects. However, the labor demand forecasts conducted by Korea up to now largely fall short of these expectatio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systematical labor forecast methods, thereby contributing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VET ODA. Towards this, the study suggests a labor forecast method that considers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ountries, and applies the method to Vietnam as a pilot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estimates Vietnam’s future labor demand by industry and by occup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s alternative labor market projection methods that can possibly deal with new changes observed in the labor markets of emerging countries.
   Chapter 2 reviews Korean TVET ODA projects and evaluates the demand side of the projects, for instance whether any labor market forecasts had been conducted for these projects or not, and the scope and method of labor market forecast. We examine project proposals, project validity studies, and evaluation studies for evaluating how much the demand side was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VET projects.
   In Chapter 3, as a precursor to developing an alternative labor projection method, we introduce labor forecast models used in developing and advanced countries and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Labor forecast studies started as the issue of effective human resource allocation emerged as a national task for many countries after World War Ⅱ. Accurate macroeconomic projection is critical for labor forecast, because labor demand is basically derived demand generated as the aggregate demand of economic increases. Recently, econometric methods based on the general equilibrium model are largely used in order to include inter-related effects of sectors, by using population, macroeconomic, industrial, and labor time series data. As the model becomes larger, several countries divide the economy into several blocks (e.g. macroeconomy, international economy, labor market, etc.) and focus on the dynamic estimation in each block. Furthermore, qualitative methods are used to take account for the impact of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decline of existing industries du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al change.
   In Korea,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established to perform projections of labor demand and supply starting from 2006. This labor forecast reflects changes in population, society, economy, and industry structure. The projection model is largely composed of a section dealing with aggregate labor supply and demand forecast, and a forecast of new labor force. The section on aggregate labor supply and demand forecast estimates the stock of labor supply and demand based on the composition and trends in the labor force, and industrial growth prospects. The section on new labor force forecast estimates the flow of labor supply and demand and the supply-demand gap for a certain time period and looks at how new labor supply and demand change by education, major, and technology. The labor supply forecast estimates the labor force based on population prospects using census data and economic participation rate projections using labor force survey data. The labor demand forecast estimates real value-added based on industry prospects using an industry-macro econometric model with national income account data, and labor demand forecast by industry by multiplying employment coefficients earned from labor and production time series data by industry. This is used for estimating labor demand forecast by industry and occupation in addition to an estimated industry-occupation labor demand matrix. Finally the recursive structure of the model satisfies the matched aggregate labor supply and demand at the natural unemployment rate level. Labor forecast methods used in most advanced countries are similar to the Korean model. The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model uses segmented data by industry and occupation, while the Dutch ROA model is characterized by segmenting and forecasting job prospects by sector or level of education in the underlying labor markets.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lack of statistics data or forecasting capacity and experience makes it difficult to implement a systematic labor market forecast. Some countries are developing methodologies to build statistical information and forecasts for industrial labor demand with the suppor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or donor countries. However, these projects are likely to end as one-time events while performing forecasts on industrial labor demand involves huge expense and experts. This makes it difficult to systemize and maintain the industrial labor demand forecasting system independentl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have different strengths and weakness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rediction power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analytical methods rather than relying on any one method. Combining analytical methods needs more time and cost than using one method, but various method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redictions.
   In Chapter 4, we applied our labor forecasting methodology to Vietnam, an exemplary emerging country, to estimate future labor demand by industry and occupation, as a pilot analysis that combin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for emerging countries. Vietnam was chosen for the pilot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The level of labor market statistics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emerging economies, while the manufacturing industry, a key industry in vocational education ODA projects,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in the economy. Also, Vietnam is the largest recipient of TVET assistance from Korea. First of all, we use data from th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to forecast labor demand for 20 major classification industries and nine major classification occupations. Based on the forecasting methodology used in Korea, the outlook for industrial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was implemented,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countries that have short time series data and less stable macroeconomic prospects, we could only perform a mid-term forecast for the period of 2019 to 2024. Our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trend difference by industry though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is expected to increase by 0.5% annually on average by 2024.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s expected to increase by 2.4% per year, while employment in primary industries such as the agricultural and mining sectors is expected to decrease by 0.8% to 3.1% per year. By occupation, employment in professional groups is expected to increase by 5.3% per year, while elementary occupations and skille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are expected to decrease by 1.9% to 3.5% per yea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implemented a labor demand forecast for detailed industries and occupations with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s at the core of vocational training. Due to the lack of detailed statistics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thin the data from th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we chose to use data taken from the UNIDO Industrial Statistics (INDSTAT) Database 4 on value-added and number of employees by industr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tal employm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expected to increase by 1.7% annually during the 2017-2024 period. Employment in the manufacture of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263 in ISIC Rev. 4) increased by 47.3% and 35.8% annually for 2007-2012 and 2013-2016, respectively, but the annual growth rate of employment in this sector is expected to adjust to 3.9% annually during 2017-2024.
   Currently, traditional quantitative forecasting methods can be applied only to 161 minor groups (3 digits) of industries in Vietnam, because unit-level (4 digits) statistics have not been fully established. Accordingly, using non-traditional methods is necessary in labor forecast for further detail industries at unit level. We applied a hybrid method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o the manufa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one of the most prominent sectors recently in the Vietnamese manufacturing industry, and given that TVET projects mostly target the manufacturing sector, this study chose model cases among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Import and export statistics, enterprise survey, and interview of Vietnamese government officials and experts on Vietnamese industry are conjointly used in the labor forecast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based on the quantitative projection of its upper level category, the manufacture of communication equipment. UNIDO currently provides data on the Vietnamese communication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at minor group level, thus an enterprise survey was implemented in order to gain more detailed statistics. Since the 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of All Economic Activities (ISIC) does not specify unit level categories, we follow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 and divide the manufacture of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into manufacture of “wir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broadcast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hereinafte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e conducted an enterprise survey in only one of the two unit level industries due to time and budget concerns. Considering how cellular phones and relevant parts take a large part of Vietnamese exports, the manufa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as selected for our enterprise survey. The enterprise survey asked respondents for their outlooks on the industry, the current employment status and future labor demand of the industry, and the future labor demand of three types of occupation (professionals, technicians and associate professionals,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VET ODA within the industry. In order to compare trend changes over time, survey questions on the future outlook were subdivided into short-term (next year) and medium-term (next five years) expectation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foreign-owned companies, with companies producing cellular phones and related parts constituting a substantial part. Additionally, the portion of large companies with 500 or more employees was relatively large in the sample compared to the portion of large companies in the entire Vietnamese industr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most companies evaluated the industry as showing stable growth. Particularly, enterprises with 500 or more employes appeared to have more positive expectations on the future of the industry. With regard to labor dem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had employed workers during the previous year. Among them, newly established companies, defined as companies established within the past five years, were more actively hiring new employees. Considering the future labor demand, most enterprises answered that they plan to further increase their employees over the medium term (five years) than over the short term (one year). The labor demand for the three occupations asked in the survey is expected to gradually increase over the medium term. The demand for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in particular, was higher than demands for other occupations. In the longer term, together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Vietnam, the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occupation can possibly replace unskilled elementary occupations. In order to include qualitative analysis in our hybrid-type of labor forecasting method, we interviewed Vietnamese stakeholders in institutes and ministries in charge of economy planning, economic forecast, and statistics. The interviews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Vietnamese labor market, stakeholders’ expectations on the outlook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and labor demand, and the demand for TVET assistance.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interviews was used in adjusting estimated labor demand by industry and occupation, gained from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enterprise survey, and in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for TVET assistance. Firstly, the Vietnamese labor market is characterized by a large informal sector, less skilled workers, and substantial portion of foreign-owned companies in labor-intensive industries. Secondly, the experts’ opinions on the outlook of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were divided into largely positive and negative expectations. Some experts predicted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would continue to show a high level of growth, and accordingly, labor demand growth rate would be high. These exper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creasing, the Vietnamese government’s drive to promot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and local enterprises’ participation in cellular phone production as factors supporting their views. On the other hand, other experts with a somewhat pessimistic view expected a slowdown in the growth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These respondents presented the decrease in Samsung Electronics’ production in Vietnam, and the possible decrease in foreign investment due to lack of capacity among local laborers and enterprises as arguments for their opinions. Lastly, regarding TVET ODA, the demand for training of unskilled laborers is high.
   Finally, we combined the quantitative analysis, enterprise survey, and stakeholder interview, and subsequently estimated labor demand for the three key occupations in the Vietnames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To be specific, we estimated the industry prospect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the overall labor demand prospect of the industry, and the labor demand for the three occupations in the industry, by applying the result of our enterprise survey to the estimated value added of the Vietnamese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calculated in Chapter 4 and trade statistics. The estimated numbers were adjusted to reflect the result of stakeholder interviews to supplement the lack of data.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annually grew by about 60% for the last 10 years, and accordingly its largest subdivis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was estimated to have expanded at a similar rate. Regarding the future prospect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the quantitative analysis estimated that this growth rate would slow to 20% per year over five years. Considering the survey results and interviews supporting views that the growth rate of the industry in the next five years will be 5?10%, however, the medium-term growth rate of the industry was adjusted to 10%. Concerning the labor demand, the annual employment growth rate was estimated at around 2% for the next five years, based on combining the trend of employment inducement coefficient from quantitative analysis, the enterprise survey, and stakeholder interviews. Currently, element occupations take the largest portion in the labor demand by industry and occupation, but over the next five years, the “plant and machine operators and assemblers” group is expected to gradually increase, thus becoming the largest occupation group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in the near future.
   This study estimated labor demand by occupation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industry in Vietnam, by combin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ntitative survey. This method is readily applicable to other emerging countries. Although most emerging countries have less-detailed labor statistics compared to Vietnam, many of them still provide time series data on the major (1 digit) and sub-major (2 digits) group level. Thus, quantitative analysis, one of the bases for our new method, is feasible on these levels. Furthermore, many developing countries are establishing national and labor statistics system with the help of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in the medium and longer term, the use of quantitative analysis is likely to increase.
   For the labor demand forecast in the industry integrated in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the Global Value Chain method introduced in Chapter 5 can be applied. When consider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f emerging countries in global value chains, this method may be practical. Lastly, big data analysis, which has been used but limitedly so far even in advanced countries, can also be practically used to forecast labor demand in developing countries, taking increased internet use and online job advertisements in these countries into account. While the big data method has certain disadvantages considering the large informal sector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method also has some advantages compared to traditional labor demand surveys, such as being cost-efficient and increasing the frequency of information collection. As the method can immediately reflect labor market changes in the labor forecast, it could be widely useful in emerging industries rather than traditional industries. ODA implementing agencies would benefit from paying attention to the labor forecast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nd devise policies supporting these methods in order to properly apply these methods in reality.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구성·범위
3.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제2장 한국의 직업교육 ODA  현황 및 인력수요 조사방법
1. 한국의 직업교육 ODA 현황
2. 한국 직업교육 ODA 사업의 인력수요 조사방법
3. 소결: 인력수요 조사방법 개선의 필요성


제3장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 전통적 방법
1. 정량분석
2. 정성분석
3. 분석방법의 결합


제4장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 방법론의 시범적용: 베트남
1. 베트남 적용 이유 및 의의
2. 계량분석 결과
3. 기업체 설문조사 결과
4. 이해관계자 면담조사 결과
5.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의 결합: 무선통신장비 제조업의 중기 인력수요 전망


제5장 신흥국 산업인력 수요전망의 새로운 접근방법 모색
1. 새로운 분석방법론 모색의 필요성
2. 국제 분업체계에 따른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접근
3. 디지털 데이터 접근에 따른 빅 데이터 분석


제6장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5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중국 고용시스템과 일자리 정책 2023-12-29 중국종합연구 디지털 전환 시대 한중 청년여성들의 ‘일’과 ‘가족형성’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2023-12-29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과 노동의 연계에 관한 글로벌 규범 현황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기후·환경변화가 이주 및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2021-12-27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한국의 지역별 개발협력 추진전략: 아시아 지역 ODA 지원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소득 및 소비 불평등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