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경제협력, 해외직접투자

저자 이권형, 손성현, 장윤희, 유광호 발간번호 18-10 발간일 2018.12.28

원문보기(다운로드:2,17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동지역 중소기업의 특징과 경영환경, 중동 주요국의 육성전략 및 지원정책, 정부간 중소기업 협력사례 등과 함께 국내 중소기업의 대중동 진출 동향 및 애로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중소기업의 대중동 진출 확대를 위한 기본적인 정책 방향과 효과적인 지원방안 및 한ㆍ중동 중소기업 협력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대 이후 중동 국가들의 경제정책 변화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소기업 협력’이라는 새로운 한ㆍ중동 경제협력 의제를 발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뒷받침된다면 국내 중소기업들이 해외진출 역량을 강화하고 중동지역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확보함으로써 중소기업 주도의 혁신 성장을 추진하기 위한 국정과제를 달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는 중동지역 중소기업의 육성 배경 및 특징을 파악하고 경영환경을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은 중동지역의 경제다각화, 일자리 창출을 비롯해 향후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지역 중소기업의 GDP 기여도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전체 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면서 고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14년 하반기 시작된 유가하락으로 경제다각화와 민간 부문 발전 필요성이 커진 가운데, 중동 산유국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소기업 육성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각국 정부는 기업 발전을 위해 지원 프로그램과 투자를 확대해왔으며 이는 지역 내 스타트업의 증가 추세로 이어졌다. 특히 UAE는 투자 규모에서 다른 국가들에 비해 크게 앞서며 중동지역의 스타트업 발전을 이끌고 있다. 기성세대보다 창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향후 중동지역 스타트업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스타트업의 부상은 지역 내 중소기업 발전에 새로운 활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동지역 중소기업의 성장 잠재력은 높은 평가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기업 경영환경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 기업환경 및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업환경평가, 글로벌경쟁력지수, 글로벌혁신지수 등의 지표에서 중동지역은 전반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금융접근성 제한, 법적 제도 미비, 노동시장 비효율 등은 중동지역 내 중소기업이 직면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으며, 중소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동지역 내 구직자의 공공 부문 선호가 여전히 높고 민간 부문 수요를 맞출 수 있는 인적자원이 부족한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업무강도가 높고 임금이 적은 민간 부문 취업은 기피되어 왔으나 향후 경제발전 및 실업문제 해결을 위해 중소기업을 통한 민간 부문 육성은 불가피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 부문 개혁 및 직업교육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기술력을 증대해야 할 것이며, 민간 부문 취업에 대한 인식 개선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3장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집트, 튀니지 4개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육성과 관련된 주요정책 및 제도, 정부간 협력사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16년 ‘사우디 비전 2030’과 ‘국가 변혁 프로그램 2020’의 발표를 통해 중소기업 부문에 대한 비전 및 세부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을 설립하는 등 최근 관련정책의 시행을 본격화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사우디산업개발펀드를 통해 자국 중소기업에 신용보증 및 장기 저리 금융을 지원하고 있으며,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ICT, 에너지, 바이오 등을 전략 산업으로 선정하고 기술인큐베이터, 기술이전사업 등을 통해 동 부문의 기업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UAE도 2014년 4월 중소기업지원법을 도입하는 등 최근 중소기업 육성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UAE 정부는 칼리파 펀드를 통해 기업 규모 및 특징, 대출 시급성 등에 따른 다양한 금융 프로그램을 자국 중소기업에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창업 후 3년 이내의 기업에 대해 신용보증을 전면 면제해주는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UAE의 기술혁신 제도는 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기술사업화 지원 등 중소기업 자체에 대한 지원보다는 기술창업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집트는 2016년 ‘산업 및 무역 개발전략 2016~2020’ 발표를 통해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6대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이듬해 4월에는 지원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개발청을 설립하였다. 최근 이집트 정부는 투자법 개정을 통해 스타트업의 혜택을 강화하는 등 창업 활성화에 대해서 비교적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기술혁신에 관한 정책은 다른 세 나라에 비해 다소 미흡해 보인다. 이집트는 중소기업 고용 창출 등의 부문에서 캐나다 정부와 총 4건의 프로젝트를 추진한 바 있다. 튀니지는 2017년 12월 기존 산업부를 산업중소기업부로 개편하고 동 부처 내에 중소기업 관련 부서를 신설하였다. 튀니지 정부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을 위해 테크노파크 등 클러스터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모비닥 프로그램’ 등의 산학 연계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창업 활성화 정책은 인큐베이터 조성, 기업 설립 절차 간소화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2018년 4월에는 법인세 면제 등을 골자로 하는 중소기업창업지원법이 마련되었다. 또한 튀니지 정부는 중소기업 금융 및 기술 지원 등의 부문에서 최근 EU 및 독일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4장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의 중동 진출 동향 및 지원제도를 살펴보고, 설문조사를 통해 중동 진출의 애로요인과 정책 수요를 분석하였다. 중동은 수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이며, 국내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의 수출액 변동 폭이 더 작은 특징을 보였다. 국내 중소기업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이란, 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순이다. 국내 중소기업의 대중동 해외직접투자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적을 기록하였다. 주요 투자 대상국은 사우디아라비아, UAE, 이집트이며, 업종별로는 건설업, 부동산 및 임대업의 비중이 가장 컸다.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진출과 관련된 지원사업 수 및 예산 규모는 크지 않았으며, 이마저도 수출 진흥과 관련된 정책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 전자상거래와 같은 새로운 부문에 대한 진출 지원이 강화되고 있으며, 수출 바우처사업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코트라,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공공기관의 해외진출 지원도 늘어나고 있다. 한ㆍ중동 중소기업 협력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양국간 교역 확대 이외에 공동 R&D, 기술협력, 금융지원, 인적 교류, 정책 공유 등으로 다각화되었고, 최근에는 기술 이전 및 합작 투자 등을 기반으로 한 협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중동 진출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간담회, 튀니지 및 UAE 현지 출장 등을 통해 중동 진출 시 나타나는 애로요인과 지원정책 수요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르면 중동지역이 다른 신흥시장에 비해 사업환경이 좋지 않으며, 특히 행정 처리, 규제 관련 제도 등과 같은 부분이 열악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특히 스폰서 제도, 자국민 의무고용 제도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현지 경영환경 적응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대해 중동 진출기업들은 금융지원 확대, 현지 경영 및 제도환경에 관한 정보 공유 등에 대한 지원정책을 요청했다.
   5장에서는 앞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기본적인 지원 방향과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동 국가들은 우리나라와의 경제협력 차원에서 직접투자와 기술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단순 교역만으로는 경제다각화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의 이전을 기대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지속가능한 경협이 이루어지기 어렵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의 대중동 진출형태도 합작투자(joint venture) 또는 M&A 등을 통한 현지법인 설립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진출기업에 대한 체계적인 금융지원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자금조달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으로서는 자금조달 비용이 가장 큰 장애물이 될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방안은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중동 진출을 시작하고자 하는 중소기업에 진입 초기비용을 지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동시장 진출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타당성 조사 또는 특정 부문의 시장 조사에 관련된 비용이나 진출 초기 업무에 필요한 사무실 비용, 진출 초기 현지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인력에 대한 비용 등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다른 하나는 한국과 투자 대상국 중소기업 간 합작투자 또는 M&A가 이루어질 경우 양국의 중소기업이 비교적 빠른 시일내에 저리의 투자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양국의 정책 담당자 및 금융기관 간 협의를 통해 투자 지원 결정 및 집행이 이루어지는 투자 플랫폼을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해볼 수 있다.
   둘째, 대중동 진출기업에 대한 정보제공사업을 확충해야 한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것처럼 진출기업으로서는 현지 투자여건, 시장환경 등 맞춤형 정보가 필요하다. 현재 코트라 등을 통해 투자 관련 제도, 법률, 관행 등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고 있지만 보다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정보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시장 및 투자 정보를 발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고도화할 수 있도록 지역 연구 확대 및 정보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예산이 크게 늘어나야 한다. 또한 4장의 현지기업 인터뷰 결과에서 나온 것처럼 중동 진출기업들이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지 스폰서 제도에 대해서도 특정 스폰서에 대한 평판, 스폰서와의 분쟁 사례 등이 체계적으로 축적되어 공유된다면 현지 진출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현지에 이미 진출한 기업들은 현지 대사관 및 지원기관 등과 협업하여 건설, 보건, 물류, ICT 등 특정 부문별로 별도의 협의체를 구성하고 기업들간 투자 여건 및 정보, 분쟁 사례 등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지 진출기업들은 서로 잠재적인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자발적인 정보 공유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현지 대사관 및 지원기관이 보다 적극적으로 구심점 역할을 해서 정보 공유를 유도하고 상이한 기업간 이해관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소기업 협력 확대를 위한 정부간 협력사업이 발굴되어야 한다. 중소기업은 앞서 언급했듯이 자금조달, 정보 습득 등 독자적인 해외진출 역량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중동지역의 경제 제도나 관습, 기업문화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따라서 정부 주도로 한ㆍ중동 간 접촉 기회를 확대하여 서로 다른 경제환경 및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한편 중소기업이 갖고 있는 애로요인을 파악하고 해소할 수 있는 채널이 필요하다. 정부간 협력사업은 정부 차원의 협력 파트너십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인적교류사업과 제도개선사업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인적교류사업은 다양한 차원의 인적 교류를 확대하여 중소기업 육성 관련 경험 및 지식을 공유하는 한편 양국간 상호이해를 심화시켜 지속적인 협력사업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다. 제도개선사업은 경제협력과정에서 민간 부문의 중소기업들이 느끼는 애로요인을 해소함으로써 협력 파트너십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은 상대국 기업의 계약조건 미준수, 불공정 거래, 불합리한 규정, 규정의 차별적 적용 등 다양한 어려움을 충분히 호소할 수 있는 시간 및 인적 자원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마땅한 소통 창구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부 부처를 포함한 공공기관에서 먼저 능동적으로 기업의 애로요인을 찾아내고 해소해나가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policy proposals to enhance bilateral cooperation for SMEs(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between Korea and the Middle East through an examination of case studies of Saudi Arabia, UAE, Egypt and Tunisia.
   Chapter 2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measures to foster SMEs in the Middle East, going on to analyze the business environment in the region. SME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for instance by contributing to diversity in the economy and creating jobs in the Middle East. While the contribution that SMEs make to GDP is relatively low in the region compared to that of developed countries, SMEs account for the majority of all firms and contribute largely to employment. Amid the growing need for economic diversification and private sector development following the drop in oil prices that started from the second half of 2014, oil-producing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have become more active in promoting SMEs to achieve their goals. Governments have expanded their support programs and investments for corporate development, which has led to an increase in local startups. While the growth potential of SMEs in the region is assessed to be quite high, there is still a ne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for fostering businesses. The Middle East ranked low overall on the Ease of Doing Business Index,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and Global Innovation Index, all of which evaluate business environments and competitiveness of countries. Notwithstanding differences among countries, SMEs in the Middle East struggle with limitations in financial access, lack of legal institutions, and poor efficiency in the labor market, problems which must be addressed with priority. Another challenge in the Middle East is the high preference for public sector jobs, and the lack of human resources to meet demands in the private sector. While job seekers generally avoid taking jobs in the private sector, which tend to pay lower wages for relatively heavy workloads, there is an urgent need to foster the private sector through SMEs in order to develop the economy and resolve unemployment issues in the fu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labor productivity should be improved through education reform and vocational training, and efforts must be made to improve the public perception of employment in the private sector.
   Chapter 3 touches upon major policies and cases of inter-government cooperation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MEs in four Middle Eastern countries — Saudi Arabia, UAE, Egypt and Tunisia. Saudi Arabia has recently presented its vision and detailed strategies for SMEs through the announcement of the “Saudi Vision 2030” and the “National Transformation Program 2020.” The Saudi Arabian government is providing credit guarantees and long-term financing to SMEs through the Saudi Industrial Development Fund, and promoting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by operating technology incubators, technology transfer programs and so on. The UAE has also shown strong interest in promoting SMEs by introducing new legislation f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ector(the SMEs Law) in April 2014. Through the Khalifa Fund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UAE government offers various financial programs for SMEs based on their size, characteristics and the urgency of their financial needs, and promotes technological start-ups by holding contests for business ideas in the area of technolog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grams.
   Egypt has outlined six strategies for promoting SMEs through the announcement of its “Industrial and Trade Development Strategies 2016-2020” in 2016 and established the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 Development Agency(MSMEDA) in the following yea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its support policies. The Egyptian government has shown relatively high interest in promoting start-ups, but its policy on SMEs innovation seems somewhat lacking compared to the other three countries. Egypt has pushed for a total of four projects with the Canadian government in the SMEs sector. Tunisia reorganized its existing Ministry of Industry into the Ministry of Industry and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in December 2017, and established a new department within the ministry to oversee matters related to SMEs.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SMEs, the Tunisian governmen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lusters such as technology parks. Policies for vitalizing start-ups in Tunisia are being implemented, together with the creation of business incubators and efforts to streamline business establishment procedures. Tunisia has recently stepped up its cooperation with the EU and German governments in areas such as financial and technological support for SMEs.
   Chapter 4 analyzes current trends of Korean SMEs in the Middle East and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programs for them, also examining the difficulties and policy demands through survey data as well. From Korea’s perspective, the Middle East is a region where SMEs account for a larger portion of exports into the region than large corporations, and SMEs also show less volatility in their export volumes than conglomerates. The major export destinations for Korean SMEs in the region are Iran, UAE, Saudi Arabia and Egypt.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region by Korean SMEs remains relatively low. Major investors in the region include Saudi Arabia, UAE, and Egypt, with the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sectors accounting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his investment. The biggest difficulties of Korean companies in the Middle East are caused by the unique laws and regulations in the region, including the sponsorship and workforce nationalization policies in private companies.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of the Korean companies in the region have worked out their business difficulties on their own or through help from private institutions and only 16.7% of the companies have utilized the Korean government’s support programs. In addition, Korean companies’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Korean government’s policies to support overseas companies were not that high. Regarding policy demand, Korean companies in the Middle East wish for an easing in trade finance/insurance support requirements, increasing funding for overseas investment, and the provision of more detailed and reliable information on local investment conditions and the sponsorship system.
   Chapter 5 suggests three basic policy schem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he previous chapters. First, financial assistance is necessary to increase joint ventures and M&A in the region. Second, systems to share information with businesses operating in the region should be strengthened. Toward this, a Korean team network between embassies,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could be established to share information on business opportunities and cases of dispute. Third, intergovernmental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o establish a cooperation partnership and network between Korean and Middle Eastern governments. These programs could be divided into human exchange program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rogram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머리말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론
3. 연구의 구성 및 차별성


제2장 중동지역 중소기업 육성 배경 및 특징과 경영환경 분석
1. 중소기업 육성 배경
가. 경제다각화 및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나. 일자리 창출
다. 지식경제 사회로의 전환
2. 중동지역 중소기업 현황 및 특징
가. 중소기업 정의
나. 중소기업의 경제적 중요성
다. 중소기업 특징
3. 중소기업 경영환경
4. 시사점


제3장 주요국의 중소기업 지원정책
1. 중소기업 육성전략
가. 비전 및 계획
나. 정부 지원 체계
2. 주요 지원정책 및 제도
가. 금융접근성 확대
나. 기술혁신 촉진
다. 창업 활성화
3. 외국기관 지원 및 정부간 협력사례
가. EU
나. 이집트-캐나다
다. 튀니지-독일
라. UAE-일본
4. 시사점


제4장 국내 중소기업의 중동 진출환경 및 애로요인 분석
1. 국내 중소기업의 중동 진출 동향
가. 수출
나. 해외직접투자
다. 해외건설 수주
2. 국내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및 한ㆍ중동 중소기업 협력
가. 중소기업 해외진출 지원정책
나. 한ㆍ중동 중소기업 협력
3. 중동 진출 애로요인과 지원정책 수요에 대한 설문 조사 및 분석
가. 조사 개요
나. 설문조사 응답기업의 중동 진출 개요
다. 중동지역의 사업환경과 진출 애로요인
라. 정부 지원정책 만족도 및 개선 요청 사항
4. 시사점


제5장 국내 중소기업의 대중동 진출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
1. 연구결과 및 시사점 요약
2. 부문별 지원방안
가. 기본 지원 방향 
나. 금융지원시스템 확충
다. 정보공유시스템 체계화
라. 정부간 협력사업 확대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74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탄소중립 시대 중국 동북지역 한중 지역개발 협력방안 : 중국 지린성을 중심으로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해운·항만산업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2023-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동·북아프리카 식량위기에 대한 역내 인식과 대응 및 협력방안 2023-12-27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주요국의 탈탄소 정책과 청정에너지부문 협력 방안 2023-11-29 연구자료 동지중해 천연가스 개발 현황과 한국의 협력 방안 2023-10-20 연구보고서 경제안보 이슈의 부상과 대외협력 방향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주요국의 대남아시아 경제협력전략과 정책 시사점: 중국, 일본, 인도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 경쟁 시대 글로벌 기업의 대응과 중국진출 한국기업에 대한 시사점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한국-동남아 가치사슬 안정화를 위한 메콩지역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아세안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아세안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방글라데시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신·재생에너지 시장 및 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경쟁 하 중남미의 GVC 참여와 RVC 구축 연구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2-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