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개방경제하에서의 소득분위별 후생수준 변화 경제개방, 노동시장

저자 정철, 김봉근, 전영준, 이준원 발간번호 13-03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3.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79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에서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로 이어지는 다자간 무역자유화협상의 진전,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의 확산 등을 통해 세계는 지난 수십 년간 경제성장과 함께 글로벌화의 진전을 이루어왔다. 한편 개방화의 진전과 경제성장에 따라 우리나라 모든 계층의 생활수준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성장의 과실이 상위계층에 편중되는 현상으로 소득불평등도의 악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소득불평등의 악화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ㆍ유럽 등의 선진국과 신흥개도국 등 세계 주요국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으로, 사회적 갈등 완화와 계층간 균형발전이 매우 중요한 정책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개방이 소득계층별 실질소득과 소득불평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문헌조사와 실증분석,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실제 개방에 따른 소득증대 및 분배와 소득계층별 후생수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개방에 따른 소득불평등도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에 본 보고서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보고서의 연구방법론을 간략히 요약하면, 먼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가 개방과 무역자유화를 확대하는 동안의 소득불평등도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소비자물가지수와 수입물가지수를 소득분위별로 새롭게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득분위별 실질소득을 측정한 후, 이를 반영한 소득분위별 실질소득불평등도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또한 Hamilton(2001, 2005)의 분석방법론을 활용하여 엥겔곡선의 이동이 소득계층별로 차이가 난다는 점도 연구에 포함하였다. 한편 개방이 소득계층별 후생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의 무역자유화와 개방의 추세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관세율의 변화와 무역개방도 및 수입개방도를 이용하였다. 우리나라의 무역개방도 및 수입개방도는 1992년부터 2012년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고, 평균 양허관세율은 1996년 11.3%에서 2012년 4.4%로 인하되어 지속적으로 무역자유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무역개방도와 소득 10분위별 가계지출 비중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계지출 비중을 가중치로 한 소득분위별 수요 품목의 평균관세율의 경우 전반적으로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낮은 관세율 수준을 보이는 가운데, 분석기간 중 고소득층에 비해 저소득층의 인하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단 소득분위별 수요 품목의 차이와 해당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 폭만이 아니라 분위별 지출 비중의 차이에도 기인하는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무역개방도와 가계지출 비중의 상관관계를 소득분위 및 계층별로 고찰한 결과, 저소득층에서는 연료비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과 달리, 고소득층에서는 대부분의 품목에서 개방도와 지출비중의 관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방도가 높아질수록 고소득층의 경우 전반적으로 소비지출의 비중이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제3장에서는 제2장의 통계분석과 자료에 기초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소득분위별 소비구조의 차이 등을 이용하여 소득분위별 생계비지수를 도출하고, 이를 반영한 실질소득불평등도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불평등도의 대표적인 지표인 지니계수와 소득 10분위 배율지표 등에서 개방이 확대된 1990년대 이후 소득불평등도가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분위별 수입물가나 소비자물가의 차이를 반영한 소득분위별 구매력 기준으로 실질소득을 측정한 경우에도 여전히 소득불평등도가 악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들 지수의 단점으로 물가상승에 대한 과대측정오차가 지목된다는 점에서 엥겔곡선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엥겔곡선 접근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의 물가지수를 사용한 경우보다 소득불평등도가 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 기간의 데이터 일관성을 위해 2인 이상 가구 및 근로소득으로 자료를 제한하고 엥겔곡선 접근법을 이용한 경우의 결과는 지난 20년간 소득불평등도가 크게 변하지 않았거나 오히려 개선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가구를 바탕으로 한 자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개방이 농어촌 가구를 포함한 보다 포괄적인 소득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미진하였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소득분위별 생계비 차이는 이를 고려한 실질소득 분포의 추세에서 그리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3장의 연구결과는 엥겔곡선 접근법 등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개방에 따른 소득분위별 생계비 차이를 확인하고, 개방이 소득불평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정책적으로도 활용의 여지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제4장에서는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무역자유화와 개방이 소득계층별 후생에 미치는 효과를 소비와 소득 측면으로 구분하여 정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관세율의 상승은 생산수준을 전반적으로 하락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수출 부문의 생산을 대폭적으로 줄이고 수입대체분의 생산을 소폭 줄이거나 소폭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산구조의 변화는 노동력에 대한 수요 구성의 변화를 초래한다. 우리나라 노동력 수요의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한 결과, 관세율 하락에 따라 숙련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더 크게 증가하여 숙련노동의 상대가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숙련노동력 비중이 높은 고소득층의 노동소득을 증가시켜 이들의 후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수입대체재와 수입재의 소비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이 직면하는 물가지수를 낮추어 소비의 실질가치를 높이며 이로 인해 이들의 후생증진 효과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율 인하가 개방정책의 주요 척도라고 볼 때, 개방에 따른 후생효과는 먼저 경제의 효율성을 증진시켜 전반적인 생산수준과 소득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소비와 후생의 증진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관세율의 하락은 부분별 소비구성의 왜곡을 줄임으로써 후생을 증진시킬 것이다.
정책 시뮬레이션에서는 소득계층별로 후생증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소득계층을 고소득층, 중간소득층, 저소득층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소비 측면에서 보면 수입재와 수입대체재 소비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에서 후생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율 하락에 따른 수입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저소득층의 실질소득과 소비의 실질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이들에 대한 후생증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중간소득계층의 경우 관세율 인하에 따른 후생증진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개방에 따른 관세율 하락의 혜택을 가장 적게 받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이 전반적으로 경제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모든 소득계층의 후생을 증진시키는 파레토 향상(Pareto improvement)의 가능성이 제시된다는 점은 개방의 긍정적인 효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소득계층별로 후생증진 폭이 상이하며, 특히 고소득층이나 저소득층에 비해 우리나라 경제의 중심축을 이루는 중간계층의 후생증진이 미약하다는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는 흥미롭다.
우리나라의 소득불평등 악화와 추세적 양극화 진전에 대한 다수의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개방과 직접적으로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연구, 특히 개방으로 인한 물가지수의 변화가 소득계층별로 미치는 영향, 즉 실질소득의 변화와 소득계층별 후생변화를 다룬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적으로 소득분위별 물가지수와 엥겔곡선 접근법을 활용하여 소득불평등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소득불평등도의 악화가 과대평가되었음을 보여주였다. 또한 소득계층별로 개방이 후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책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개방에 따른 소득불평등도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come Distribution and Welfare Effects of Trade Liberalzation in Korea

Chul Chung, Bonggeun Kim, Young Jun Chun and Joun Won Lee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world has achieved notable progress regarding globalization, followed by economic growth through the proliferation of Free Trade Agreements (FTAs), and mult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under the General Agreement on Tariffs and Trade (GATT) and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Despite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standards of living thanks to trade liberaliz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however, critics argue that the income inequality has worsened as a result of globalization. According to them, fruits of glob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are biased toward certain classes and mainly the upper class. As issues of worsening income inequality and wider economic disparity between classes are not only limited in South Korea, but is rather considered global phenomena which can be easily observed all around the world, including in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s well as i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establishing policies for alleviating social conflict, and the search for development balancing the classes has long remained a necessity that transcends national borders.
This study, therefore, mainly aims at not only giving profound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and income distribution facilitated by liberalization, but also examining the effects of how liberalization actually affects levels of welfare depending on the income class. This is achieved through statistical and econometric analysis and policy simulation via careful scrutiny of actual impacts of liberalization on the real income of each class and income inequality. Also, we expect this study to be used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necessary policies aiming at remedying the income inequality in Korea.
To give a summary of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we first calculate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and import price index (IPI) associated with each income class. Then we recalculate the real income of each class using those calculated price index measures to examine the trend of the income inequality for the last two decades. We also employ Hamilton (2001 and 2005)’s methodology to measure price indices since the movement of the Engel curve may vary with income class. Lastly, we conduct a simulation analysis by applying the general equilibrium model to evaluate how the liberalization affects the welfare of each income class.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in chapter 2, we confirmed that Korea has continuously made progress in liberalization by examining the trend of Korea’s openness in terms of the share of trade (or import) relative to GDP and the average tariff rate. From 1996 to 2012, the average bound tariff rate has dropped from 11.3% to 4.4, which clearly shows that trade liberaliza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gradual but consistent fashion. When we divide the households into 10 classes based on incomes and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trade liberalization and the percentages of household expenditure, we found that the average tariff rate for certain in-demand items, weighted by the percentages of household expenditure, tend to be lower for the high-income class. In terms of the average tariff rate, the reduction rate for the low-income class is much higher than the high-income class, and we believe this is closely linked with not only the difference of items demanded by each income class, but also the tariff reduction rate and percentages of household expenditure for the certain items. When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rade openness and household expenditure for specific consumption items by income class, it can be seen that in most items there exi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liberalization and percentage of expenditure for the high-income class, whereas it is inversely related for most items (except fuel expenses) for the low-income class. It implies that the overall percentage of 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s proportionately with the degree of liberalization for the high-income class.
In chapter 3, we present an econometric model and examine the trend of income inequality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hapter 2. First, we derive an index for costs of living by reflecting the difference in consumption structure for different income classes. Then, we investigate the real income inequality based on real income, which is recalculated using the costs of living index for each income class. Results show that levels of income inequality, measured by the Gini coefficient and the deciles distribution ratio (P90/P10, the ratio of the upper bound value of the ninth decile (i.e. the 10% of people with highest income) to that of the first decile), have increased particularly fast in Korea since the 1990s, during which trade liberalization had started to accelerate. This means that the income inequality has become worse, even when we use different measures of real income, which take costs of living for different income classes.
However, conventional price indices have the problem of overestimation as in the well-known CPI bias, which might have distorted the income inequality measure. In order to address this bias, we employ the Engel curve methodology to measure the price index more accurately for income classes,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income inequality was exacerbated to a lesser degree compared to results when using the conventional price index. In particular, when limiting data to households with more than 2 people and labour income for consistency over the entire period, the analysis using the Engel curve methodology suggests that the income inequality has not significantly changed for the past two decades, or possibly even improved
The caveat of this study is the limited coverage of data only including households living in the city and hence unintentionally excluding farming and fishing households. Thus the difference in living expenses depending on the income classification does not account for huge areas of the real income distribution. Nonetheless, the results in chapter 3 clearly show the validity of constructing the real income inequality by using the Engel curve methodology to account for the difference in living expenses depending on income class in relation to trade liberalization. The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ing relevant policies or serve as a base for further research in any related field.
In chapter 4, we conduct policy simulation analysis in the general equilibrium model on how trade liberalization affects the welfare of different income groups in which all the income classes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high-income, middle-income, and low-income group. The result shows that the reduction in tariff rate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general production level, particularly raising production significantly in the import sector. These changes in the production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following the tariff reduction increase the demand for skilled labor disproportionately more, which in turn raises skilled labor wages. Since the majority of the high-income group consists of highly skilled workers, whose income gains disproportionately more as trade liberalization takes place, liberalization obviously enhances the welfare of the high-income group. Meanwhile, the tariff reduction lowers price index for the low-income group, who consumes disproportionately more on imports and import substitutes, of which prices decline with tariff cuts. Consequently, the low-income group also benefits from trade liberalization as their real income rises. On the whole, the reduction in tariff rates improves overall welfare by minimising the distortion of consumption components. It can be argued that trade liberalization leads to an overall increase in economic efficiency and welfare for the entire income groups, a “Pareto improvement.” Notwithstanding, the degree of welfare-enhancement varies with income groups and classes. It is worth to note that the middle-income group, which accounts for the majority in the Korean economy, benefits the least from it. This is obviously one of the areas for the government to establish policies f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path of the economic growth as well as alleviating potential conflicts in the economy.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제2장 개방과 가계지출 분포
1. 개방도 추이
가. 평균 관세율의 변화
나. 소득분위별 평균관세율의 변화
2. 가계지출 분포의 추이
가. 전체 가계지출 규모 및 변화 추이
나. 소득 10분위별 가계지출 규모 및 변화 추이
3. 개방과 소득불평등 및 가계지출 분포의 관계
가. 개방과 소득불평등에 대한 선행연구
나. 개방과 가계지출 분포의 관계

제3장 소득분위별 생계비지수 추정과 실질소득불평등도 분석
1. 개요
2.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
3. 실증분석 방법론
가. 소득분위별 소비자물가지수 및 수입물가지수 계산방식
나. 생계비(Cost of Living) 지수 추정을 위한 엥겔곡선 추정방정식
4. 실증분석 결과
5. 소결론

제4장 정책 시뮬레이션 분석
1. 개요
2. 모형
가. 모형의 기본 구조
나. 가계의 의사결정
다. 기업의 의사결정
라. 해외부문
마. 정부
3. 모형 캘리브레이션
4. 정책 시뮬레이션
가. 정책 시나리오
나. 시뮬레이션 결과
5. 소결: 개방화와 후생효과

제5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품목 매칭표
부록 2. 모수 설정 및 정책 시나리오 관련 자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57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산업별 디지털 전환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2023-12-29 중국종합연구 중국 고용시스템과 일자리 정책 2023-12-29 중국종합연구 디지털 전환 시대 한중 청년여성들의 ‘일’과 ‘가족형성’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2023-12-29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과 노동의 연계에 관한 글로벌 규범 현황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기후·환경변화가 이주 및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2021-12-27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소득 및 소비 불평등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디지털 전환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 연구보고서 MERCOSUR와 태평양동맹(PA)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2020-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금융개방 환경 변화와 대응방향 2020-12-30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Do Korean Firms Respond to the Labor Costs of Host Countries? 2020-09-01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