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국인의 삶의 질 분석: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경제학적 고찰 노동시장, 중국사회구조

저자 연원호, 현상백, 구경현, 노윤재, 윤정환, 이효진 발간번호 21-14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2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931)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개방ㆍ개혁과 함께 40여 년을 급히 달려온 결과, 2020년 중국의 1인당 GDP는 1만 달러를 넘어섰다. 그리고 2021년 중국정부는 ‘절대적 빈곤 탈피’를 강조하며 전면적 소강사회 달성을 선언했다. 덩샤오핑이 최초 제기했던 ‘소강사회’는 ‘절대적 빈곤 탈피’를 그 목적으로 했지만, 2002년부터 제기된 ‘전면적 소강사회’는 중국정부의 지표에서도 나타나듯이 절대적 빈곤과 함께 사회통합을 위한 상대적 빈곤의 해결도 일부 그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하에 제2장에서 중국정부가 말하는 ‘전면적 소강사회’의 정의, 지표, 개념 변화와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국가 간 삶의 질을 비교해 중국의 전면적 소강사회를 평가하였다. 특히 중국의 시각에서 『전면 소강 백서』를 중심으로 중국인의 삶의 질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글로벌 시각에서 UNDP의 ‘인간개발지수(HDI)’, UN의 ‘행복지수(HI)’를 기준으로 중국과 주요국의 삶의 질을 비교하였다. 탈빈곤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중국인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평균 교육 연수, 1인당 생산성 등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보면 중국 사회의 격차는 더욱 확대되었다. OECD의 ‘보다 나은 삶의 지수(BLI)’가 제시한 분석 틀에 기반하여 소득불평등, 자산불평등, 출산율 등을 기준으로 판단할 경우 중국이 자체적으로 설정한 목표를 달성했다고 보기 어렵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제시한 큰 틀 속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미시데이터인 중국가족패널조사(CFPS)의 2012년과 2018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중국인의 삶의 질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인들의 가파른 소득 증가는 삶에 대한 만족감을높이고, 기본적인 생계 문제를 해결하며, 엥겔지수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중국인들이 새로운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2012년의 중국인들 대비 2018년의 중국인들은 중국의 △ 교육 △ 환경 △ 의료 △ 사회보장 문제에 심각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또한 같은 기간 도시와 농촌, 동부연안과 서부 내륙, 남성과 여성, 고학력자와 저학력자 사이에 개인소득 불평등도 더욱 확대되었다. 가구소득과 소비의 차원에서는 중위소득 이하의 가구소득 불평등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의식주 문제 중 주거에 지출되는 비용이 2012~18년 사이 4배 이상 증가하여 앞으로 문제가 심각해질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소득 차원에서 동질적인 개인 간의 결합(assortative matching)이 일어나며 불평등 정도가 더욱 심화되는 측면이 도시에서 확인되었다. 가구소득의 불평등 심화와 동질화 문제는 특히 세대 간 불평등의 상속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해 보인다.

제4장에서는 세대 간 연구를 통해 불평등 문제가 중국에서 대물림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특히 물질적인 부의 세습뿐만 아니라 무형적인 투자, 즉 교육의 대물림 현상은 향후 불평등 문제를 더욱 확대시킬 가능성이 커 보인다. 또한 제3장 지니계수 분석을 통해 확인한 ‘도시의 개인 간 소득 불평등 개선’과 ‘가구 간 소득 불평등의 확대’라는 상충되는 현상은 제4장 2절에서 구축한 경제학적 모델 분석을 통해 동질적 개인 간의 결합으로 설명이 가능해 보인다. 도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동질적 매칭(assortative matching)의 문제, 즉 고임금 노동자 간 가구 형성과 저임금 노동자 간 가구 형성 문제는 가구 간 불평등을 확대하는 결과를 낳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결국 동태적으로 봤을 때세대 간 부의 대물림을 통해 장기적으로 중국의 불평등 문제가 오히려 확대 및 고착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본 보고서의 전체 요약과 함께 핵심 시사점으로서 중국정부가 전면적 소강사회 달성 선언 이후에 왜 ‘공동부유’를 새로운 과제로 삼았는지, ‘공동부유’란 무엇인지, 향후 중국정부의 중점 과제는 무엇이 될지에 대한 전망을 담았다. 중국정부의 공동부유 추진 배경과 필요성은 양극화 심화에 따른 사회적 혼란과 분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정부는 개혁개방 이후 축적된 경제ㆍ사회 불평등을 해소하여 상대적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보다 고차원적ㆍ다차원적 삶의 질을 제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중국정부가 2021년 8월 ‘공동부유’의 6대 추진 방향으로 △ 발전의 균형, 조화, 포용성 제고 △ 중등소득 계층 확대 △ 기본 공공서비스 균등화 촉진 △ 고소득에 대한 규범화 및 조정 강화 △ 정신적 생활의 공동부유 촉진 △ 농민ㆍ농촌 공동부유 촉진을 제시한 점이 이를 방증한다. ‘전면적 소강사회’ 달성을 선언한 2021년을 기점으로 하여 ① 불평등 해소를 통한 중산층 형성 ② 의료, 교육, 결혼, 출산 등 사회문제 해결을 통한 삶의 질 제고 등의 방향으로 정부의 정책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불평등 해소가 쉽지 않아 보인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정부는 상대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예를 들어 2021년 중국정부는 인터넷 플랫폼, 부동산, 사교육,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대한 규제를 연이어 시행했다. 이들 규제는 ‘상대적 불평등의 해소’, ‘공동부유’라는 키워드와 관련성이 높아 보인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K자 회복이 나타나며 국내 불평등문제가 악화되는 가운데, 이들 분야에서 가계를 압박하고 일부 기업이 부당한 이익을 취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향후 ‘공동부유’가 본격화될 경우 다양한 규제가 시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는 전면적 소강사회에 대한 이해, 즉 현재 중국 사회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정부의 관심 분야와 규제 분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로서는 중국정부의 기조 변화에 대비하고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을 분석하여 이에 맞는 새로운 대중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China’s per capita GDP surpassed $10,000 in 2020 as a result of its rapidly conducted 40 years of opening and reform (gaige kaifang). The Chinese government emphasized that Chinese people all moved above the “absolute poverty level” in 2021 and announced that it has achieved a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in All Respects (quanmian xiaokang shehui). In contrast to Deng Xiaoping’s original proposal, which sought to escape absolute poverty. the proposal to build a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in All Respects, set forth in 2002, aims to resolve both absolute poverty and relative poverty for social cohesion. This is also evident from the Chinese government’s official checklist.

In light of this,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indicators, conceptual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Chinese government’s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and evaluates China’s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in all respects by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in various nations. In particular,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of Chinese people using the white paper “China’s Epic Journey from Poverty to Prosperity.” Also, from a global perspective, we compared the quality of life in China and major countries with the UNDP’s Human Development Index (HDI) and the UN’s Happiness Index (HI). In terms of eradicating poverty, the quality of life for Chinese citizens appears to have been improved in general. However, China is still yet to reach its target in some areas, including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education and productivity per capita. In addition,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the gap in Chinese society has widened further.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presented by the OECD’s Better Living Index (BLI), in terms of income inequality, wealth inequality, and fertility rate, it is hard to conclude that China has achieved its own set of goals.

Within the general framework laid out in Chapter 2, Chapter 3 investigates the quality of life of Chinese people by analyzing the Chinese Family Panel Survey (CFPS) data from 2012 and 2018. Our study discovered that the rapid income growth of the Chinese people has raised life satisfaction, solved fundamental concerns of livelihood, and lowered the Engel’s coefficient in China. However, this has also made Chinese people become more interested in social problems. Today, Chinese people worry about China’s difficulties with education, environment, healthcare, and social security far more seriously than they did in 2012. In fact, during this time, the gap in personal incom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eastern coast and the western interior, males and women, and those with high and low levels of education expanded. Our research also revealed that the income disparity below the median income level has been getting worse in terms of household-level income and consumption. Additionally, the cost of housing more than quadrupled between 2012 and 2018, which makes the problem highly likely to aggravate in the future. Assortative matching between people whose incomes are homogeneous has been proven to occur in cities, where the level of inequality is further exacerbated. The situation in which increasing inequality and assortative matching among households occur simultaneously i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at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can be transferred to the next generations.

The intergenerational study we conduct in Chapter 4 reaffirmed the likelihood that China’s inequality problem will be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particular, not only the inheritance of tangible assets like wealth but also the inheritance of intangible investments like education are expected to worsen China’s inequality issue. In addition, in Chapter 4, we developed a new economic model to analyze and explain the conflicting phenomenon of improving income inequality in cites at individual level and the expansion of income inequality at household level. Household level inequality appears to be growing as a result of the assortative matching, which refers to the marriage among similar income and educational attainment levels. This suggests that, from a dynamic perspective, the passing down of wealth and education between generations may cause China’s inequality problem to worsen and eventually develop into a permanent problem.

The final chapter, along with the overall summary of this report, provides key implications. In particular, based on our findings presented in previous chapters, we tried to explain why the Chinese government took “common prosperity (gongtong fuyu)” as ​​a new task after the declaration of achieving a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in all respects, what “common prosperity” actually means, and predict the major tasks for the Chinese government. The Chinese government aims to address the problem of relative poverty by resolving the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y that has accumulated since reform and opening up (gaige kaifang), and furtherm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t a higher and multidimensional manner. In August 2021, the Chinese government announced the six major directions for common prosperity: improving balanced, harmonized, and inclusive development; expanding the middle and upper-middle-income class; strengthening basic public services; tightening regulations for overly high incomes; promoting spiritual prosperity; and promoting the common prosperity particularly in rural areas. From now on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ies can be expected to focus on the areas of: ① forming a middle class by resolving inequality, and ②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solving social problems such as medical care, education, marriage, and childbirth. 

When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resolving inequality in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is likely to tighten regulations to protect the relatively weak. For example, in 2021, the Chinese government implemented a series of regulations on internet platform, real estate, private education, and entertainment businesses.These regulations seem to be highly related to keywords such as “relative inequality” and “common prosperity.” As the recovery trajectory from the COVID-19 pandemic appears to be K-shaped, it is believed that aforementioned industries are taking unfair profits by putting pressure on households and became the subject of government regulations. While various regulations are expected to be implemented when “common prosperity” policies are fully promoted in the future, we will be able to predict the areas of interest and regula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based on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Chinese society. This is why we have conducted this research, which can help us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stance, to analyze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and to establish a new strategy for China.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연구 구성
  
제2장 중국의 ‘전면적 소강사회’와 ‘삶의 질’ 분석
1. ‘전면적 소강사회’의 추진과정 및 주요 지표   
2. 전면적 소강사회 달성 현황: 『전면 소강 백서』를 중심으로
3. 글로벌 지표로 본 중국의 ‘삶의 질’ 현황
4. 소결

제3장 전면적 소강사회와 불평등의 문제
1. 세 가지 불평등과 삶의 질
2. 새로운 소비 패턴
3. 소결

제4장 불평등의 대물림: 중국인의 교육, 결혼, 출산
1. 청장년층 인적 자본의 형성과 활용 양상
2. 결혼을 통한 중국 사회의 선택적 계층형성
3. 소결

제5장 결론
1. 요약
2. 전망: 전면적 소강사회에서 공동부유로
3.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78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중국 고용시스템과 일자리 정책 2023-12-29 중국종합연구 디지털 전환 시대 한중 청년여성들의 ‘일’과 ‘가족형성’에 대한 인식 변화 연구 2023-12-29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과 노동의 연계에 관한 글로벌 규범 현황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기후·환경변화가 이주 및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2021-12-27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 연구보고서 중남미 국가의 소득 및 소비 불평등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의 국정운영에 관한 연구: 해양 행정 및 정책을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디지털 전환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Do Korean Firms Respond to the Labor Costs of Host Countries? 2020-09-01 Working paper Defined Contribution Funded Social Security and Labor Supply: Focus on Mexican Social Security Reform in 1997 2020-07-03 중국종합연구 중국 디지털 기술 발전과 고용관계:한중 기업사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 근로장려금 제도의 영향평가 및 시사점 2019-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