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본 연구는 미국, EU, 일본의 대중국 통상전략을 분석하여, 한국의 대중국 통상전략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진국들의 대중 통상전략 분석은 선진국과 중국 간 중장기 통상이슈가 무엇이고, 선진국과 공조해야 할 분야는 무엇이며, 한·중 양자간 해결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그리고 선진국의 통상전략에 따라 중국경제와 한국경제에 어떠한 영향이 미칠 것인지를 파악하고 대처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생략)
This research analyzes the trade strategies of US, EU, Japan towards China, and seeks to find implications towards establishing Korea's own trade strategy towards China. This analysi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gards mid to long term trade issues, areas that need mutual cooperation, issues that need to be resolved between China and Korea, and predicting and coping with possible effects on the economy of Korea and China from the trade strategi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미국의 대중국 경제협력 현황과 주요 이슈
1. 무역 관계
가. 무역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통상이슈
2. 투자 관계
가. 투자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투자이슈
3. 기타 협력
가. 금융협력
나. 물류협력
다. 과학기술협력
제3장. EU의 대중국 경제협력 현황과 주요 이슈
1. 무역 관계
가. 무역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통상이슈
2. 투자 관계
가. 투자 관계 현황과 특징
나. 주요 이슈
3. 기타 협력 현황
가. 기술협력
나. 자원협력
제4장. 일본의 대중국 경제협력 현황과 주요 이슈
1. 무역 관계
가. 무역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통상이슈
2. 투자 관계
가. 투자 관계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투자이슈
3. 기타 협력 현황
가. 금융협력
나. 자원협력
다. FTA 논의
제5장. 대중국 중장기 경제협력 전망과 통상전략
1. 미국
2. EU
가. 중장기 경제협력 전망
나. 중장기 통상전략
3. 일본
가. 중장기 경제협력 전망
나. 중장기 통상전략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2. 한국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1장. 서론
제2장. 미국의 대중국 경제협력 현황과 주요 이슈
1. 무역 관계
가. 무역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통상이슈
2. 투자 관계
가. 투자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투자이슈
3. 기타 협력
가. 금융협력
나. 물류협력
다. 과학기술협력
제3장. EU의 대중국 경제협력 현황과 주요 이슈
1. 무역 관계
가. 무역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통상이슈
2. 투자 관계
가. 투자 관계 현황과 특징
나. 주요 이슈
3. 기타 협력 현황
가. 기술협력
나. 자원협력
제4장. 일본의 대중국 경제협력 현황과 주요 이슈
1. 무역 관계
가. 무역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통상이슈
2. 투자 관계
가. 투자 관계 현황과 특징
나. 주요 투자이슈
3. 기타 협력 현황
가. 금융협력
나. 자원협력
다. FTA 논의
제5장. 대중국 중장기 경제협력 전망과 통상전략
1. 미국
2. EU
가. 중장기 경제협력 전망
나. 중장기 통상전략
3. 일본
가. 중장기 경제협력 전망
나. 중장기 통상전략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1. 요약
2. 한국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112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한-호주 공급망 협력 방향: 핵심광물과 수소를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MENA 녹색전환 협력 방안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 전략경쟁 시대 지정학적 리스크와 경제안보
2022-10-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요국의 통화·재정정책 방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카타르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 구축 전략과 협력 시사점
2022-10-31
연구보고서
디지털 부문 혁신과 신북방 주요국의 구조 전환: 신북방 중진국과의 IT 협력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신남방 국가의 중소기업과 현지 한국 중소기업간 상생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Working paper
A Theoretical Approach to Evaluating Global Vaccination Plans
2021-03-31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세계지역전략연구
외국인력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 사례 및코로나19 대응을 중심으로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미중 경쟁에 대한 호주의 전략적 대응과 시사점: 호주의 대중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2022-05-20
연구보고서
러시아의 동북아 에너지 전략과 한-러 신협력방안: 천연가스 및 수소 분야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코로나19의 인도 사회·경제에 대한 영향과 시사점
2022-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