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1999년 1월 유럽경제·통화동맹과 유럽단일통화 유로(Euro)는 11개국의 참여로 성공적으로 출범하였다. EMU의 출범은 EU 회원국들이 반세기에 걸쳐 완성한 경제통합의 마지막 단계에 돌입했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있다. 유로화 통용에 앞서 그리스는 2001년 1월 유로화를 공식 화폐로 받아들임으로써 EMU의 12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1998년 6월에 EMU 1차 가입국을 결정할 당시 EMU 가입을 위한 마스트리트 경제수렴조건 중 어느 것도 만족하지 못했던 그리스는 그 동안 상당한 발전을 이룩한 것이다. 이는 그리스의 성공적인 경제개혁과 이에 따른 높은 경제성장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 정부는 EMU 가입을 최대 목표로 삼고, 공기업 민영화, 세원 확대, 재정 긴축 등의 정책을 단행하였다. (생략)
In January 1999, the European Economic and Monetary Union (EMU) was launched and the single European currency, the Euro, became the national currency of eleven EU countries. The EMU countries have finally reached the last phase of the economic union, a project that was first initiated half a century ago. To arrive at this point, they went through various stages and systems such as the 'snake system' or the EMS, and now they have succeeded in adopting a single currency. The detailed plan for the EMU was formulated in the Maastricht Treaty. This treaty also stipulates that only the countries that fulfilled the economic convergence criteria, known as the Maastricht criteria, would be admitted to the last stage of EMU. (The rest is omitted.)
국문요약
제 1 장 서론
제 2 장 EMU의 발전과정과 가입요건
1. EMU의 발전과정
2. EMU 가입 조건
제 3 장 그리스의 EMU 가입
1. EMU 출범 전 그리스의 경제수렴 충족 현황
2. 그리스 정부의 경제개혁
3. 그리스의 EMU 가입
제 4 장 EMU 확대 전망
1. EU 가입국
2. EU 가입후보국
제 5 장 EMU 및 유로화 위상 변화
제 6 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제 1 장 서론
제 2 장 EMU의 발전과정과 가입요건
1. EMU의 발전과정
2. EMU 가입 조건
제 3 장 그리스의 EMU 가입
1. EMU 출범 전 그리스의 경제수렴 충족 현황
2. 그리스 정부의 경제개혁
3. 그리스의 EMU 가입
제 4 장 EMU 확대 전망
1. EU 가입국
2. EU 가입후보국
제 5 장 EMU 및 유로화 위상 변화
제 6 장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67 |
---|---|
판매가격 | 5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전략지역심층연구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재고찰 및 주변국의 인식 분석
2024-12-30
기본연구보고서
아세안 경제통합의 진행상황 평가와 한국의 대응 방향: TBT와 SPS를 중심으로
2023-12-29
연구보고서
MC13 주요 의제 분석과 협상 대책
2024-02-20
기본연구보고서
노동소득분배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경제공동체별 통상환경 및 산업 구조와 한국의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자료
북한 대외 채무의 쟁점과 과제: 국제 규범과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2021-07-08
전략지역심층연구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통합과정 평가와 한국의 협력전략
2021-05-26
기본연구보고서
대외부문 거시건전성 정책 10년의 성과와 개선방안
2020-12-30
기본연구보고서
MERCOSUR와 태평양동맹(PA)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2020-12-30
기본연구보고서
아세안 역내 서비스시장 통합의 경제적 영향과 시사점
2020-12-30
기타
독일통일 30년: 경제통합의 평가와 시사점
2020-12-30
APEC Study Series
Measuring Convergences and Divergences in APEC RTAs/FTAs: a text-mining approach
2020-12-30
APEC Study Series
Measuring Convergences and Divergences in APEC RTAs/FTAs: a text-mining approach
2020-12-30
Proceedings
Toward a Northeast Asian Economic Community: Sustaining the Momentum
2019-12-28
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의 국제전이: 뉴스와 노이즈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2019-06-30
Working paper
Deeper Regional Integration and Global Value Chains
2019-07-30
연구자료
Economic Development after German Unification and Implications for Korea
2018-12-28
기본연구보고서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자본유출입 안정화방안
2018-12-28
기본연구보고서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축통화 보유 여부를 중심으로
2018-12-28
Working paper
A Study on the Dynamics of Foreign Trade and the Issues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Central Asia
2018-11-12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