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국제금융체제 개편의 주요쟁점 연구 금융정책

저자 김세직, 양두용, 왕윤종, 황상인 발간번호 00-10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0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783)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국제금융체제 개편에 관한 주요 쟁점 중에서 한국이 참여하는 G-20 회의의 주요 의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정리하였다. 특히 국제금융체제 개편에 있어서 어떻게 신흥시장국가(emerging market economies)의 입장이 반영될 수 있는가하는 문제의식 하에서 새로운 건설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네 편의 논문으로 구성된 본 연구는 각 주제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김세직 박사의 첫 번째 논문은 예방적 신용공여제도에 관한 분석으로 CCL의 도입배경과 현 IMF의 CCL제도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특히 현재 진행중인 CCL개정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살펴보고, 한국의 입장에서 새로운 CCL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기존 CCL의 경우 이를 쓸 수 있는 자격기준 결정에 있어서 단일 임계치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단일 임계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동태적 임계치 적용을 제안하였다. 이 동태적 임계치는 국제기준의 벤치마크로부터 각 나라의 현재수준이 얼마나 괴리가 있는지를 계산한 뒤, 그 격차의 일정부분을 개선하도록 변화율의 임계치를 정하여, 이 변화율의 임계치를 충족시키는 나라에는 CCL을 이용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에 더 나아가 바람직한 위기예방 및 해결을 위해 예방적 신용공여제도 개발의 핵심은 어떻게 도덕적 해이를 줄임과 동시에 전염효과를 최소화시키느냐 하는데 있다. 먼저 스탠드바이협약(stand-by arrangement) 등 IMF의 전통적인 위기관련 신용공여제도들은 전염효과를 막는데는 효과적이지만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데는 별로 효과적이지 않다. 또한 최근 도입된 IMF의 CCL은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덕적 해이와 전염효과의 동시해결에 효과적이지만, 정보 비대칭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염효과를 막는데는 효과적이지만 도덕적 해이 문제를 해결하는데는 무력할 수 있다. 끝으로 정보의 비대칭성 하에서 CCL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 새로운 신용공여제도를 제안하였다. 동 신용공여제도에서는 기본적으로 위기가 일어난 시차를 중시하여, 위기가 처음 발생한 나라에는 절대 신용공여를 해주지 않지만, 처음 위기가 발생한 나라와 짧은 시차를 갖고 위기가 발생하는 나라에 대해서는 무조건 신용공여를 해주는 제도이다. 이러한 2단계 접근법 아래서는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해이와 전염효과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양두용 박사의 두 번째 논문에서는 아시아 위기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환율제도의 선택문제를 조명하였다. 위기의 교훈으로 신흥시장국가에 있어 중간제도(intermediate regime)는 자본자유화가 확대된 상황에서 위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대두되었고, 이에 국제금융체제 개편을 주도하고 있는 미 재무부와 IMF 등은 자유변동환율제도와 믿을만한 고정환율제도(credible fixed exchange rate regime)이라는 양극해(two corner solution)의 선택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이와 같은 양극해가 신흥시장국가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에 양두용 박사는 자유변동환율제와 고정환율제의 단점을 보완한 BBC rule의 적용 가능성을 재조명하고 있다. BBC rule의 적용 역시 환율 이탈의 정도와 시장개입의 효과적인 측면에서 보다 보완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G-3 환율(달러, 유로, 엔)의 안정이 보다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이들 환율의 목표환율대(target zone) 형성이 필요한지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 신흥시장국가의 입장에서는 특정의 환율제도가 최선이라는 도그마에 빠져서는 안되며, 환율제도의 선택은 자본자유화의 정도, 경제발전단계 등을 감안하여 유연하게 선택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위기방지 및 안정적인 장기적 성장을 위해 거시경제정책과 일관성을 지닌 환율제도의 선택 및 운영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하면서 결론을 맺고 있다.

황상인 박사의 세 번째 논문에서는 대외채무가 한국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신흥시장국가의 외채관리 방안과 향후 외채관리에 대한 국제논의에서 신흥시장국가의 입장을 대변할 만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경우 외채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제발전에 필요한 재원이었던 외채의 증가가 오히려 국내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재 한국의 단기외채 비중은 우려할 상황은 아니지만, 건실한 채무관리를 위해 단기외채 비중을 축소하는 등 외채의 위험 관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 개진되고 있다. 대외채무관리 측면에서 신흥시장국가는 국내 외환시장이 성숙되어 있지 않고, 대내외 금융환경 변화에 취약하기 때문에 정부가 국가차원에서 정부부문은 물론이고 민간부문의 외채를 통합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대외채무에 대한 위험관리 측면에서 대외채무의 구성내역 및 만기구조를 분석하여 가급적이면 자국통화 차입을 늘려가고 만기구조도 장기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공조로서 역내국가간 단기자본 이동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대외채무에 대한 위험관리는 신흥시장국가의 입장에서 볼 때 한계가 있다는 점이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신흥시장국가가 국제자본시장에서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차입을 실제로 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자국의 채권시장을 활성화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자본시장의 육성은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국제기구 등의 자문 및 기술적 지원을 통해서 신흥시장국가의 자본시장 하부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규모 면에서 제한적이지만, 국제기구나 주요 선진국의 보증에 의한 신흥시장국가 국채 발행을 검토하여 차입여건을 개선시키는 것이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역내채권시장의 활성화를 기해 장기적인 차입여건을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왕윤종 박사의 네 번째 논문에서는 위기해결의 과정에서 민간부문의 책임분담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민간부문의 책임분담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IMF가 과연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사후적으로 IMF가 채무조정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지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IMF가 채무조정을 중재하는 기능을 부여받지 못한 상태에서 채무국이 채무조정을 위해 일시적 지불정지를 선언하는 것도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IMF가 이러한 지불정지를 법적으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IMF 협정문의 개정이 필요한 상황인데, 국제금융체제의 개편에 있어 미재무부는 동 협정문의 개정에 가장 난색을 표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자본자유화에 역행하는 조치를 IMF가 용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IMF는 사전적으로 채무조정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즉 시장친화적 장치라고 할 수 있는 집단행동조항이 삽입된 국채발행을 장려하는 방향으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는 이미 G-7 보고서에서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된 사항이며, 이미 전세계의 40% 정도가 영국 런던시장에서 집단행동조항이 삽입된 형태로 채권이 발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시장에서 검증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Roubini(2000)가 지적하고 있듯이 아직까지 국제적으로 채무조정에 있어서 집단행동조항이 유효한 수단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경험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국제채권발행에 있어서 집단행동조항의 삽입을 장려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나, 이를 강제하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 신중한 자세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국제금융체제 개편에 있어 핵심적인 의제로 부각된 민간부문의 책임분담은 위기의 성격에 따라 그 대응방안이 달라야 한다는 점에서 최대한 신축성을 부여하되, 위기의 발단에는 채무국 못지 않게 채권자에게도 책임이 있다는 인식을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다. IMF의 역할은 어떤 정형화된 방식으로 민간부문의 책임분담을 요구하기보다는 위기의 상황에 적합하게 어떤 방식으로 민간부문의 책임분담을 유도할 것인지를 채무국의 위기 상황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Some Proposals on New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Yunjong Wang· Se-Jik Kim· Doo Yong Yang· Sang-In Hwang
Frequent recurrence of financial crises in emerging markets in recent years has raised a serious question of the adequacy of the current global financial system, and has rekindled enormous public and academic interest in redesign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Numerous proposals for reform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have been put forward by academics, policy making groups, and financial experts. Among them are included the G-7 Finance Ministers Report, the Meltzer Commission Report, the Report sponsored by the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and the Financial Stability Forums Reports.

However, these reports are often criticized for not properly reflecting the views of emerging markets. In order to forge a global consensus on the issues of architectural reforms, emerging market economies need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iscussion. By doing so, emerging market perspectives would be incorporated more adequately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new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The papers in this volume aim to evaluate whether the current system is adequately designed to prevent future crises and to seek for policy recommendations on rebuilding a better system. They address four essential issues related to the reform of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1) new international lending facilities; 2) exchange rate regime; 3) external debt management; and 4) private sector involvement.
New Proposals on International Lending Facilities The first paper explores two new proposals on international lending facilities for better prevention of financial crises. First, it makes a proposal on reforming the current CCL (Contingent Credit Line) of the IMF. The key of the proposal lies in the adoption of a dynamic threshold, rather than the current approach of static threshold when determining the eligibility for the CCL. The modified CCL is expected to substantially alleviate the adverse selection problem of the existing CCL. Second, the paper proposes a new international lending facility. Under the new facility, the country first hit by the crisis will not be bailed out under any circumstances, but those hit later will be bailed out. The new facility adopts the timing of crisis as criteria for international bailout, so that it does not have to rely on arbitrary judgment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is paper further develops a model which show that the new lending facility is better than the existing ones in resolving the problems of moral hazard and contagion simultaneously. The model suggests that traditional lending facilities of the IMF such as Stand-By Arrangement are effective only in mitigating contagion effects, not in preventing moral hazard. In addition, the CCL may effectively reduce both moral hazard and contagion under information symmetry, but cannot avoid moral hazard problem in the case of asymmetric information. In contrast, it is shown that even under information asymmetry, the new lending facility proposed in this paper can effectively abate both moral hazard and crisis contagion.
Choice of Exchange Rate Regime: Emerging Market Perspectives The issue of choosing an appropriate exchange regime has been actively discussed since the recent Asian crisis. As a lesson from the recent crisis, an argument has arisen that an intermediate exchange regime under the expansion of capital liberalization can set off a crisis for emerging market economies. Accordingly, these countries are forced to adopt two-corner solutions. A counter-argument tries to prove that two-corner solutions apply more to developed countries and less to emerging market economies. The second paper in this volume tries to explain the reason that developed countries and emerging market economies have different degrees of intervention in their own foreign exchange market. Moreover, it shows that free floating regime cannot be applied directly to emerging markets due to the fear of floating.

The financial market structure is to be examined in terms of appropriate exchange rate regime. In the case of Korea, the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and efficient risk management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re needed for a successful floating exchange rate regime. In addition,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elimination of misalignment through effective market intervention is as much an important policy objective as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flation targeting. More importantly, the choice of exchange rate regime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macroeconomic policy to prevent future crisis.

External Debt Management: Reducing Double Mismatches The imprudent management of external debt and the deteriorating national balance sheet in Korea prompted a bigger economic crisis than its actual economic conditions would have allowed. The result from a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Korean economy suggests that the sizable external debt and mismatched external balance sheet exerted negative effects on the econom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risk of external debt structure more cautiously. Since domestic capital markets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including Korea, are underdeveloped and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emerging market economies need to manage comprehensively not only the public sector debt but also the private sector debt. Based on a proper portfolio plan of external debt, these economies should manage the actual debt structure in advance. In addition, the risk of external debt should be managed in relation to its composition and maturity structure.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domestic-currency denominated borrowing and to switch from short-term loans to long-term loans.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also required in reinforcing monitoring process over short-term capital flows in the regional context, because deepening financial market liberalization and deregulation renders no individual country to be solely responsible for monitoring international short-term capital movements. Therefore, channels of information sharing should be established, especially with regard to short-term capital movements such as investment funds and short-term borrowings in the Asian countries.

Emerging market economies already with an efficient debt management system, however, may find difficulty in having stable and long-term borrowing conditions. Despite their necessity and willingness to develop their domestic bond market, it will take a long time. Although limited, one way to improve borrowing conditions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can be the guarantee of sovereign bond issuance of emerging market economies by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including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and advanced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long-term bond market through regional bond market can be another suggestion for enhancing their borrowing conditions. Finally, technical assistance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b-structure of capital market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thereby allowing more long-term borrowing.
Private Sector Involvement: Constructive Engagement The past few years have shown that creditors and investors tend to underestimate risks when they seek for higher yields. In other words, international lenders have as much responsibility for crisis as emerging market borrowers; for every questionable borrower there is a questionable lender. Efforts to achieve greater private sector burden sharing are motivated by the perception that official assistance to crisis countries creates a source of moral hazard on the part of private sector creditors. If private sector creditors are bailed out through official assistance without bearing any cost of the crisis, their habitual poor lending and reckless investment decisions would not be rectified.

Since creditors and debtors is pitted against each other in protecting their own interests, most conspicuous divergences persist in this issue of private sector involvement (PSI). The most unsettled part of PSI would b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nature of PSI should be based on predetermined rules or handled on a case-by-case basis. Some want those rules to be very hard and tight, while others desire some degree of flexibility.

Under the broadly defined PSI framework laid out in the 1999 Cologne Summit, the G-7 put forward operational guidelines for PSI at the IMF/WB meeting in April 2000. They distinguished between two different cases. First, PSI could be ensured primarily through reliance on the IMFs traditional catalytic role. Second, more concerted forms of PSI would be required. The official sector will need to insist on appropriate debt restructuring with private creditors, if necessary, as a condition for IMF financial assistance. To make operational guidelines more workable, however, the IMF could act as a crisis lender and manager. Although the IMF stays away from micromanaging the terms of debt restructuring, it could provide bridging loans while negotiations are in progress, provided it is convinced that the crisis country is negotiating with its creditors in good faith. Or if voluntary negotiations are in trouble, the IMF could endeavor to bring the involved players to the negotiation table.
I. 서론 : 국제금융체제 개편과 한국

Ⅱ. CCL(Contingent Credit Lines)의 개선방안 및 새로운 위기예방 신용공여제도의 제안
1. 머리말
2. IMF의 CCL
3. 새로운 위기예방제도의 모색
4. 맺음말

Ⅲ. 신흥시장국의 환율제도 선택
1. 머리말
2. 환율제도 선택의 주요 이슈
3. 신흥시장국의 실질적인 환율 운용
4. 신흥시장국의 환율제도 선택의 고려사항
5. 새로운 방향에서의 환율제도 선택의 모색
6. 맺음말

Ⅳ. 외채의 경제적 효과 및 관리방안
1. 머리말
2. 외채의 경제적 효과 및 현황 : 한국의 사례
3. 신흥시장국의 외채 관리방안
4. 신흥시장국의 차입여건 개선 필요성
5. 맺음말

Ⅴ. 민간부문의 책임분담
1. 머리말
2. 민간부문 책임분담의 논의 배경과 필요성
3. 채무유형에 따른 민간부문의 책임분담 방안
4. 민간부문 책임분담에 있어서 IMF의 역할
5. 맺음말
<부록> 주요 금융위기국의 특징

Ⅵ. 결론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대외충격의 자본유출입 효과와 경기안정화 정책 분석 2023-12-29 연구보고서 순대외금융자산이 경제안정과 금융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3-12-29 연구보고서 디지털금융을 통한 아프리카 금융포용성 개선 방안 연구 2023-12-30 연구자료 중국의 녹색금융 발전전략과 주요내용 2022-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기초여건 간 괴리에 대한 연구: 시장심리를 중심으로 2021-12-30 Working paper COVID-19 and the Health of Banking Sector in Japan and South Korea: A Comparative Study 2022-07-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부동산 보유세 논의 방향과 거시경제적 영향 분석 2021-12-30 ODA 정책연구 글로벌 ESG 동향 및 국가의 전략적 역할 2021-12-30 연구보고서 신용공급 변동이 경제성장 및 금융위기에 미치는 영향 2020-12-30 연구보고서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분석: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2020-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2020-12-30 연구보고서 중국 산업, 얼마나 强한가?: 중국 산업경쟁력의 미시적 토대 분석 2020-02-28 연구보고서 개방경제에서 인구구조 변화가 경상수지 및 대외자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중소기업의 국제화 정책방향 연구 2019-12-30 연구보고서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2019-12-30 APEC Study Series Asia-Pacific Stock Market Connectedness: A Network Approach 2019-10-31 APEC Study Series Asia-Pacific Stock Market Connectedness: A Network Approach 2019-10-31 연구자료 외화예금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2019-08-26 Working paper The Effect of Export Insurance and Guarantees on Export Performance: An Empirical Analysis for Korea 2019-08-20 연구자료 중국 모바일 결제 플랫폼의 발전과 시사점: 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2018-12-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