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Working paper Trade Policy Mix under the WTO: Protection of TRIPS and R&D Subsidies 무역정책

저자 강문성 발간번호 00-11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2000.12.20

원문보기(다운로드:558)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논문에서는 R&D 보조금과 지적 재산권에 대한 국제적 무역 협정들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한다. WTO의 보조금 및 상쇄조치에 대한 협정에 따르면 수출 보조금은 금지되었지만, R&D 보조금은 허용되고 있다. 또한 지적 재산권에 대한 협정을 통해 WTO는 회원국들에게 지적 재산권을 강력히 보호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수출 보조금의 금지는 WTO 기본 원리 중 하나인 공정경쟁으로 설명될 수 있으나 R&D 보조금의 허용은 기존의 연구 결과에 근거해서 볼 때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그 이유는 여러 국가가 동시에 자국 기업에게 R&D 보조금을 지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Prisoners dilemma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지적 재산권 보호 문제와 R&D 보조금 문제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 R&D 보조금의 허용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지적 재산권의 불완전한 보호가 정부로 하여금 자국 기업들에게 R&D 보조금을 지불할 유인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지 않고 모든 기업이 R&D 투자로 파생된 지식을 공유하며 이로 인한 R&D투자유인의 감소를 R&D 보조금으로 충당하는 것이 전세계의 후생을 극대화하는 최적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WTO가 요구하는 지적 재산권에 대한 협정과 배치되는 결과이며 이 협정은 수출국가의 후생을 대변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This paper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plain why governments seek restrictions on IPR protection and allow R&D subsidies through multilateral trade agreements such as the TRIPS Agreement and the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After 7 years of discussion, the Uruguay Round extends GATT's trade-liberalizing philosophy to worldwide use of subsidies as a secondary means to intervene in international trade.

Through the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the WTO tries to preserve one of basic principles of GATT's philosophy: Fair Competition. The principle of Fair Competition i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understanding the WTO. To harness GATT's trade liberalizing philosophy, the WTO as a successor of GATT takes this principle as objectives that are pursued through the enforcement and implementation of other principles, for instance the non-discrimination and reciprocity. As an example of the fair competition principle, the WTO prohibited any type of export subsidies through the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but allowed R&D subsidies. The allowance of R&D subsidies by the WTO is a puzzle because it is well known that R&D subsidization forms the prisoners' dilemma when governments are active to set R&D policy.

In order to find any reasonable logic to explain this puzzle, we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strategic trade policy tools: R&D subsidization and IPR protection. Indeed, at an international level IPR protection has been a major focus of negotiations along with R&D subsidies. The WTO also requires member countries to strongly enforce patent protection through the TRIPS Agreement. In our analysis, it turns out that it is globally optimal to perfectly disseminate knowledge without IPR protection and to subsidize inventive firms by solving a problem that the weak IPR protection damages firms' incentive to invest in R&D activities. However, current trade agreements do not match with our global optimum. We show that exporting countries may benefit at the expense of importers from a trade agreement to demand stronger enforcement on IPR protection because exporting countries experience the prisoner's dilemma problem when both countries free ride on the rival firm's R&D outcome. Therefore we co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TRIPS Agreement as an inefficient victory of the interests of northern exporting countries over those of southern importing countries.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The Model
A. An Extended SB Model to Analyze the Trade Policy Mix
B. Non-Cooperative Policy Choices without any Binding Agreement

Ⅲ. The Agreement on Subsidies and the TRIPS Agreement
A. The Agreement on Subsidies and Countervailing Measures
B. The TRIPS Agreement

Ⅳ. Trade Policy Mix under the WTO
A. Global Welfare Maximization
B. The Joint Optimum among Exporting Countries in the Absence of R&D
Subsidization

V. Conclusion

Appendix A: Proof of Proposition 1

Appendix B: Global Optimum

Appendix C: The Joint Optimum in the Absence of R&D Subsidization

References

국문요약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57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중국종합연구 RCEP 출범에 따른 공급망 변화와 한중 국제물류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해운·항만 서비스 교역과 공급자 중심으로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지역별 중장기 통상전략 및 대외경제 협력 방안 2021-12-31 연구보고서 디지털 전환 시대의 디지털 통상정책 연구 2021-12-30 연구자료 미국과 EU의 농업보조 변화와 정책 시사점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중 전략경쟁하 WTO 다자체제의 전망과 정책 시사점 2021-12-29 세계지역전략연구 한-인도 CEPA 10년, 우리 중소기업의 성과와 정책 과제 2021-12-30 연구자료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한 중소기업 대응방안 연구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4차 산업혁명 시대 무역원활화 제고를 위한 싱글윈도우 개선방안 및 시사점 2021-11-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