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1999년도는 한국 경제는 아시아 금융위기에서 벗어나 10.2%의 경제성장을 이룩한 경기회복의 해였다. 이러한 경기회복의 배경에는 수출확대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특히, 아시아와 북미 지역으로의 반도체, 자동차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경기회복에 따른 시설투자 증가로 자본재 수입이 급증하고 경기상승에 대한 기대감 상승으로 소비재 수입 또한 증가하였다.
급격한 경기회복과 수출증가는 당연히 주요 교역대상국과 통상마찰의 증가로 표출되었다. 특히 미국과는 철강, 반도체, 의약품, 동영상 등의 분야에서 통상마찰이 심화되어 왔는데, 현재 이들 분야에 대한 통상마찰은 양자간 또는 다자간 협상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양자 통상마찰에서 비롯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역은 점점 다자간 규범체제로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99년 11월에는 시애틀에서 WTO 각료회의가 개최되어 신통상 이슈를 비롯해 무역자유화를 위한 새로운 협상이 진행된 바 있다. 비록 회원들간의 의견차이로 협상이 결렬되었지만, 향후 회원국간 의견이 광범위하게 수렴되면 협상은 다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도 뉴라운드와 관련하여 농산물, 서비스, 반덤핑, 공산품 시장접근, 무역과 투자, 무역과 경쟁정책 정부조달 투명성 등 12개 분야의 공식 제안서 WTO에 제출하는 등, 뉴라운드 협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본 자료는 1999년도 한국 무역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통상관계 전망과 뉴라운드에서의 한국의 협상 전략을 모색하였다.
급격한 경기회복과 수출증가는 당연히 주요 교역대상국과 통상마찰의 증가로 표출되었다. 특히 미국과는 철강, 반도체, 의약품, 동영상 등의 분야에서 통상마찰이 심화되어 왔는데, 현재 이들 분야에 대한 통상마찰은 양자간 또는 다자간 협상을 통해서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양자 통상마찰에서 비롯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역은 점점 다자간 규범체제로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999년 11월에는 시애틀에서 WTO 각료회의가 개최되어 신통상 이슈를 비롯해 무역자유화를 위한 새로운 협상이 진행된 바 있다. 비록 회원들간의 의견차이로 협상이 결렬되었지만, 향후 회원국간 의견이 광범위하게 수렴되면 협상은 다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도 뉴라운드와 관련하여 농산물, 서비스, 반덤핑, 공산품 시장접근, 무역과 투자, 무역과 경쟁정책 정부조달 투명성 등 12개 분야의 공식 제안서 WTO에 제출하는 등, 뉴라운드 협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본 자료는 1999년도 한국 무역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통상관계 전망과 뉴라운드에서의 한국의 협상 전략을 모색하였다.
This paper is a survey of some of the important issues in Korean trade during 1999. 1999 was an important year in Korean trade for several reasons. In 1999, Korea began its recovery from the Asian Financial Crisis, with its GDP growing by more than 10%. Much of the growth, especially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was due to a healthy export sector. Korea's exports to all major regions rose greatly. Korea's imports also rose greatly, but imports from some regions, such as Asia and North America, grew more quickly than imports from other regions such as Europe. The growth in exports was driven by such goods as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On the import side, the growth of imports was driven by increases in the import of capital goods due to Korea's recovery from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recession which followed.
Such growth in exports could not help but generate trade disputes between Korea and its trading partners, most notably the United States. While the bilateral trade disputes were not as serious as they had been in the 1980s, there were some notable issues in 1999, particularly with regard to steel, semi-conductors, pharmaceuticals, and movies.
While many of these trade dispute issues were being dealt with bilaterally, between Korea and various complainant countries, the world was rapidly moving toward establishing a common multilateral rules on trade, and 1999 was an important year in the multilateral trade arena as well. On November 30 1999, the WTO Ministerial Conference was held in Seattle. The Conference was to signal the beginning of a New Round of trade negotiations designed to liberalize trade, as well as introduce multilateral rules with respect to several 'New Issues'. However, because of disagreements among member countries, the negotiations were 'suspended,' and except for certain 'built-in agenda' issues, the negotiations will not resume until the members can attain a wider agreement on various issues concerning the New Round negotiations.
Korea submitted 12 official position papers to the WTO on various topics concerning the New Round. These topics include agriculture, services, the anti-dumping agreement, market access for industrial goods, trade and investment, trade and competition policy, and transparency in government procurement.
Such growth in exports could not help but generate trade disputes between Korea and its trading partners, most notably the United States. While the bilateral trade disputes were not as serious as they had been in the 1980s, there were some notable issues in 1999, particularly with regard to steel, semi-conductors, pharmaceuticals, and movies.
While many of these trade dispute issues were being dealt with bilaterally, between Korea and various complainant countries, the world was rapidly moving toward establishing a common multilateral rules on trade, and 1999 was an important year in the multilateral trade arena as well. On November 30 1999, the WTO Ministerial Conference was held in Seattle. The Conference was to signal the beginning of a New Round of trade negotiations designed to liberalize trade, as well as introduce multilateral rules with respect to several 'New Issues'. However, because of disagreements among member countries, the negotiations were 'suspended,' and except for certain 'built-in agenda' issues, the negotiations will not resume until the members can attain a wider agreement on various issues concerning the New Round negotiations.
Korea submitted 12 official position papers to the WTO on various topics concerning the New Round. These topics include agriculture, services, the anti-dumping agreement, market access for industrial goods, trade and investment, trade and competition policy, and transparency in government procurement.
Executive Summary
I. Introduction
II. Korea Trade in the 1990s and 1999
A. Overview
B. Korea Trade by Industry
C. Korean Trade by Region
D. Korean Trade with Major Trading Partners
E. Korean Trade Competitiveness
F. Outlook for the Year 2000
III. Korean Bilateral Trade Disputes in 1999
A. Overview
B. Current Trade Disputes by Item
C. Other Issues
IV. Korea's Position in the WTO New Round
A. Overview
B. Korea's Position on Individual Issues
C. Preliminary Results of the Negotiations
V. Prospects and Policy Implications
Appendix
I. Introduction
II. Korea Trade in the 1990s and 1999
A. Overview
B. Korea Trade by Industry
C. Korean Trade by Region
D. Korean Trade with Major Trading Partners
E. Korean Trade Competitiveness
F. Outlook for the Year 2000
III. Korean Bilateral Trade Disputes in 1999
A. Overview
B. Current Trade Disputes by Item
C. Other Issues
IV. Korea's Position in the WTO New Round
A. Overview
B. Korea's Position on Individual Issues
C. Preliminary Results of the Negotiations
V. Prospects and Policy Implications
Appendix
판매정보
분량/크기 | 114 |
---|---|
판매가격 | 7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기본연구보고서
보호무역정책의 정치경제적 결정요인 연구: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2024-12-31
기본연구보고서
EU의 기후중립 전략기술 육성 정책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주는 함의
2024-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과 공급망 구조 분석
2024-12-27
연구자료
핵심광물협정의 주요 내용과 정책 시사점
2024-11-08
Working paper
The Recent Rise of the Far Right and Voters’ Anti-Refugee Attitudes in Europe
2024-11-2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동남아 주요 5개국의 통상전략과 경제성장 경로 : 수출주도성장전략의 평가와 전망
2024-10-11
기본연구보고서
수출규제의 경제적 함의와 글로벌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23-12-30
기본연구보고서
디지털 통상규범의 경제적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유럽 주요국의 경제안보 분야 대중국 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 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기본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