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고서
발간물
전체보고서
목록으로
Working paper
Developing an ASEM position toward the New WTO Round
경제협력, 다자간협상
저자 이종화 발간번호 99-15 자료언어 English 발간일 1999.09.10
본 연구는 다가오는 WTO 뉴라운드를 대비하여 개방적 다자체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인 ASEM의 역할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항은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APEC의 분야별 조기자유화가 실패한 이래로 이렇다 할 대규모 지역협력체의 자유화가 없는 편이므로 ASEM이 다자자유화에 대한 매개역할을 수행해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둘째, ASEM회원국의 상이한 발전정도를 고려할 때, 포괄적협상 및 일괄수락방식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WTO에서 논의여부가 쟁점이 될 신의제 중 무역과 투자, 무역원활화, 전자상거래는 무역과 직접 연계되어 있으며, 무역촉진적 성향이 상당히 짙다. 특히 이들 이슈는 기존 ASEM 프로그램의 자연스런 연장으로 논의될 수 있는 것들이므로 회원국 전체의 공동이익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ASEM회원국 전체의 컨센서스 형성을 위해서는 인적교류 및 정치인 대화채널 등ASEM의 비정규성을 잘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EU가 뉴라운드의 주도권을 잡고자 한다면 그 첫번째 협력의 장은 당연히 ASEM이 될 것인바, 만약 ASEM차원의 공조체제가 WTO뉴라운드의 순항에 일조한다면, ASEM이 다자자유화를 강화하게 되는 것은 물론, 향후 ASEM 추진방향에도 상당한 모멘텀을 제공하여 아시아-유럽간 협력이 공고해 질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사항은 아래와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APEC의 분야별 조기자유화가 실패한 이래로 이렇다 할 대규모 지역협력체의 자유화가 없는 편이므로 ASEM이 다자자유화에 대한 매개역할을 수행해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둘째, ASEM회원국의 상이한 발전정도를 고려할 때, 포괄적협상 및 일괄수락방식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WTO에서 논의여부가 쟁점이 될 신의제 중 무역과 투자, 무역원활화, 전자상거래는 무역과 직접 연계되어 있으며, 무역촉진적 성향이 상당히 짙다. 특히 이들 이슈는 기존 ASEM 프로그램의 자연스런 연장으로 논의될 수 있는 것들이므로 회원국 전체의 공동이익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ASEM회원국 전체의 컨센서스 형성을 위해서는 인적교류 및 정치인 대화채널 등ASEM의 비정규성을 잘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EU가 뉴라운드의 주도권을 잡고자 한다면 그 첫번째 협력의 장은 당연히 ASEM이 될 것인바, 만약 ASEM차원의 공조체제가 WTO뉴라운드의 순항에 일조한다면, ASEM이 다자자유화를 강화하게 되는 것은 물론, 향후 ASEM 추진방향에도 상당한 모멘텀을 제공하여 아시아-유럽간 협력이 공고해 질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how ASEM can play an effective role in the upcoming new WTO round and thereby further liberalization of the multilateral trade regime. As ASEM only came into being after the conclusion of the Uruguay Round, participation in the new WTO round will be challenging yet critical as it could demonstrate whether the ASEM process can function as a complement to mult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In this connection, ASEM members collectively and individually need to take a proactive stance towards framing the agenda of the New Round.
Several features deserve attention. First, considering the dynamic interaction towards trade liberalization between regional and multilateral initiatives, and the failure of APEC's regional initiative (EVSL), ASEM can be expected to give new momentum to the prospects for enhanced mult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providing united support for further liberalization in the New Round. Second, considering the differing development stages of ASEM members, a comprehensive New Round with the principle of a single undertaking could probably best meet the divergent interests of member countries because only this approach would enable the bargaining and concessions to occur. Third, the three issues, namely trade and investment, trade facilitation and electronic commerce, seem to meet common interests of ASEM members since they are directly trade-related and have enormous potential to enhance trade. In addition, as ASEM has its own programs in these areas, especially trade and investment and trade facilitation, it could pave the way for reaching common ground in the ASEM approach to the New Round. Fourth, in order to build consensus among ASEM members,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ASEM's informal features, such as people-to-people dimension and substantive political dialogue. Lastly, if the EU takes the initiative vis-?och-vis the US in advancing the New Round, it would be from ASEM that the EU seeks support in the New Round, and ASEM thus could be expected to take a leadership role.
Consequently, if ASEM provides a useful vehicle for the New Round, this would give a decisive momentum to multilateral liberalization and the ASEM process as well and contribute to Asia and Europe making great strides in cooperation at the dawning of a new millenium.
Several features deserve attention. First, considering the dynamic interaction towards trade liberalization between regional and multilateral initiatives, and the failure of APEC's regional initiative (EVSL), ASEM can be expected to give new momentum to the prospects for enhanced mult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providing united support for further liberalization in the New Round. Second, considering the differing development stages of ASEM members, a comprehensive New Round with the principle of a single undertaking could probably best meet the divergent interests of member countries because only this approach would enable the bargaining and concessions to occur. Third, the three issues, namely trade and investment, trade facilitation and electronic commerce, seem to meet common interests of ASEM members since they are directly trade-related and have enormous potential to enhance trade. In addition, as ASEM has its own programs in these areas, especially trade and investment and trade facilitation, it could pave the way for reaching common ground in the ASEM approach to the New Round. Fourth, in order to build consensus among ASEM members,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ASEM's informal features, such as people-to-people dimension and substantive political dialogue. Lastly, if the EU takes the initiative vis-?och-vis the US in advancing the New Round, it would be from ASEM that the EU seeks support in the New Round, and ASEM thus could be expected to take a leadership role.
Consequently, if ASEM provides a useful vehicle for the New Round, this would give a decisive momentum to multilateral liberalization and the ASEM process as well and contribute to Asia and Europe making great strides in cooperation at the dawning of a new millenium.
Executive Summary
Ⅰ. Introduction
Ⅱ. ASEM and the Mult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Ⅲ. Maintaining the March Towards More Open Global Trade
Ⅳ. Reaching Common Ground Among ASEM Partners
1. Trade and Investment
2. Trade Facilitation
3. Electronic Commerce
Ⅴ. ASEM as a Catalyst for Multilateral Liberalization
Ⅵ.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國文要約
Ⅰ. Introduction
Ⅱ. ASEM and the Multilateral Trade Liberalization
Ⅲ. Maintaining the March Towards More Open Global Trade
Ⅳ. Reaching Common Ground Among ASEM Partners
1. Trade and Investment
2. Trade Facilitation
3. Electronic Commerce
Ⅴ. ASEM as a Catalyst for Multilateral Liberalization
Ⅵ.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國文要約
판매정보
분량/크기 | 35 |
---|---|
판매가격 | 2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세계지역전략연구
Exploring Urban Perception on Climate Change in Developing Countries
2024-08-29
단행본
2023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024-06-28
연구보고서
대러 경제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기후클럽 형성에 대한 통상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2023-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경제안보 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인도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몽골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몽골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태평양도서국 중장기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 기술경쟁 시대 중국의 강소기업 육성전략과 시사점
2023-12-29
연구보고서
미중경쟁에 따른 아세안 역내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남아공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자료
동티모르의 아세안 가입 지원 및 개발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멕시코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멕시코 협력 방안
2023-12-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호주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호주 협력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태평양 시대 한ㆍ인도 경제협력의 방향과 과제
2023-12-29
연구보고서
인도 서비스 산업 구조 분석과 한-인도 산업 협력 확대 방안
2023-12-29
연구보고서
일본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한·일 간 협력방안 연구
2023-12-29
연구보고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EU의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확대에 미친 영향: 에너지 전환, 인적 교류, 안보 통합을 중심으로
2023-12-30
연구보고서
중동부유럽으로의 EU 확대 평가와 향후 전망
2023-12-29
중국종합연구
한중 탄소중립 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2023-12-29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