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미국 FTA 정책의 전개와 시사점 무역정책, 자유무역

저자 정인교 발간번호 98-16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1998.12.30

원문보기(다운로드:85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미국은 WTO 다자체제를 지지하면서 다자체제를 훼손할 수 있는 지역주의에도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국가중의 하나이다. FTA에 대한 미 행정부의 최대 관심사는 NAFTA를 칠레로 우선 확대하고 이를 기반으로 FTAA를 달성하는 것이다.미국 FTA의 정책목표는 무역장벽을 완화하고 쌍무간 관계를 개선하는 것 외에도 배타적 역무역블럭으로부터의 무역전환의 불이익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세계 제1의 내수시장을 가진 미국이 무역전환의 불이익을 줄이기 위해 FTA를 체결하여 왔다면, 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가장 높은 국가중의 하나인 우리나라는 미국보다도 더 적극적인 지역주의의 확대 및 심화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만 했다. 미행정부가 NAFTA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회로부터 신속처리권한을 부여받으면 미국은 FTAA를 체결하고 우리나라 등 동아시아국가들과의 FTA도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EU, NAFTA, AFTA 등 현재 진행중인 지역무역협정들에 의한 경제통합이 2005∼2010년 사이에 실현되면 이들 주요 지역무역블럭에 참여하지 않은 국가들이 입을 무역전환의 불이익은 막대할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WTO 회원국 중 지역무역협정에 가입하고 있지 않은 주요 교역국은 한국, 일본 및 홍콩에 불과하며, 지역무역협정은 GATT 제24조에서 인정하고 있는 특혜무역협정으로 현실적으로 폐지가 곤란한 실체라는 점에서 이들 역외국들은 다른 WTO 회원국이 누리는 호혜적 혜택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제부터라도 우리나라는 지역무역협정의 확대·심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 지역무역협정의 비회원국에 대한 차별성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지역무역협정관련 WTO 규정을 강화하거나, 우리나라도 주요 교역국과 적극적으로 지역무역협정을 체결하는 것을 들 수 있다.
The Evolution of US Policy towards FTA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Since the 1980s, the US approach towards trade liberalization can be broadly characterized as a two-pronged approach; while pursuing trade liberalization under the multilateral system of the GATT/WTO, the US also searches for opportunities to realize trade liberalization bilaterall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TAs. This two-pronged approach to trade liberalization has often been complementary rather than contradictory. Such a strategy was seen at work as the US declared that it would go it alone when the Uruguay Round did not show satisfactory progress in the late 1980s. This threat was seen as successful as a number of countries blocking progress appeared to cave in to the US pressure. Due to the strong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the US exerts on the Korean trade environs, Korean trade policymakers must not only keep abreast of US trade policy and the strategy of its trade negotiators, but must shape policies to best capitalize on the trade position of the US.

The US signed the Israel-US FTA in 1985, the Canada-US FTA in 1988, and NAFTA in 1992. Following establishment of NAFTA, momentum in the US for free trade has seemed to wane, with President Clinton failing to receive renewal of fast track authority from the Congress. However, loss of attention and supporting legislation have not altogether halted free trade initiatives deriving from the US. The US already offered to begin formal negotiations with Chile regarding the country's joining of NAFTA and the US has agreed with the 34 countries in the Western hemisphere to conclude the Free Trade Agreement in Americas (FTAA) by 2005.

The US administration has continued to study the feasibility of the establishment of FTAs with Asian countries. The report by the USITC (1989) analyzed the feasibility of an FTA with Japan, ASEAN, and a number of other Asian nations, including Korea. The report found that, except for Japan, the US would stand to benefit economically from the establishing FTAs in the region.

However, various political roadblocks and costs were found in almost all areas of Asia outside of Japan. For example, while an FTA with Korea was assessed as likely to benefit the US economically, it was believed that such a pact would intolerably increase anti-US sentiment in Korea.

Turning to discussion of APEC, while the US appeared only passively interested following joining the group in 1989, it appeared that President Clinton viewed APEC as offering great promise as a vehicle through which to open the Pacific region's markets. Thus, the US enthusiastically held the first APEC Leaders'meeting in Seattle in 1993. Upon APEC declaring region-wide free trade as its goal in the following year, the US enthusiasm for APEC began to surpass its interest in establishing bilateral FTAs in the region. To achieve the goal of free trade, APEC economies agreed to the Individual Action Plan (IAPs) and the Collective Action Plan (CAP). However, while touted as trade liberalization plans, nothing in the agreements signified binding guidelines and symbolized, at leas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US, the end of any opportunity in the short-term to realize a multilateral free trade agreement in the Pacific.

This failure to reach real trade liberalization through APEC has seen the US alter its position to where it now views bilateral FTAs with Asian countries as offering the best hope to promote trade liberalization in the region. Korea would likely be near the top of any list of candidates, due to its already strong trade partnership with the US and the substantial decrease in anti-US sentiment since the early 1990s.

The current US administration, following its loss of fast track authority in 1994, has not been very active in pursuing trade liberalization. However, this may soon change. Signs are promising that the US Congress will restore fast track authority to the President at the end of 1999 or early 2000. Business community support for increased free trade initiatives has been strong. Many business leaders see the relative loss of competitiveness in Chile, caused by Canada and Mexico signing bilateral FTAs with the country after the US blocked expansion of NAFTA to Chile, as a precedent that needs to be immediately reversed. Furthermore, the Congress wants to conclude within three years the new WTO Round, which will resume at the end of 1999. Increasingly active business community pressure and growing Congressional support will likely see the US administration resume its search for ways to promote free trade.

So far, Korea's normal reaction to any expansion of regional trading blocs has been to push for the WTO to enact barriers to such spread. The major ruling regarding regional trade agreements under WTO is GATT XXIV. Altering this article to where it becomes more restrictive of the establishment or further expansion of regional trade agreements is unlikely as most WTO member countries already participate in one or more regional trading blocs. Thus, the most realistic policy for Korea to follow is to actively explore the establishment of FTAs with major trading partners. This will require Korean trade policy makers and politicians to adopt an entirely new approach and even mindset; however, no other option is currently available.
서 언
國文要約

Ⅰ 서론

Ⅱ 경제통합의 일반적 고찰
1. 경제통합체의 종류와 현황
2. 경제통합의 경제적 효과
3. MFN원칙과 지역무역협정

Ⅲ 무역자유화와 미국의 FTA 정책목표
1. 미국과 GATT체제
2. 80년대의 통상정책
3. 90년대의 통상정책
4. 미국의 FTA 정책목표

Ⅳ FTA와 신속처리권한
1. 미국 관세정책의 역사적 고찰
2. 의회와 통상정책권한
3. 신속처리권한(Fast Track Authority)

Ⅴ NAFTA의 내용과 평가
1. NAFTA
2. NAFTA의 주요내용
3. NAFTA 부속협정
4. NAFTA에 대한 평가

VI. 미국과 FTAA
1. 클린턴 행정부의 대중남미 정책
2. 미주경제통합의 이슈
3. FTAA에 대한 미국의 입장

Ⅶ 정책 시사점
1. 미국의 FTA 체결 대상 국가
2.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환경 상품·서비스 시장개방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APEC Study Series Regulatory Similarity Between APEC Members and its Impact on Trade 2022-12-16 APEC Study Series Regulatory Similarity Between APEC Members and its Impact on Trade 2022-12-16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Working paper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national Production on Global and Domestic Value Chains Following Trade Restructuring and Corresponding International Economic Policies 2022-08-26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