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
전체보고서
저유가와 저성장 기조의 장기화,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미국 대선 이후 보호주의 무역정책 강화 가능성, 브렉시트(Brexit)에 따른 신고립주의 출현과 유럽연합의 응집력 약화 등 글로벌 경제환경의 불확실성이 한층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대외경제적 상황 속에서 중앙아시아 주요국 정부는 자국의 고유한 사회ㆍ경제적 특성과 핵심 정책목표를 반영한 경제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해나가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대외개방을 통한 원자재 수출 확대전략에서 최근 질적성장 병행전략으로 정책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정부주도형 개방경제체제는 에너지 자원 수출과 외자유치에 정책의 핵심 목표를 설정해두고 있었다. 이는 에너지 자원에 대한 국가 관리의 필요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것이었다. 또한 카자흐스탄 지도부는 내륙국이라는 지리적 한계성과 소규모 경제체제의 제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대외개방과 무역자유화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대외경제 환경의 구조적 변화들이 발생함에 따라, 카자흐스탄 정부는 에너지 자원 수출과 외자도입에 의존적인 카자흐스탄의 경제구조를 본질적으로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경쟁력 증진, 투자환경 개선, 인프라 구축, 기술 혁신을 통한 산업다각화 추진, 경제 부문에 대한 민간의 역할 확대, 국가자산 관리의 효율성 제고, 인적자원 개발, 민관협력 사업의 확대 등이 중점 추진과제였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4년 ‘산업ㆍ혁신발전 2015~2019’ 프로그램을 채택했으며, 2014년 인프라 개발 촉진을 위한 ‘누를리 졸(Nyrly Zhol)’과 2015년 5대 제도개혁을 위한 100대 국정과제(100 concrete steps)를 발표했다. 이는 경제 부문에서 민간 주도의 신성장동력 확보, 산업다각화 정책 추진, 구조개혁 정책 진행 등을 통해 대외경제적 환경변화에 대응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토대를 구축하려는 전략적 시도였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독립 이후 폐쇄적인 경제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내수 기반 확립에 바탕을 둔 수입대체정책을 추진해나갔다. 우즈베키스탄의 정부주도형 폐쇄경제체제는 본질상 외부적 변동성으로부터 내수시장 보호와 경제적 안정성 확립에 우선적인 정책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다.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 5개국 중에서 국내산업 육성정책에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던 국가이다. 그 덕분에 제조업 부문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지만, 수출 경쟁력을 보유한 제조업 육성에는 여전히 많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우즈베키스탄의 주요 수출품은 원자재(면화, 금, 가스 등)이며, 제조업 부문도 노동집약적 산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최근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수출지향 산업화 병행전략을 추진하면서 수입대체정책의 경쟁력 및 효율성 증진에 가장 큰 강조점을 두고 있다. 본 경제발전 정책의 특징은 수출 산업의 전략적 육성을 토대로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추구하며,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으로의 방향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즈베키스탄 지도부는 경제부문에 대한 정부의 과도한 개입 축소, 민간의 역할 확대, 무역활동과 환율 등의 규제 완화 등을 핵심 추진과제로 설정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방안’이 마련되었으며, 2015년 ‘경제정책의 우선방향’과 ‘우즈베키스탄 내각의 단기ㆍ장기 액션 프로그램’이 제시되었다. 현재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장기 경제발전 프로그램 2030’을 준비하고 있다. 이 국가전략에는 원자재 가공과 고부가가치 산업 발전 등 산업구조 개선을 위한 보다 세부적인 내용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투르크메니스탄 지도부는 중립국임을 표방하면서 독자적인 행보를 지속해나가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의 정부주도형 폐쇄경제체제는 에너지 자원과 금융부문에 대한 국가의 강력한 통제를 기반으로 천연가스 수출에 주력하는 것에 핵심 정책 목표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과도한 원자재 수출 의존형 경제구조, 경제부문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통제, 경제체제의 비효율성과 폐쇄성 등이 투르크메니스탄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방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국가전략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2010년 ‘2011~2030년 사회 및 경제 발전 프로그램’을 입안했다. 에너지 부문의 현대화, 비에너지 부문의 육성을 통한 산업다각화 등이 중점 정책 과제로 선정되었다. 현재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사회ㆍ경제 발전 프로그램 2012~2016’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회ㆍ경제 발전 프로그램 2017~2021’을 준비 중이다. 특히 2016년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은 ‘2017년 사회ㆍ경제 정책 방향’을 제시하면서 적극적 투자 유치, 국제경쟁력을 보유한 기업 육성, 민간부문의 발전을 3대 중점과제로 선정했다. 본 국가발전 전략에 의하면, 향후 광물가공단지 건설, 석유화학제품 생산, 산업 인프라(가스관, 발전소, 고속도로, 항만 등) 구축과 관련한 프로젝트들이 진행될 것이다.
상술한 것처럼, 세계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하는 시기에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방안 마련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에너지 및 광물자원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를 최대한 개선하는 작업임과 동시에, 산업다각화 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중앙아시아 주요국과의 새로운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수립해나가야 한다. 여기에서 중앙아시아 주요국별로 특화된 경제협력 증진방안을 제시해볼 것이다.
첫째,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경제협력 확대방안이다. 먼저 카자흐스탄의 경제현대화 및 산업다각화, 인프라 개발 등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에서 실질 경제협력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산업다각화와 관련하여 6대 제조업 우선 육성 부문(비철금속, 화학, 석유화학, 기계, 건축자재, 식료품), 농업 현대화 분야(친환경 농업, 농축산물 가공 및 유통), 4대 혁신산업 발전 부문(모바일 멀티미디어 기술, 항공우주ㆍ나노 기술, 로보틱스ㆍ유전공학, 미래에너지), 관광 클러스터 조성, 에너지 효율 부문 등이 유망한 경제협력 분야이다. 인프라 개발 측면에서는 교통 및 물류 인프라(도로, 철도, 항만, 항공 인프라 구축 및 현대화, 교통 및 물류 거점 조성), 산업 및 에너지 인프라(건축자재, 산업단지, 관광, 전력 등) 부문에서 경제협력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의약, 바이오, 정보통신 등 첨단산업 중심의 기술협력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국토개발 노하우 공유(상하수도 시설 관리 및 운영 기술 전수, 국토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풍력, 수력, 태양력) 등에서 상호 경제협력 증진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경제협력 증진방안이다.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내수 및 수출 산업화 병행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다각화와 현지화, 인프라 개발 부문에서 실질 경제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전자와 관련하여 10대 우선 육성산업 부문(전력, 석유ㆍ가스 화학, 화학, 기계, 섬유ㆍ가죽ㆍ제화, 전자, 건축자재, 제약, 식료품, 광업), 7대 현지화 유망산업 부문(농산품, 광물, 화학 및 관련 산업제품, 섬유재료, 건축자재, 금속제품, 기계 및 장비), 농업 부문(농기계 생산 및 농산물 가공설비와 통합유통망 구축 등)에서 경제협력 방안 모색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후자에 대해서는 교통 인프라(자동차 도로 및 다리 건설, 도로 건설장비 현대화 등), 산업 및 에너지 인프라(도로ㆍ철도 인프라, 물류 및 정보통신 센터 구축, 에너지 효율화 설비 현대화 등) 개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해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보건 의료 산업(제약, 의료 기구, 병원 건립 등), 우즈베키스탄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한 공동 산업단지(건설자재, IT 관련 부품, 식품 가공 기계, 농기계 등) 건설, 친환경 녹색 기술(태양광 발전, 신재생에너지, 신소재 개발 등) 개발, 나보이 경제특구 활용,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대 유적지를 연계한 관광산업 개발 등에 양자 협력을 위한 중요한 접점이 있다고 하겠다.
셋째, 한국과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제협력 발전방안이다. 투르크메니스탄 정부는 에너지 산업의 현대화와 비에너지 산업 부문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산업다각화 및 현지화, 인프라 개발 등과 연계된 경제협력 방안을 준비해나갈 필요가 있다. 산업다각화 부문에서는 산업 현대화(석유ㆍ가스 화학, 화학, 경공업, 식품가공, 건축자재, 기계, 섬유, 농산품 분야 등)와 현지화(건축자재, 화학, 가전, 식료품 분야 등), 수출 촉진 산업(화학, 농업, 제약, 경공업, 식료품 분야 등) 부문에 대한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인프라 개발과 관련해서는 교통과 연계한 관광(북-남, 동-서 교통 회랑 개발, 복합 교통ㆍ물류 허브 및 관광 클러스터 조성 등) 인프라 개발, 정보통신과 농업 관련(유제품, 과일, 채소, 생선 가공 등을 위한 생산설비 공장 건설 등) 인프라 구축 부문에서 경제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최근 비에너지 부문 우선 육성산업으로 지정된 관광 부문에서 양자협력 방안을 모색해볼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한국과 중앙아 주요국의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첫째,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국가적 특성상 공공 부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한국정부는 고위급 회담의 정례화를 토대로 중앙아시아 주요국 인사들과 지속적인 교류 확대 및 관계 강화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앙아시아 3개국의 경우 정상 외교를 통한 접근이 가장 효과적인 경제협력 확대방안이나 마찬가지다. 또한 그동안 차관급 수준에서 진행되었던 ‘한ㆍ중앙아 협력포럼’을 정상급 회의로 격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앙아시아 주요국 간 관계협력의 책임성과 실행력을 한층 강화하면서 ‘한ㆍ중앙아 협력의 3.0 시대’를 개척해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과 중앙아시아 주요국 간 경제협력의 행동 주체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 조직이 선도적으로 중앙아시아 주요국을 대상으로 하는 단기 및 중장기 전략을 입안하여 경제협력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앙아시아 주요국 간 경제협력을 담당할 정부 주도의 ‘한ㆍ중앙아 경제협력위원회’를 상설 운영해야 하며, 이 조직을 ‘한ㆍ중앙아 협력포럼’ 산하에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본 경제협력위원회는 원칙적으로 민관이 모두 참여하는 1.5트랙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한ㆍ중앙아 정부고위관계자 및 민간기업 대표를 참석시켜야 한다. 또한 국내 중소기업의 중앙아시아 지역 진출을 위한 체계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거나 또는 한ㆍ중앙아 주요국의 중소기업 협력방안을 수립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일례로 투르크메니스탄에 KOTRA 또는 KOICA 지부를 설치하여 현지 네트워크 및 경제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나갈 수 있다.
셋째, 중앙아시아 주요국은 공통적으로 산업다각화 및 경제현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 중앙아 주요국 간 산업협력 증진을 위해 ‘한ㆍ중앙아 산업협력 펀드’ 조성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민간기업에 투자 및 협력 리스크를 줄여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기금 조성은 각국의 국책은행이 공동 출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고,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의 ODA 자금 활용 여부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넷째,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미래 발전은 산업다각화 및 경제현대화에 필요한 전문 산업인력 양성에 달려 있다. 따라서 ‘한ㆍ중앙아 미래세대 육성위원회’를 한ㆍ중앙아 협력포럼 산하에 신설하여 전문기술 및 산업인력 양성, 학술 및 기술 교류 등 체계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중앙아시아 주요국에 직업 전문학교 설립 및 기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지원, 한국 내 중앙아 주요국의 유학생 교육 및 지원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 마련 등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Uncertainties in the global economic environment are increasing due to prolonged low oil prices, China’s low economic growth, the possibilities of strengthened protectionist trade policies after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emergence of neo-isolationism due to Brexit. In this situation, the Central Asian governments are developing and pursuing individual economic strategies which reflect their ow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core policy goals.
Kazakhstan is shifting its policy direction from maximizing exports of raw materials to qualitative economic development. The country has pursued an open foreign policy and trade liberalization to overcome its geographical limitations as a small landlocked country. The open economy originally focused on exporting energy resources and attracting foreign capital, but with some control by the government in energy resources management. However, as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external economic environment occurr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government started to focus on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which remained dependent on energy resources. The key tasks for Kazakhstan were to upgrade its competitiveness, improve the investment climate, build infrastructure, diversify its industri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expand the role of private sectors, improve the efficiency of national asset management and develop human resources. Accordingly, the government adopted the State Program of Industrial-Innovative Development for 2015-2019 and announced the Nurly Zhol plan for promot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2014, followed by the ”100 Concrete Steps to Implement Five Institutional Reforms“ in 2015. This was a strategic attempt to build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by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external economic sector, through securing new growth engines in the economic sector, promoting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implementing structural reform.
Uzbekistan has been pursuing an import substitution policy while maintaining a closed economy since independence. Uzbekistan’s government-led closed-economy essentially followed policy goals which prioritized the protection of its domestic market and economic stability from external volatility. Thereby, the country concentrated its efforts in developing domestic industries among the five Central Asian countries. Thanks to this, the country has been able to accomplish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but still has many limitations in cultivating its export competitiveness, asits main export items are weighted towards raw materials (cotton, gold, gas, etc.) and its manufacturing sector is mostly composed of labor-intensive industries. Recently, the Uzbek government is putting the highest emphasis on enhancing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in import substitution while promoting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se efforts it aims to pursue stable economic growth based on strategic cultivation of the export industry and to drive a shift from labor-intensive industries to technology-intensive business. The government set key initiatives in reducing excessive governmental involvement in the economic sector, expanding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deregulating trade activities and exchange rates, etc. In this context, the government formulated a comprehensive global financial crisis recovery plan in 2009, and such initiatives as the “Priorities for Economic Policy” and the “Short-term and Long-term Action Plan of the Uzbekistan Cabinet” were presented in 2015. At present, the government is preparing long-term programs for economic development up to 2030, which are expected to include more details on improving the nation’s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the development of raw materials processing and high value-added industries.
Turkmenistan’s government-led closed-economy has its key policy objective focused on natural gas exports, based on strong national control over its energy resources and the financial sector. However, such obstacles as excessive dependence on exports of raw materials, strong governmental control over the economy, and inefficiencies in the economic system have hampere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response, the government adopted the “National Program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urkmenistan for 2011-2030” in 2010, identifying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as a major goal of its national strategy. Modernization of the energy sector, industry diversification through cultivation of non-energy sectors were selected as priority goals. Currently, the government is aligning its efforts with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Program 2012-2016,” while formulating the next “Socio-economic Development Program 2017-2021.” In particular, in 2016, President Verdi Muhammedov presented the ”2017 Socio-economic Policy Direction,“ and selected three major projects: attracting active investment, fostering companies wi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ing the private sector. According to this agenda, future project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 mineral processing complex, production of petrochemical products, and construction of industrial infrastructure will be carried out.
As mentioned above, amidst the uncertainty in the global economic environment, Central Asian countries are devoting all their energies to prepare plans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ir aim is to reform their economic structure centered on exports of resources and pursue industrial diversification. In this situation, our government should establish plans to exp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se countr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esents plans to promote economic cooperation specialized for each country.
With Kazakhstan,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plans for economic cooperation in areas that contribute to Kazakhstan’s economic modernization,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Regarding industrial diversification, the six major manufacturing industries (nonferrous metals, chemicals, petrochemicals, machinery, building materials, groceries), agricultural modernization, four major innovation sectors (mobile multimedia technology, aerospace and nanotechnology, robotics and genetic engineering, future energy), tourism cluster creation and energy efficiency are promising areas. F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promoting cooperation in the areas of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industrial and energy-related infrastructure can be considered. In addition, technology cooperation in high-tech industries such as medicine, bio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knowhow sharing in national land development and renewable energy industries are also promising directions to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Uzbekistan, cooperation measures should be prepared in the fields of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localization,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Regarding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localization, it is most desirable to seek economic cooperation in the ten priority industries (electric power, oil and gas chemistry, chemicals, machinery, textile and leather, electronics, building materials, pharmaceuticals, groceries, and minerals), the seven most promising industries for localization (agricultural products, minerals, chemical and related industrial products, textile materials, building materials, metal products, machinery and equipment), and the agricultural sector. Regard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we can cooperate in areas of transportation, and industrial and energy sectors. In addition, the healthcare industry, construction of a joint industrial complex, eco-friendly green technology, tourism industry are also desirable areas for bilateral cooperation.
For Turkmenistan,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operation plans linked with industrial diversification, localization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which is quite the same with Uzbekistan’s case. However, the details within each sector are different. In the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localization sector, we should focus on industrial modernization (oil and gas, chemicals, light industry, food processing, building materials, machinery, textile, agricultural products), localization (building materials, chemicals, household appliances, grocery products), and export promotion industries (chemicals, agriculture, pharmaceuticals, light industry, grocery products). Regard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tourism-related infrastructure connected with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north-south and east-west corridors, complex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hub, and tourism cluster), and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gricultural sectors (processing facilities for dairy products, fruits, vegetables, fish) are promising areas of economic cooperation. In addition, further cooperation measures should be explored in the tourism sector, which has recently been designated as one of the priority industries in the non-energy sector.
Overall, approaches for expand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sian countries and the Republic of Kore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holding of regular high-level talks, our government should continue strengthening relations with key Central Asian figures, especially through summit diplomacy with key nations in the region. In addition, we should upgrade the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Forum, which has been held at the vice-ministerial level, to a summit-level meeting. Through this, we can pioneer the ”3.0 era of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sia and Korea” while further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ies and performances of cooperation.
Secondly, deciding on the main actor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sia and Korea is highly essential. An organization to formulate short- to mid- and long-term strategies for major Central Asian countries is needed in order to promote deeper economic cooperation. To this end, a Korea-Central Asia economic cooperation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under the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Forum, to coordinate Korea’s economic cooperation with major nations in the region. In principle, the committee should be composed of 1.5 tracks, in which all public organizations and representatives of private enterprises in every country participate. In this way, efforts to establish systematic supportive measures and cooperation policies targeting domestic SMEs can also be made.
Thirdly,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establishing a fund for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 to promote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It is highly important to reduce investment and cooperation risks for private companies which hav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Funds can be sought by national banks in each country and be reviewed to see if ou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und can also be made available to support infrastructure development.
Finally, since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Central Asian countries will depend on human resources, a systematic supporting system that includes professional technical training, industrial specialists training, academic and technical exchanges, should be provided by establishing a ”Korea-Central Asia Future Generation Promotion Committee“ under the Korea-Central Asia Cooperation Forum. For example, we should prospectively consider establishing vocational training schools and operating technical education programs in Central Asia, as well as supporting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entral Asia through various special program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제2장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여건 고찰
1. 카자흐스탄의 경제구조와 성장잠재력
2. 우즈베키스탄의 경제구조와 성장잠재력
3.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제구조와 성장잠재력
4.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경제발전 여건 비교 및 평가
제3장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경제발전전략 분석
1. 카자흐스탄 경제발전전략의 기본 방향과 내용
가. 경제발전전략의 방향
나. 경제발전전략의 내용
2. 우즈베키스탄 경제발전전략의 기본 방향과 내용
가. 경제발전전략의 방향
나. 경제발전전략의 내용
3. 투르크메니스탄 경제발전전략의 기본 방향과 내용
가. 경제발전전략의 방향
나. 경제발전전략의 내용
4.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경제발전전략 비교 및 평가
제4장 한ㆍ중앙아시아 경제협력의 추진 현황 평가
1. 한ㆍ카자흐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가. 한ㆍ카자흐 협력 추진체계 현황
나. 한ㆍ카자흐 협력의 분야별 성과
2. 한ㆍ우즈벡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가. 한ㆍ우즈벡 협력 추진체계 현황
나. 한ㆍ우즈벡 협력의 분야별 성과
3. 한?투르크멘 경제협력의 성과와 과제
가. 한ㆍ투르크멘 협력 추진체계 현황
나. 한ㆍ투르크멘 협력의 분야별 성과
4. 한ㆍ중앙아시아 경제협력의 추진 현황 비교 및 평가
제5장 결론
1. 중앙아시아 주요국 경제발전전략의 특성과 시사점
2.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현안과제와 한국에 대한 협력 수요
3. 한ㆍ중앙아시아 주요국의 경제협력 확대방안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 236 |
---|---|
판매가격 | 10000 원 |
같은 주제의 보고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