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외국인직접투자 유형별 결정요인 분석 산업정책, 외국인직접투자

저자 이승래, 강준구, 김혁황, 박지현, 이준원, 이주미 발간번호 15-0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5.12.30

원문보기(다운로드:9,20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개방화의 진전으로 세계경제환경이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막론하고 모든 국가들이 자본유입, 기술이전, 고용창출 등을 통해 자국의 산업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외국인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유치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세계 FDI 규모는 투자진입장벽 완화와 투자인센티브 제공 등의 적극적인 FDI 유치정책에 힘입어 유입액 기준으로 2004년에는 6,480억 달러에서 2014년에 1조 2,300억 달러를 기록함으로써 2004년대비 약 90% 증가하였고, 이러한 추세는 향후 2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정책에 따라 외국인투자기업의 국내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FDI가 증가하여 2014년 FDI 유입액은 신고기준으로 전년대비 31% 증가한 190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도착기준으로는 전년대비 17% 증가한 115억 달러를 기록하여 누적 신고금액과 도착금액 모두 사상 최대실적을 보였다. 이와 같이 FDI가 규모의 측면에서 최대실적을 보이고 있지만 이는 다른 OECD 국가들과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브라질 등의 개발도상국들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한국의 FDI 유치 실적은 2014년 현재 GDP 대비 0.7% 수준으로 주요 선진국 및 개발도상국의 6~10% 수준에 비하면 여전히 낮다.
또한 UNCTAD Division of Investment and Enterprise에 따르면 한국의 투자 유치 실적은 투자 유치 잠재력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수준(2000년대 이후 투자 유치 실적은 30~32위, 투자 유치 잠재력은 17~18위)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보고서는 국내외 선행연구 조사와 실증분석을 통해 국내와 세계 FDI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지금까지 FDI 결정요인을 분석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조사하고, 도출된 결정요인을 다시 경제적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와 비경제적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로 구분하여 각 변수를 중심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FDI 관련 연구들이 어떻게 진화되었는지 검토하였으며, 우리나라 산업의 투자진입장벽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Hoekman(1995) 방식을 활용하여 산업별 투자개방지수를 도출, 국내 FDI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FDI 결정요인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과거에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거시경제적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들이 FDI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분석한 반면 최근에는 데이터의 접근성 확대로 인해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거시경제적 특징을 나타내는 변수 외에 비경제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사회·정치·제도적 변수들이 FDI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이 활발한 것을 확인하였다. FDI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서 우선 투자유형을 기준으로 FDI를 사업장 설립(Greenfield)형과 인수합병(M&A)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유형별 FDI 결정요인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세계 FDI 결정요인은 국가수준의 패널자료를, 국내 FDI 결정요인은 산업수준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였다.
이때 산업수준 분석에서 투자자유화 및 기업환경의 정도 등 비경제적 요인을 산업수준에서 구하는 것은 사실상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보고서에서는 데이터의 가용성을 고려하여 업종별 노사분규 건수와 투자개방지수를 도출하여 국내 FDI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보고서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 세계 및 국내 FDI의 통계적 추이와 제도적 변화 추이를 조사한 결과 세계 FDI는 1980년대 이전까지 개별 국가 차원에서의 제한 또는 규제 기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FDI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의 확산과 UR 협상의 타결, WTO 출범 등으로 인하여 세계 각국은 경쟁적으로 FDI 유치 확대를 위해 노력해왔으며 최근에는 선별적·전략적 FDI 유치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도 세계 FDI 규모는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였다.
이후 2000년대 후반에는 일정 수준의 변동폭 속에서 등락을 보이고 있으며 2014년 현재에는 1조 2,300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 FDI 추세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발도상국의 비중과 M&A형 투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개발도상국으로의 FDI 유입은 꾸준히 증가하여 2014년 현재 전 세계 투자 유입의 55%를 차지하고 있으며, M&A형 FDI는 투자금액 측면에서 그린필드형 FDI보다 여전히 규모는 작으나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14년에는 전년대비 28% 증가).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적인 추세와 마찬가지로 1980년대 이전까지는 차관중심의 경제발전전략에 중점을 두면서 적극적인 FDI 유치정책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그러나 외환위기에 직면하면서 경제의 조기회복 도모를 위해 적대적 M&A를 허용하여 M&A와 관련된 투자장벽을 대부분 철폐하는 등 적극적인 FDI 자유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 국내 산업의 선진화·고도화에 부합할 수 있는 선별적·전략적 FDI 유치정책을 시행하여 FDI 유치의 양적 확대보다 질적 강화를 추구해왔다. FDI 규모 면에서도 1980년대에는 미미한 증가를 보이다가 1997년부터 M&A형 FDI를 중심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현재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투자국을 지역과 유형별로 구분하여 FDI 유치 실적을 조사한 결과 과거에는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으로부터 그린필드형 FDI가 많았던 반면 2000년부터 최근까지는 중화권 국가로부터 M&A형 FDI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세계 FDI를 투자유형과 경제발전단계별로 구분하여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한 결과 선진국의 경우 1인당 GDP만이 그린필드형 FDI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플레이션과 실질환율, 금융시장발전정도는 M&A형 FDI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 경제적 특징을 나타내는 요인들이 선진국의 FDI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GDP 증가율과 인플레이션, 국가위험도를 나타내는 지수, 다른 국가와의 투자협정 건수가 그린필드형 FDI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실질환율과 금융시장발전정도, 국가위험도, 투자협정 건수 등이 M&A형 FDI에 유의한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투자 유치국의 경제적인 특징과 비경제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FDI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산업별 FDI의 경우 기간과 투자유형별로 구분하여 결정요인을 실증분석하였다. 특히 2004년에 한국의 FDI 인센티브 제도 변화로 인해 2004~05년 산업별 FDI 통계에 편의가 있을 것을 고려하여 분석자료를 초기 기간(1995~2003년)과 최근 기간(2006~13년)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FDI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그린필드형 FDI의 경우 국내 FDI가 증가하기 시작한 초기에는 고비용의 숙련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산업이나 FDI 개방정도가 높은 산업에 투자가 많이 이루어졌던 반면 최근에는 FDI 개방정도가 낮은 산업일수록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A형 FDI의 경우 초기에는 산업의 R&D 투자 및 FDI 개방정도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노사분규 건수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산업의 투자개방정도가 초기에 큰 영향을 미쳤던 반면 최근에는 투자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의 산업별 투자개방정도와 유형별 FDI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보고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선 국내 그린필드형 및 M&A형 FDI 모두에서 FDI 개방지수가 투자 유입을 증가시킨다는 결과가 도출되어 투자개방정책이 FDI 증대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FDI 확대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개방지수가 낮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개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물론 국내 FDI 관련 법·제도를 세계적인 추세에 맞춰 보다 FDI 친화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향후 FDI 유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추진을 검토하고 있는 ‘규제 프리존’과 같이 사업·투자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미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수많은 국내 FDI 유치제도가 변화되는 국내 정책목표에 부합되도록 미흡한 점을 고쳐나가야 하며, 분산되어 있는 외국인투자 유치 총괄조정기능도 서둘러 정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포함된 선진국의 M&A형 FDI는 금융시장발달정도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향후 M&A형 투자를 더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는 금융시장의 발달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세계경제포럼에서 발간되는 금융발전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금융시스템의 발전을 가져오는 기반이 전반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 금융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제도·정책 측면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금융회사 육성, 전문인력 양성 등을 통해 금융시장 조성 및 활성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외 국내 그린필드형 FDI가 고비용의 숙련노동력과 노사분규 건수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외국인투자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노사관계 개선을 위해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long with the rapid process of trade liberalizatio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egan to put forth a multilateral effort into promo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or the purpose of capital inflows, technology transfer, and job creation. By implementing FDI promotion policies such as providing investment incentives and lowering investment barriers, global FDI inflows have increased constantly over time. In case of Korea, the size of FDI inflows and number of foreign invested companies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the government implemented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policy to overcome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8 and reached its highest peak in 2014. While FDI inflows became an essential part of domestic economy, they are still considered to be marginal when compared to those of developed and also developing countries. Taking into account of the importance of FDI inflows in Korean economy yet marginal FDI performance with respect to its potentia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determinants that promote and hinder the FDI in Korea. This report analyzes and evaluates the determinants of FDI by investigating prior foreign and domestic trade studies and by performing the empirical analysis. In particular, we estimate for the determinants of FDI by dividing the analysis based on FDI patterns (Greenfield FDI and M&A FDI). In particular, based on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changes in investment barrier across domestic industries over time, we derive FDI openness index for each industry sector and estimate its effects on different patterns of FDI inflows into domestic industries by using Korean industry-level FDI data.
Investigating for global and domestic FDI trends from the statistic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indicates that while FDI inflows were restricted and strictly regulated at the individual country-level before 1980s, countries began to promote FDI competitively as positive perception on FDI expanded across the globe along with the Uruguay Round Agreement and WTO establishment. Recently, it is observed that countries are amending regulation systems to promote FDI strategically by putting more weights on its quality than quantity. Consistent with institutional trends, the size of global FDI inflows began to increase after 1980s, with having its rapid growth between late 1990s and early 2000s, and had a stable growth after late 2000s. The most distinguishable feature of global FDI trend is the emergence of developing host countries and an increase of M&A FDI share. In particular, FDI inflows into developing countries have constantly increased over time and accounted for 55% of global FDI inflows in 2014, which surpasses that of developed countries. While M&A FDI inflows, on the other hand, is smaller than greenfield FDI in terms of its size and share, it constantly increased over time and recorded an increase of 28% in 2014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Consistent with global FDI trends, Korea was reluctant to implement FDI promotion policies before 1980 and instead, relied heavily on a foreign loan to develop its economy.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late 1990s, however, the government began to remove all of M&A investment barriers to recover the economy in short time. Recently,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FDI promotion policies strategically and selectively that can coincide with its goal of advancing certain domestic industries. In terms of FDI size, Korea experienced a rapid growth in M&A FDI after 1997 and it showed a constant increase over time. Investigating Korean FDI inflows by taking into account of source countries and FDI patterns, we find that while prior FDI inflows were concentrated in greenfield FDI form, mostly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such as European countries and United States, recent FDI inflows are concentrated in M&A form, mostly from Asian countries.
Examining the changes in investment barrier across domestic industry sectors, we find that most of manufacturing sectors were fully liberalized in 1990s and except for few sectors, all manufacturing sectors were liberalized after 2000. Service sectors, on the other hand, showed a lower level of investment liberalization relative to manufacturing sectors. In particular, sectors that include public services and transportation services showed the lowest level of investment liberalization. After analyzing the changes in investment barriers, we computed for the FDI openness index for each industry sector by using the methodology from Hoekman (1995). Taking into account of prior results that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FDI, we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different patterns of FDI. In particular, we used country-level and Korean industry-level FDI data to estimate the determinants of greenfield FDI and M&A FDI.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country-level FDI by decomposing the sample based on the income-level of host countries,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GDP per capita has significant effects on greenfield FDI, while inflation rates, real exchange rates, and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A FDI across developed countries. Across developing countries, on the other hand, GDP growth, inflation rates, and country risk indic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greenfield FDI, while real exchange rates,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country risk indices, and number of investment treaties with other countr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 FDI.
Examining the determinants of domestic industry-level FDI by dividing the sample on the basis of time periods, we found that greenfield FDI is likely to increase among industry sectors where firms can use high-skilled labor by bearing higher wages and where FDI openness is high during the earlier sample period, while it is likely to increase among industry sectors where FDI openness is small over the recent sample period. M&A FDI, on the other hand,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R&D investment and FDI openness during the earlier sample period, while i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number of labor-management dispute cases over the recent sample period. These results imply that while FDI openness previously had a large impact, investment environment is becoming more effective on promoting M&A FDI.
This report provides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on promoting FDI in Korea. First, the estimation results on FDI openness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greenfield and M&A FDI imply that investment liberalization policy is effective on promoting FDI and that additional investment liberalization on service sectors that showed the smallest FDI openness would be more effective on promoting FDI in the fu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Korean government have already adopted and made much improvement on legal systems to promote FDI.
To make more practical progress, therefore, we need to focus on improving business and investment environment, such as “regulation free zone” that is currently being considered for the promotion. Amending numbers of FDI promotion systems that are already being implemented in correspondence to policy objectives would also make practical progress on promoting FDI in the future. Second, the estimation results on country’s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showing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M&A FDI across developed countries where Korea is included imply that advanced financial market is essential to promote FDI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mplementing policies that can promote more financial companies and produce professional manpower can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financial systems and can lead to promote more M&A FDI in the future. Furthermore, high-skilled labor and numbers of labor-management dispute cases having significant impact on greenfield FDI indicate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raining programs that can produce professional manpower who can fit into interests of foreign firms and need to put forth additional efforts on improving labor-management relation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1. 통계적 분석
가. 세계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나. 한국 외국인직접투자 현황
2. 제도적 분석
가. 외국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법·제도
나. 세계 외국인직접투자 규범·제도 동향
다.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제도 도입 현황
3. 우리나라 투자개방지수 도출
가. 개요
나. 투자개방지수의 도출 방법 및 자료
다. 우리나라 투자개방지수
4. 소결


제3장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정리·분석

1. 해외문헌 분석
2. 국내문헌 분석


제4장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1. 국가별 FDI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가. 분석모형
나. 분석자료
다. 분석결과
라. 소결
2. 국내 산업별 FDI에 대한 결정요인 분석
가. 분석모형
나. 분석자료
다. 분석결과
라. 소결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결론 및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02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연구자료 국내 전략산업 투자유치 인센티브 개편 방향 2023-12-08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