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미국 하원의 통상정책 결정요인과 시사점 다자간협상, 무역정책

저자 고희채, 최호락 발간번호 14-07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4.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23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미국 헌법은 대외통상정책 권한을 의회에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의회선거 결과는 미국의 대외통상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준다. 지금까지 많은 기존연구들은 미국 하원의 통상정책 결정 요인, 즉 의원들의 통상 법안에 대한 투표행위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분석해왔다. 이 중 중요한 설명변수로 지목된 것은 이익단체인 정치활동위원회(PAC: Political Action Committee)의 기부금이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횡단면자료를 이용한 분석에 그치고 있어, 내생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생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가운데 하나인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기존연구에서 사용하던 노동-기업 PAC라는 이분구도와 달리 기업별로 FTA에 대한 태도가 상이할 것으로 판단되어 산업별로 세분화하였다. 아울러 민주-공화당이라는 양당구조에서 각 당 내의 계파별로 나누어 그들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미국 하원을 통과한 통상 법안 중 7개 법안을 패널자료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은 확률효과를 고려한 패널 로짓(panel logit) 모형과 하우스만‧테일러 2단계 최소제곱(Hausman- Taylor 2SLS) 추정방식을 이용하였다. 추가적으로 기업 또는 노동 PAC에서 받는 기부금을 기준으로 분위별 분석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 PAC로부터 기부금을 많이 받는 의원들은 FTA 법안에 찬성을 하는 반면, 노동 PAC로부터 받는 기부금이 많은 의원들은 FTA 법안에 반대하는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업 PAC를 기업식 농업, 통신, 국방, 에너지, 금융 등 산업별로 세분화하면 산업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기업 PAC로부터 받는 기부금액이 많다고 해서 FTA 법안에 찬성하는 것이 아니라 산업별로 입장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더구나 해당 기부금에 따라 분위별로 나누면, 기업 PAC로부터 받는 기부금이 최상위 그룹이나 최하위 그룹에서만 계수 값이 양(+)이고 유의한 값을 가졌다. 또한 PAC 기부금과 함께 소속 정당과 정당 내에서의 그룹별 정치 이데올로기도 의원들의 투표행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민주당 전체를 보면 FTA 법안에 반대를 하지만, 의회진보모임(CPC), 신진보주의연대(NDC), 블루 독(Blue Dog) 같이 세부 그룹별로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주류파트너십(RMSP), 공화당연구위원회(RSC) 등 공화당 계파들은 일반적으로 FTA 법안에 찬성하지만 티파티(Tea Party)는 반대를 하는 경향이 있어 세부 그룹별로는 의견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대미통상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할 수 있다. 우선 미국 하원 의원들의 통상정책 결정요인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은 각각의 이익단체들의 기부금과 정치 이데올로기이다. 따라서 미국 통상정책 결정과정은 의회는 물론 각각의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이 잘 반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통상정책 수립단계에서부터 해당 협회 및 기업들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통상정책 수립과 결정에 있어서 아직까지 의회의 역할은 미비한 상황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통상정책에 있어 의회는 물론 업계, 소비자 및 언론 등의 의견이 더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화할 필요성이 있다. 아울러 통상정책에서 미국 의원들이 가지고 있는 정치 이데올로기가 중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 우리나라가 정치적으로 동맹이자 우방임을 지속적으로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방안 중의 하나가 코리아 코커스(Korea Caucus)를 활용하는 것이다. 코리아 코커스는 2003년에 한‧미동맹 증진 및 미국 의회에서 우리나라의 정보공유를 위해 설립된 모임이다. 여기에 소속된 의원들은 지한파 의원으로 이들과의 유대관계를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이 우리나라와의 통상마찰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e U.S. Constitution assigns to the Congress for the enactment of foreign trade policy. Therefore, congressional election results have a big impact on U.S. foreign trade policy.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foreign trade policy in the U. S. House of Representatives. It is believ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voting behavior of legislators is the interest groups particularly the contributions of the political action committees (PACs).
In this regard, previous studies have exhibited the limitations which led to the inability to overcome the endogeneity as the studies utilized cross-sectional data analysis. It is necessary to utilize various econometric models to overcome this endogeneity, one of which is the panel analysis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further divided the PACs by industries to reflect their different attitude on FTAs. We also analyzed the perspectives by political party factions.
In this paper, panel data was created with seven FTA bills that passed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since 2000.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in detail, we used the random effect panel logit model and the Hausman- Taylor 2SLS estimation. In addition, we conducted the quantile regression based on the contributions received by the PAC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We find that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received larger contributions from the business PACs on the FTA bills, while contributions from the labor PACs were not usually supportive of FTAs. However, when business PACs are divided into industries such as agribusiness, telecommunications, defense, energy, finance,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each industry. For example, the contributions received from business PACs varied by industry perspective, rather than being uniformly in favor of the FTA bill.
An analysis of each political party's stance with respect to FTA negotiation revealed that the Republican Party has a more FTA-friendly characteristic while the Democratic Party shows a varied voting pattern with visible voting deviations.
Another important influence on the voting behavior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s political ideology. For example, the Democrats have generally opposed the FTA bill;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of opinion among the Congressional Progressive Caucus, New Democratic Coalition, and Blue Dog Coalition. Also, while the Republicans are generally in favor of the FTA bill, differences of opinion were found for the FTA depending on the group, Tea Party for example.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could come up with the following trade policy implications. First of all, the most distinctive determinant of the voting behavior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s the contribution of each interest groups and political ideology. Thus, the distinguished feature of the U.S. trade policy process is that the opinions of congress and each interested groups are well reflected. Of course, the Korean government also attempts to reflect the views of associations and businesses at the trade policy-making stage. However, the role of Korean national assembly is considered to be limited in the trade policy making process. Therefore, Korea needs to institutionalize the trade policy making process so that the opinions of the congress, industry, consumers and the media are better reflected.
In addition, the political ideology of US lawmakers was found as another important factor in the U.S. trade policy-making proc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o make aware that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close political allies. In doing so, we could utilize the Korea Caucus. Korea Caucus was launched in 2003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two nations ties and sharing of Korea-related information in Congress. Members of the caucus are pro-Korean legisla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ties with them, which will also help reduce trade disputes between the two nations.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3. 연구의 구성 


제2장 기존 문헌 및 미국의 통상정책 현황
1. 기존 문헌 
2. 미국의 통상정책 현황 및 통상정책 결정 메커니즘
가. 미국의 통상정책 현황 
나. 통상정책 결정 메커니즘 


제3장 미국의 통상정책 결정요인 분석
1. 모형 
2. 자료 
3. 실증분석 결과


제4장 실증분석의 강건성 분석 
1. 기부금의 분위별 분석 
2. 기부금을 비율로 대체한 실증분석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결론 
2.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1.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의 FTA 체결로 인한 산업별 영향
2. 자료 설명 
3. 전체 실증분석 결과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92
판매가격 5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산업보조금의 글로벌 확산 현황과 시사점 2023-12-29 연구자료 WTO 서비스 국내규제 규범의분석과 시사점 2023-11-24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성평등 무역규범 도입 현황과 한국의 정책과제 2023-05-06 연구자료 최근 Mega FTA SPS 규범의 국제논의 동향 및 시사점 2023-05-19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일본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일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무역을 위한 국내보완대책의 성과와 시사점 2022-12-30 연구자료 무역 자유화와 소비자 후생효과: 품질 다양성을 중심으로 2023-05-25 중장기통상전략연구 중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중 협력 방안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미국의 중장기 통상전략과 한·미 협력 방안 2022-12-30 연구자료 DDA 서비스협상의 주요 쟁점 평가와 시사점 2022-10-25 연구보고서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이 중소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25주년 평가와 한국의 활용전략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반덤핑조치의 국제적 확산과 조사기법 다양화의 영향 및 정책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가치사슬의 구조 변화와 정책 대응 2021-12-3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중국의 통상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1-12-30 연구보고서 제조업 서비스화의 수출경쟁력 제고 효과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의 그린뉴딜 정책과 시사점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