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중장기통상전략연구 한반도 통일이 러시아에 미칠 편익비용 분석 경제관계, 북한경제

저자 알렉산더 제빈, 스베틀라나 수슬리나 발간번호 14-04 자료언어 Korean/Russian 발간일 2014.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41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이 연구는 러시아 관점에서 무력통일, 북한 붕괴, 현 상태 유지, 화해·협력, 남북관계를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는 5대 통일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현재 한국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요 통일 시나리오를 이 연구와 비교해 보면 한국 내 주요 시나리오 한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통일은 한국의 주도 아래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북한의 현실적인 입장을 무시하고 있으며, 셋째, 한반도 통일이 주변국에 미치는 경제적 편익만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통일이 당장 일어날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이 연구 시나리오는 이러한 가정을 보완하고 더욱 현실적인 면을 반영하였다. 각 시나리오별 편익과 비용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 입장에서는 무력통일 시나리오는 미국이나 미국의 동의와 지원을 받은 한국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북한은 일련의 자연재해와 경제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무력통일을 지지할 동맹국의 부재 등으로 무력통일을 수행할 수 있는 군사·수송·인적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무력통일이 러시아에 파급되는 비용은 러시아 연방의 국토와 주민이 겪는 물질적 피해, 국경 통제와 안보비용 증가, 러시아 극동 지역 개발 지연, 국제사회의 추가 제재 가능성, 동북아와 한반도에서 시행 가능한 다자간 협력정책 시행 연기, 러시아와 한국 간 교역 및 각종 경제협력 후퇴 등일 것이다. 특히 철도연결 프로젝트의 지연으로 매년 5∼15만 달러, 가스 송유관 연결사업 지연으로 30억 달러의 손실을 입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력통일은 러시아에 어떠한 편익도 주지 않는다.
북한 붕괴 시나리오는 북한이 내부적으로 단결되어 있고 중국이 북한체제 안정을 위해 식량과 생필품을 지원해 주고 있기 때문에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만에 하나 북한이 붕괴될 경우 러시아가 입게 되는 피해는 전쟁이 러시아 국토와 주민에 주는 직접적인 피해를 제외하고 무력통일 시나리오와 동일하다. 이러한 시나리오 아래서 러시아의 편익은 장기적으로 철도, 가스, 그 외 각종 프로젝트 시행과 관련된 장애가 제거될 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태 유지 시나리오는 실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현재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미국의 예측 불가능한 대북정책과 미국 및 미국의 동맹세력이 북한의  안보 염려를 경시하는 태도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러시아가 감수해야 하는 비용은 한국과 북한에 대한 경제 협력관계 구축 지연, 동북아에서 교두보 역할을 하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이익 실현 지연, 시베리아철도 연결 프로젝트와 가스 송유관 연결 프로젝트 등을 비롯한 각종 프로젝트 지연 등이다. 러시아의 편익은 한반도의 안정적 상황 유지, 무력통일과 북한 붕괴 시나리오에 비해 낮은 군비 지출, 남북한과 러시아 간 교역 및 경제협력의 점진적 개선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남북한 사이의 관계가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경우 2020년까지 러시아와 한국의 교역은 300억 달러, 러시아와 북한의 교역은 10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이다.
화해·협력 시나리오에서 러시아가 얻는 경제적 편익은 매우 클 것이다. 남북한이 화해하고 협력한다면 극동러시아 국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군사 충돌 가능성이 낮아지고, 다자간 경제협력의 실현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 대신 러시아는 경제협력 프로젝트 시행, 남·북·러 간 삼각 협력구도 구축, 북한경제 현대화 등을 위한 투자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러시아는 철도와 가스 송유관 연결로 인해 연간 5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얻고, 시베리아 철도를 통한 유럽과 한반도 간 물류 이동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또한 러시아, 남한, 북한 사이의 교역이 증가하고 남한과 북한이 협력하여 러시아가 추진하고 있는 극동 지방 개발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남북관계를 위한 최적 대안은 남한과 북한,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의 이해관계를 모두 충족시키는 통일 시나리오이다. 러시아의 편익은 에너지를 수출할 수 있는 거대시장 조성, 시베리아 철도와 한반도 철도의 연결, 가스와 전력 수송 라인 연결, 경제특구 개발을 포함한 극동 지역 투자 증가, 러시아와 한반도를 통한 아시아 경제권과의 통합 가속화 등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나리오가 달성되면 러시아의 GDP를 2∼3% 증가시킬 것이다. 그러나 단기간 내에 실현될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러시아에 가장 현실적이고 경제적 편익이 큰 대안은 화해·협력 통일 시나리오이다. 

  In this study we consider five scenarios for Korean unification: 1) military unification, 2) regime collapse, 3) maintaining the status quo, 4)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5) the optimal scenario of inter-Korean relations, peaceful unification. Comparing these five scenarios with the existing unification scenarios, we can observe shortcomings of past reunification scenarios. First, unification would be achieved under the guidance of South Korea on the basis of the market economy and liberal democracy as the political system. Second, they ignore the positions and interests held by North Korea. Third, they put excessive emphases on economic benefits of Korean unification to neighboring countries. Lastly, they predicted that unification would actually be achieved in near future. This study attempts to correct the shortcomings of previous reunification scenarios and to reflect current realities. Cost-Benefits of each of the five unification scenarios are as follows.
A military unification scenario could be initiated only by the U.S.A or with their approval and support by the ROK. NK does not have the armaments, logistical and human resources to resist after a recent chain of natural disasters, on top of economic problems and being subject to severe international sanctions. The costs of this scenario to Russia would be possible damage to the Russian Far East territory and citizens; tighter security and border control leading to a slowdown in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in the Russian Far East; possible sanctions from the West; suspension of multilateral projects in Northeast Asia; and the decline in trade and other form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Russia and both Koreas. Russia also stands to lose 0.5-1.5 billion USD in transit earnings annually from delays in the railroad project, and additional 3.0 billion USD related to the interruption of the gas project. There will be no benefits for Russia in a military unification scenario.
Regime collapse scenario is unlikely because of the firmness of the NK leadership on key domestic and foreign policy issues, and support from China, which provides food and other necessities to maintain social stability in NK. Russia’s costs under this scenario will be the same as in the case of military unification minus the direct damage to the Russian Far East territory and population. Possible benefits to Russia will be in the indefinite future, mostly from possible elimination of obstacles for implementation of rail, gas and other projects.
The status quo scenario is one of the more probable options. The main danger of the scenario is the unpredictability of NK’s response to the US and its allies’ disregard for Pyongyang’s security concerns. Russia’s costs would include simple continuation of the existing economic relations with both Koreas; postponement of benefits from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peninsula as a “bridge of integration” in East Asia; delays in implementation of the railway, gas and other projects (the same as in previous two scenarios). Russia’s benefits will include maintenance of some stability on the peninsula; savings in defense spending; gradual increase in trade volume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two Koreas. By 2020, Russia’s bilateral trade with SK is expected to reach 30 billion USD, with the NK – 1 billion USD.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represents a far more profitable scenario since it significantly reduces the risk of large-scale armed conflict on Russia’s borders and increases chances for the realization of multilateral economic projects. Russia’s costs will be related to funds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ose projects, establishment of effective mechanism of trilateral cooperation (Russian Far East-SK-NK) and for assistance to modernize the NK economy. Russia’s benefits may include revenues from the realization of railway and gas projects (up to 5.0 billion USD annually): acquiring a key position in facilitating trade flows from Europ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back; increases in her trade with SK and NK;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two Korean states in economic projects in the Russian Far East region.
The optimal scenario of peaceful inter-Korean relations is a prerequisite for the start of the reunification process, which would meet the interests of both the Korean n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ussia’s benefits will stem from creation of a larger market for the export of her energy resources; connection of TSR with TKR; exploitation of gas and electricity transmission lines; increased investment in the Russian Far East,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dvanced growth zones; transformation of the peninsula into a transit bridge for Russia’s integration into the APR economy. In general, the implementation of this scenario would bring additional 2-3% increase in the Russian GDP annually. Since this scenario is unlikely to be realized, the most profitable and realistic prospect for Russia remains the development of peaceful relations between SK and NK according to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scenario.
Any real progress towards a ultimate goal of Korean reunification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NK elite will be convinced that the SK, along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ngage in an honest attempt to integrate the North into the existing world.

서언
 
국문요약
 
영문요약 
 
 I. 서론: 러시아의 신 아시아 정책과 한반도
 
Ⅱ.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 주요 결정 요인
 
Ⅲ. 한반도 통일 시나리오: 러시아 시각 
1. 한반도 무력통일 시나리오 
2. 북한체제 붕괴에 따른 통일 
3. ‘전쟁도 평화도 아닌’ 시나리오  
4. ‘화해·협력’ 시나리오  
5. 한반도 최적의 통일 시나리오
 
Ⅳ. 다양한 한반도 통일 방식에 따른 러시아의 비용과 편익 분석
1. 한반도 무력통일 시나리오  
2. 북한체제 붕괴에 따른 통일 
3. ‘전쟁도 평화도 아닌’ 시나리오  
4. ‘화해·협력’ 시나리오  
5. 한반도 최적의 통일 시나리오
 
Ⅴ. 결론: 한국의 통일정책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보고서 북한의 관세 및 비관세 제도 분석과 국제사회 편입에 대한 시사점 2023-12-29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전략지역심층연구 북한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농업과 자연재해를 중심으로 2022-12-20 Working paper Analyzing DPRK's Food Supply and Demand Condition with Food Culture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남북 교류협력 추진 방안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미중 전략 경쟁 심화와 경제·안보의 블록화가 남북관계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대북제재의 게임이론적 접근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