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금융개방의 확대와 환율의 영향 변화 분석 금융제도, 환율

저자 윤덕룡, 김수빈 발간번호 13-04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3.12.30

원문보기(다운로드:2,07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 5년이 지났음에도 세계경제는 아직 정상적인 상태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각국은 위기극복을 위해 양적완화정책을 비롯한 자국 위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을 고려할 때 환율전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세계 각국이 환율전쟁과 같은 갈등 상황에 빠지게 될 경우 소규모 개방국가인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무역의존도 100%를 넘는 우리나라는 원화절상 속도의 가속화에 따른 경상수지 악화를 겪을 것이며, 물가 변동성 역시 확대될 뿐 아니라 거시경제변수 전반이 불안정해지는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금융개방 확대와 더불어 금융환경 변화에 취약한 현실을 고려할 때 거시경제 환경이 악화될 경우 국내시장에 유입된 해외자본들이 급격히 유출되는 서든스톱(sudden stop)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개방과 더불어 환율제도 및 정책의 변화와 외환거래에 대한 규제 완화 혹은 폐지 과정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대내외 금융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외환 수급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환율의 주요 경제지표에 미치는 영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점검해 보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주요 내용을 각 장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외환당국이 시행해온 환율 제도와 정책을 살펴보고, 외환위기 이후 빠르고 급격하게 금융개방을 단행해오면서 나타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2000년대 이후 실시한 외환거래 제도 및 규제의 변화내용을 소개하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외환제도는 대내외 금융환경의 변화와 시대적 정책과제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의 양적완화 관련 정책은 우리나라 외환시장뿐 아니라 자본유출입 변동성 확대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향후 양적완화정책의 변화에 따른 환율 및 자본유출입 변동성을 완화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의 수립과 이의 구체적인 시행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1997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환율과 경상수지, 자본거래로 인한 금융계정, 준비자산의 관계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금융개방과 거래의 자유화로 인해 금융거래 자체가 자율적 거래로 전환되었고, 이는 외환 수급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그 결과 외환시장 거래 규모뿐 아니라 자본 유출입 규모의 확대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스무딩 오퍼레이션을 통한 인위적 시장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또 다른 정책수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경상수지와 금융계정수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순차적 동행성이 확인되었다. 경상수지가 흑자를 보이면 후에 금융계정수지가 흑자로 전환되며 경상수지가 적자로 전환되면 일정기간 후 금융계정 수지도 적자를 시현하게 된다. 2000년대 들어 금융계정수지가 경상수지보다 직접적인 영향력 면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지만 여전히 경상수지는 환율결정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외환시장 안정화를 위한 경상수지의 지속적인 관리와 자본유출입 변동성 완화장치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제4장에서는 환율이 물가 및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VAR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환율 변화는 수입물가 및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며 경제성장률과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물가변수에 비해 미미하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가안정화를 위해 환율의 급속한 변동을 막을 수 있는 대책과 금융시장의 환위험 피해를 막기 위한 환헤징 수단 도입에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무역경쟁국인 일본 엔화 환율의 영향력이 달러화 환율 못지않게 크게 나타나 경험적 분석의 결과들은 이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시급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보고서 전체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도적 발전에 대한 장기 계획 수립과 이의 철저한 실행이다. 이러한 장기 계획은 원화 국제화를 통한 기축통화로의 도약, 외환시장 참가자의 다양화를 통한 시장 발전 등을 목표로 수립될 수 있으며, 새로운 단계의 제도적 발전을 통해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시장 내에서 변동성을 줄일 수 있는 장치와 경제주체들이 변동성에 대응하여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민간부문의 외환시장 대처역량 강화와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으며, 시장의 효율적인 작동을 수월하게 이끌어내기 위해 반드시 보완되어야 하는 부문이다. 셋째, 경상수지 관리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경상수지가 금융계정 내 투자자금의 이동방향까지 결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한국이 원화의 국제화 등을 통해 국제적 호환성을 가질 때까지는 경상수지의 흑자기조를 유지하면서 외환시장 안정에 필요한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넷째, 금융시장을 통해 유입되는 자본 중 특히 단기적 이득을 목적으로 유입되는 포트폴리오 자금은 서든스톱(sudden stop)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바, 실제로 위기 시 가동할 수 있는 장치를 보완하여 외환시장의 안정을 확보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환율 변동으로 인한 물가의 과도한 변동 가능성을 줄이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환율 급변동이 발생할 경우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가 직접적으로 충격을 받게 되면 소비자의 고통이 너무 커지므로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환율의 급변을 피하기 위해 현재 미세조정을 위한 외환시장 개입이 활용되고는 있지만, 그 외에도 시장주체들이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통한 해결책 모색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환율 및 자본유출입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는 선택지가 다양하게 갖추어질 수 있다면 시장 개입의 필요성도 감소하고, 시기와 여건에 따라 더 적절한 정책수단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Analysis on the Expansion of Financial Opening and Changes in the Effects of Exchange Rates

Deok Ryong Yoon, Su Bin Kim and Sammo Kang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onse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yet the world economy has not regained its normal state. Each country has been implementing the policies for its own domestic economy, such as the quantitative easing. Considering these circumstances,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the currency war. In fact, if the world economy turns into such situations, the impact on South Korea, an open and small scale economy, would be significant. South Korea, whose degree of dependence upon foreign trade reaches over 100%, will face the current account deficit resulting from the acceleration of appreciation of the Korean Won. Also, the price fluctuation will be worsened and overall macroeconomic variations will become unstable. Besides, judging from the current state of Korea’s economy, which is experiencing continuous expansion of financial opening and is prone to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if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were to deteriorate, it is possible that South Korea will experience a sudden stop in foreign capital inflows.

If we take those points into account,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 look at changes in the system and policies regarding the exchange rates and the deregulation process of foreign exchange dealings, along with the financial opening that has occurred since the currency crisis in 1997. Also, the necessity to conduct studies which examine the changes in the effects of exchange rates on main economic indicators is being brought up.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se demands, and its main contents are explained as follows.

In chapter 2, it examines the exchange rate system and policies that were implemented in South Korea, and then it introduc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tory scheme that was carried out after the 2000s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rapid financial opening and analyzes its characteristics. It can be said that South Korea’s foreign exchange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a way that it adapts to changes in both the domestic and overseas financial environment and to policy issues of the time. In addition, advanced economies’ policies concerning the QE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re significantly affecting not only the South Korea’s foreign currencies market but the increasing volatility in capital flows. This paper argues that long-term plans and concrete actions are required to reduce the volatility in capital flows resulting from the changes in the QE policies.

In the third chapter, it examines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ncial accounts and reserve assets that were caused by the exchange rates, current account and capital transactions after the currency crisis in 1997. Since the currency crisis, the financial opening and the liberalization of capital transactions turned financial transactions itself into the autonomous ones. This has cause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foreign exchange supply and demand, and as a result, not only the volume of transactions in foreign exchange market but the volume of capital flows have been increas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new policy tools need to be developed to minimize the artificial market interventions by the smoothing operation. Also, from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account and the financial accounts, this paper was able to identify their gradual co-movement. We observed that, when you have a current account surplus, a financial account also turns to surplus and when you have a current account deficit, a financial account also turns negativ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e were able to see that, after the 2000s, the financial accounts have greater direct impacts than current accounts. However, current account is still the main factor in determining exchange rates, while the effect of financial account surplus on determining exchange rates is increasing. From these observations, this paper suggests alternative measures that can continuously manage the current account and expand tools that ease the volatility in capital inflows for the foreign exchange market stabilization.

Chapter 4 conducts the VAR shock reaction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exchange rates on inflation and current account. Results show that the changes in exchange rates increase import prices and consumer prices while the changes have relatively minor negative effects on the economic growth rates and the trade balance.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measures to prevent rapid fluctuations in exchange rates for the price stabilization, and foreign exchange hedging measures to prevent the financial market’s exchange risk.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urgent attention on yen exchange rate is required as the effects of the yen exchange rate from Japan, a trade rival, are seem to be as significant as that of the dollar exchange rate.

This report’s overall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material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the long-term plans for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 long-term plans can be established with the agendas such as, making Korean won as the key currency through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won, and market development through diversification of participants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nd enhancement of influence of the private sector. These agendas can be carried out through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second, we need to seek for tools that can reduce volatility within the market, and measures that enable economic agents to cope with the volatilities and to hedge risks. This can be viewed in the same context of capability strengthening in private sector for coping with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nd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is particular area in order to bring efficiency of the market functions; third, continuous political efforts are required to manage the current account. As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rue that the current accoun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investment funds within the financial accounts. Thus, until the Korean won gains international compatibility through its internationalization, we need to prepare a foundation to stabilize the foreign exchange market while maintaining current account surplus. Although, we need to take caution as the excessive amount of surplus can rapidly turn into a deficit; fourth, as capital inflows from the financial markets, especially the portfolio funds which aim to gain the short-term profits, can cause a sudden stop, tools that can be activated in an emergency to secure the stability in foreign exchange market are required; lastly, efforts to reduce possible excessive fluctuations in prices resulting from the exchange rates changes are required. Rapid changes in exchange rates directly affect import prices and consumer prices, and consequently put overwhelming amount of pressure on consum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to alleviate such impacts. Although the government does intervene the foreign exchange market for fine tuning to avoid rapid exchange rates changes, it is advisable to set up a new system that can be used by the other economic agents.

If there are various options that can be implemented to relieve the volatility in exchange rates and capital flows, there will be less necessity of market intervention, and more chance of implementing appropriate policy tools that are adequate to the time and the conditions.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대내외 금융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외환제도의 변천 및 외환 수급구조 변화
1. 우리나라 환율 제도 및 정책
가. 환율제도
나. 환율정책
2. 우리나라 외환거래제도의 개혁과 규제의 변화
가. 우리나라 외환거래제도의 개혁
나. 우리나라 외환당국의 자본유출입 규제
3. 선진국의 양적완화정책

제3장 외환 수급경로의 변화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1. 우리나라 외환 수급구조의 변화
가. 국제수지표상 외환의 수급
나. 경상수지와 금융계정
다. 외환 수급구조의 변화
2. 경상수지와 자본ㆍ금융계정의 환율에 대한 인과관계 검정
가. 그레인저 인과관계 검정
나. 교차상관계수를 이용한 관계성 측정
3. 외환 수급방식의 변화가 환율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4. 정책적 시사점

제4장 환율이 금융 및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 일본, 중국을 대상으로
1. 연구의 배경
2. 환율전가효과 등에 대한 기존 연구
3. 실증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외환시장의 제도적 변화와 주요 정책적 시사점
2. 외환 수급경로의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한 대책
3. 환율이 물가 및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4. 종합적 결론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60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국내외 ESG 평가사별 점수 비교: 국내 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기초여건 간 괴리에 대한 연구: 시장심리를 중심으로 2021-12-30 Policy Analysis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Won in the Light of the RMB Internationalization 2022-02-25 Working paper COVID-19 and the Health of Banking Sector in Japan and South Korea: A Comparative Study 2022-07-30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연구보고서 국내 증권시장에서 외국인 자금 이동 결정요인 분석: 금리와 환율을 중심으로 2020-12-30 연구보고서 대외부문 거시건전성 정책 10년의 성과와 개선방안 2020-12-30 연구보고서 환율과 경상수지의 구조적 변화와 정책방향 2020-12-30 연구보고서 내국인 해외증권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2019-12-30 연구자료 외화예금의 역할과 정책적 시사점 2019-08-26 연구보고서 개방경제에서의 금융혁신 파급효과와 블록체인기술 발전의 시사점 2018-12-31 연구보고서 금융불안지수 개발과 금융불안 요인 변화 분석 2018-12-31 연구자료 중국 모바일 결제 플랫폼의 발전과 시사점: 알리바바 사례를 중심으로 2018-12-28 연구보고서 통화정책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축통화 보유 여부를 중심으로 2018-12-28 Working paper Exchange Rates and Firm Exports: The Role of Foreign Ownership and Subsidiaries 2018-08-31 연구보고서 환율변화가 한국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기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2017-11-30 연구자료 자유무역협정(FTA)의 금융서비스 규정 및 협상 동향 연구: 건전성 조치 조항을 중심으로 2017-10-13 Working paper What Explains Current Account Surplus in Korea? 2016-12-16 연구보고서 중국 주도의 신금융질서 태동과 한국의 대응방향 2016-12-30 Working paper The Effect of Exchange Rate Volatility on Productivity of Korean Manufacturing Plants: Market Average Rate Regime vs Free Floating 2016-10-1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