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중국·대만·홍콩의 경제통합과 정책적 시사점 경제관계

저자 양평섭, 이승신, 문익준, 여지나, 노수연, 정지현 발간번호 12-1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2.12.31

원문보기(다운로드:7,699)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중국이 급부상하면서 우리의 가장 중요한 교역 및 투자 파트너가 된 동시에, 중국을 중심으로 중국-홍콩-대만을 잇는 중화경제권 형성이 가속화되고 있다. 홍콩은 1997년 중국 반환 이후 15년이 경과하면서 중국과의 성공적인 통합의 단계를 밟아나가고 있다. 특히 2003년에 중국과 홍콩 간 경제긴밀화협정(CEPA: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을 체결한 이후 9차에 걸친 보충협정 체결을 통해 경제협력의 범위를 확대시켜 왔다. 한편 2010년 6월 체결되어 같은 해 9월 발효된 중-대만 간 경제협력기본협정(ECFA: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중국과 대만 간 경제협력 강화는 주변국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먼저 중화권 경제통합의 역사적 맥락과 발전 현황, 쟁점 이슈를 고찰한 후, 중화권의 경제통합을 중국-홍콩 간, 중국-대만 간의 무역과 투자 분야 협력 강화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제도적인 통합의 수단으로서 CEPA와 ECFA의 주요 내용을 중국의 기존 FTA와 비교 분석하도록 한다. 또한 CEPA와 ECFA와 같은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기 이전부터 지리적인 인접성을 기반으로 자연발생적으로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던 홍콩-광둥성(廣東省), 대만-푸젠성(福建省)을 연결하는 중국 내 두 지역을 선정하여 각 지역이 홍콩, 대만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실행하고 있는 프로그램, 협력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보고서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대만 ECFA의 발효가 한국의 대중수출에 미칠 중․장기적인 영향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중-대만 ECFA의 EHP 발효가 한-중 무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기적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 중-대만 간 ECFA 본 협정이 체결될 경우 중국 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우리 제품의 대중국 수출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내수형의 고보호(고관세) 산업에서 대만의 경쟁력이 제고되어 갈 것이고, 중국이 고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수출형 산업인 경우 가공무역 비중이 높아 단기적 영향은 비교적 작지만, 점차 한국산 제품이 경쟁력을 상실함으로써 시장을 잠식당할 가능성이 있다. 관세는 높지 않으나 내수형 산업으로 분류되는 경우에도 대만 제품에 의한 다소간의 시장잠식이 불가피하다. 저관세의 수출형 업종인 통신설비 및 기기, 전자부품, 컴퓨터 관련 업종의 경우 중국 시장에서 대만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분야들도 ECFA에 따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중국이 내수 중심의 발전전략을 추구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 대만산 제품에 의한 시장잠식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한편 전반적인 대중화권에 대한 경제협력 정책의 방향에 있어서, 중국 편향의 통상전략에서 벗어나 홍콩과 대만의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한 균형적인 대중화권 통상전략을 마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중국 대륙지역과의 협력은 보다 세분화하고 구체화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중화권 경제협력의 강화와 더불어 중국 대륙의 성장 핵도 다극화되어 갈 것이기 때문에, 중국 연해지역에 편중된 협력에서 벗어나 중국 지역의 다핵 체제에 맞추어 중국 대륙에 대한 지역협력 전략을 조정해 가야 한다.


한-중 FTA 추진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먼저 한-중 FTA에 CEPA의 보충협상 방식 도입 검토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단번에 모든 내용을 일괄 타결하는 방식보다는, 양측이 수용하기 쉬운 부분을 먼저 개방한 후 정기적인 보충협정을 체결하는 방식을 도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품분야 개방의 경우 한국과 대만은 일본과 더불어 중국에 중간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중국의 중간재 수입 시장에서 한국과 대만의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한-중 FTA를 통해 ECFA에 의한 시장잠식을 방어하고 한-중 FTA 효과를 조기에 거두기 위해서는 중간재 분야에서 조기 관세인하를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 협상에 있어서는 중국의 기체결 FTA에서 DDA나 DDA 플러스 개방을 기재하고, CEPA에서도 보충협정을 통해 추가적인 개방을 여러 번 한 경우는 비교적 중국이 개방할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 부문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에 개방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중-홍콩 CEPA에서 채용한 선행시험 조치(先行先试, pilot basis)를 한-중 간에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홍콩과 인접한 광둥성 지역에 우선적인 개방조치를 시험한 후, 성공적으로 평가되면 이후 보충협정에서 지역을 확대해 갈 수 있다. 중국의 푸젠성 정부 역시 ECFA 체결을 계기로 더욱 긴밀해질 대만과의 관계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한-중 FTA의 협상에 있어서도 한국과 교류가 활발한 일부 지역에서 특정 분야을 중심으로 이러한 선행시험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쟁국으로부터 대만 시장의 보호와 대중화권 통상전략의 다변화라는 측면에서 한-대만 FTA 추진 가능성에 대한 민간 차원의 공동 연구를 추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하나의 중국’ 원칙에 입각하여 대만과의 FTA 추진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 진출에 있어 CEPA를 활용한 홍콩 서비스 기업과의 협력과 ECFA를 활용한 대만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



 

As China has rapidly risen, it became the most important trade and investment partner, and the formation of Greater China bridging China-Hong Kong-Taiwan as China is its center. 15 years have witnessed its successful reunification with China since Hong Kong returned to China in 1997. Especially, China-Hong Kong 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CEPA) concluded in 2003 played a role as the key to expanding the economic cooperation through 9 times supplementary agreements to CEPA. On the other hand, China-Taiwan Economic Cooperation Framework Agreement(ECFA) which was concluded in June, 2010 and came into effect in September, 2010 is expected to strengthen the econom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to enormously affect the neighbor countries in the region. Therefore, this report firstl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development and the main issues of economic integration among greater China. Then, the economic integration will be scrutinized in terms of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China-Hong Kong, and China-Taiwan.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will be analyzed by comparing the commitments in CEPA and ECFA with those in the other Chinese FTAs concluded with other countries. Also, Guangdong and Fujian as the two main regions in China to cooperate with Hong Kong and Taiwan respectively will be the case study to present the economic cooperative programs and cases that may provide th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us.
Main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essential to analyze and to set up with a plan to deal with the mid and long term impacts of ECFA on Korea’s export to China.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short term impacts of ECFA EHP(Early Harvest Program) coming into effect, the detrimental effect on Korea’s export to China turned out to be limited. In the medium and long term, however, the full-scale ECFA agreement in trade of goods will do considerable harm to the export of Korean products that are competing with Taiwanese goods in Chinese market. The competitive edge  will be given to Taiwanese products, especially in the highly protective (with high tariff rates) industries for the domestic demand. As for the highly protective industries for the external demand,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processing trade is relatively high so that the short term effect may be insignificant while the Korean market share in China will be encroached owing to the price disadvantage in the long term. In the industries for the domestic demand with relatively low tariff rates, probably the Taiwanese products will erode the Korean market share in China to a certain degree. The industries for the external demand with low tariff rates such as telecommucation equipment and machine, electronic parts, and computer related products will be comparatively safe from the damage caused by ECFA. Still, these products see the keen competition with the Taiwanese in Chinese market, and China has the strategy to change its economic growth engine from export to domestic consumption where the possibility cannot be completely excluded that the Korean market share in China will be pinched by Taiwanese products in the long term.
Second, the general policy of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Greater China should be redirected; the biased trade policy only toward mainland China into a balanced trade policy for the whole Greater China considering the strategic importance of Hong Kong and Taiwan. Otherwise,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mainland China should become more refined and sub-divided. As the reinforcement of economic cooperation among Greater China grows, the focal points of growth will be multipolarized. Therefore,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mainland China should be changed from the one that too much importance has been given only to the coastal areas into the one that diverse interests are reflected according to the multipolarized system of Chines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ird,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China FTA are as follows;
i) Korea and China will also be able to broaden the liberalization through regular negotiations in the KCFTA framework as the China-Hong Kong CEPA. ii) As for opening trade in goods, we should aggressively negotiate the early tariff reduction for the intermediary goods that are severely competing with Taiwanese goods in Chinese market because Korea and Taiwan along with Japan are playing a role in providing the intermediary goods in China. This approach is positively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the market share erode by ECFA and to reap the fruit of Korea-China FTA in early stages. iii) For the service negotiations, we may request China's further liberalization in the sectors where China is more likely to open because in the FTAs with other countries China has already made commitments in GATS plus or DDA plus level, and also made additional commitments in CEPA. iv) the pilot basis liberalization measures included in CEPA also can be adopted in Korea-China FTA. That is to say, in the CEPA agreement, the trial liberalization measures were tested first in Guangdong province in the vicinity of Hong Kong and have been expanded in other provinces after they prove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tested region. Also, the interactions and cooperation with Fujian province adjacent to Taiwan have been strengthened after ECFA. Therefore, further liberalization and cooperation on the pilot basis, in the framework of Korea-China FTA, can be made first in the regions where the trade and investment are vigorously m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v) The joint feasibility study of Korea-Taiwan FTA may be initiated on non-governmental basis in terms of protecting the Korean market share in Taiwan from other countries and diversifying the trade strategy toward Greater China. The mainland China’s opinion on Korea-Taiwan FTA negotiation should never be given too much consideration based on the “One China” principle. vi) It seems desirable to have more active cooperation with Hong Kong service enterprises and Taiwan manufacturing firms by utilizing CEPA and ECFA in order to effectively advance into Chinese market.

서언  


국문요약  


약어 표기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범위와 구성 
3.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중화권의 경제통합 발전과정 
1. 중화권 경제통합 논의: 지역적 범위와 주요 쟁점 
2. 중-홍콩의 경제통합 과정 
가. 홍콩과 중국의 단절기: 1949~78년 
나. 중국의 개방과 경제통합의 시작기: 1979~96년 
다. 홍콩 반환과 경제통합의 제한적 발전기: 1997~2003년 
라. 제도적 경제통합의 성숙기: 2004년~현재 
3. 중-대만의 경제통합 과정 
가. 실질적 경제교류 부재기: 1978~86년 
나. 경제교류 확대기: 1987~2000년 
다. 경제교류 안정기: 2001~07년 
라. 제도적 경제통합의 시도기: 2008년~현재 


제3장 중화권의 경제교류와 제도적 통합 현황 
1. 중화권 경제교류 현황 
가. 중-홍콩 경제교류 현황 
나. 중-대만 경제교류 현황 
다. 중-홍콩-대만 역내 경제교류 현황 
2. 중화권의 제도적 경제통합 현황 
가. 중-홍콩 CEPA 체결 경과와 주요 내용 
나. 중-대만 ECFA 체결 경과와 주요 내용 
다. 중국의 기체결 FTA와 CEPA, ECFA의 비교 평가 
3. 중화권의 제도적 경제통합 성과 평가 
가. CEPA와 ECFA의 경제적 효과 
나. 중-홍콩: 금융협력을 통한 역외 금융센터의 발전 
다. 중-대만: 산업협력 강화 프로그램 시행 


제4장 중화권 거점지역별 협력 사례 
1. 홍콩과 광둥성의 경제통합 추진과 CEPA 활용 사례 
가. 경제통합 추진 과정 및 특징 
나. ‘광둥·홍콩 협력 기본협의’의 주요 내용과 추진 현황 
다. CEPA의 광둥성 및 홍콩 경제에 대한 영향 
라. 주요 분야별 CEPA 효과 및 활용 사례 
2. 대만-푸젠성의 ECFA 활용 현황과 사례 
가. ECFA 발효 이후 투자․무역 현황 
나. 시범 협력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과 추진 현황 
다. 농업분야 협력 플랫폼 
라. 푸젠성 진출 대만 기업의 ECFA 대응 사례 


제5장 중화권 경제통합의 영향과 시사점 
1. 중화권 경제통합의 영향 
가. 한국의 대중화권 무역 현황과 특징 
나. 대중화권 투자 현황 
다. 중화권 경제통합이 한-중 무역에 미칠 영향 
2. 중화경제권 경제통합의 정책적 시사점 
가. 중국 편향적 대중화권 협력의 보완 필요 
나. 한-중 FTA 추진에 대한 시사점 
다. 대중화권 투자 협력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62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중국종합연구 2023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3-12-29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연구보고서 중국 탄소가격정책이 한중 경제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대외관계 10년: 평가와 전망 2022-12-30 연구보고서 미·중·러 전략경쟁 시기 러시아의 대중국 관계 발전과 정책 시사점 2022-12-30 중국종합연구 2022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2-12-30 연구보고서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2021-12-30 중국종합연구 2021년 중국종합연구 총서 정책연구과제 요약집 2021-12-30 연구보고서 한국-베트남 경제·사회 협력 30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방안 연구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및 진출전략 연구: 슝안신구 및 톈진에코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2021-12-30 중국종합연구 신기술 확산이 고용관계에 미친 영향에 관한 한중 비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미 국가의 기후변화 적응 주요과제와 협력방안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중남미와 아프리카에서 중국의 경제협력: 특성 및 파급효과 비교 2021-12-30 연구자료 미국의 스위스 환율조작국 지정 원인 분석 및 평가 2021-11-12 세계지역전략연구 아세안 지역 한류콘텐츠 활성화 방안 2021-06-23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아프리카 ICT 국제개발 협력수요 및 한국의 협력방안 2021-06-21 세계지역전략연구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중남미 협력 방안: 의료 및 방역 부문을 중심으로 2021-06-21 연구보고서 중국의 통상환경 변화와 국가별 상품 간 수출 대체가능성 연구 2021-05-28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정체성으로 본 푸틴의 러시아: 한,러 교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2021-04-28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