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인도진출 한국기업 경영실태 및 성과분석 해외직접투자

저자 조충제, 최윤정, 송영철, 손승호 발간번호 11-2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5,297)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본 연구는 인도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경영실태와 성과를 분석하여 우리 정부의 대인도 진출지원 과제와 대응정책을 살펴보기 위해 추진되었다. 경영실태는 2011년 12월 초 기준 인도 진출 우리 기업들을 제조업, 비제조업, 개인서비스업으로 구분하고, 이들로부터 각각 109개, 76개, 33개의 설문조사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531개로 추정되는 인도 진출 우리 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약 27%에 해당되는 144개 기업이 폐업 또는 영업중단, 확인불가능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설문조사 응답률은 조사 가능 기업 대비 58.4%이고, 조사 거부 기업을 제외한 경우 66.9%로 지금까지 인도 진출 우리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중에서는 가장 높은 회수율을 달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제조업 부문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대인도 진출동기 1순위는 현지 내수시장 진출이었다. 현지 입지선정의 이유는 기진출 동종업체 또는 대기업과의 연계진출이 가능하고, 해당 지역시장이 크고 유망하기 때문이었다. 기업 매출액의 대부분이 내수에서 발생하였고,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도 현지 조달이 대부분이었다. 비정규직을 20% 이상 고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정규직 종업원의 연평균 이직률이 10~30%로 높았다. 현지 인건비는 중국보다 낮고, 인도네시아와는 비슷하며, 베트남 법인보다는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기업들은 매출액 기준 최근 3년간 성장성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향후 3년간 성장성에 대해서도 높은 기대를 갖고 있었다.
인도 투자진출 후 한국 본사의 매출액은 대부분 증가하였고, 본사의 종업원 수도 증가한 기업이 많았다. 진출기업들의 향후 3년간 사업운영 방향은 투자확대가 가장 많았고, 향후 주요 경영전략으로는 매출증가, 마케팅 강화, 생산관리 강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제조업 분야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투자진출 동기 1순위는 제조업과 마찬가지로 현지 내수시장 진출이었고, 우리 기업의 인도 진출 확대도 중요한 요인이었다. 비제조업의 입지 및 내수판매 정도, 최근 및 향후 성장성 등은 제조업 부문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종업원 중에서 비정규직의 비율은 제조업보다 다소 낮은 반면, 정규직의 이직률은 제조업보다 높았다. 임금수준도 중국보다는 낮았지만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서비스업 부문의 경우 진출동기 1순위는 한국기업의 인도 진출 증가에 따른 사업기회 확대였다. 특히 현지 입지선정 요인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한국 진출기업 수였다. 향후 이전하거나 사업장을 확장할 경우 방갈로르와 델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는데, 그 이유는 역시 지역 시장이 크고 인근에 한국 업체가 많이 진출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이직률이 인사관리에서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이지만 이직률 자체는 제조업이나 비제조업에 비해 오히려 낮았다. 개인서비스업 분야의 우리 기업들은 향후 성장성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는데, 사업운영 방향은 현상유지가 많았다.
한편 인도 진출 우리 기업들은 최근 3년간 인도의 투자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었다고 평가하였다. 향후 3년간 투자환경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하였다. 반면 최근 3년간 가장 악화된 부문으로 노무관리, 세무, 행정서비스, 입지 여건 등을 지적하였으며, 향후 악화될 부문도 세무, 노무관리, 인도정부의 정책, 행정서비스 등으로 지적되었다.
우리 기업들은 한국정부에 대하여 제조기업은 금융지원, 장기 비자, 한국전용공단, 현지투자지원센터, 교육과정 운영 순으로 지원해 줄 것을 희망하였으며, 개인서비스업을 포함한 비제조 기업은 금융지원, 장기 비자, 직항운행 확대, 현지투자자지원센터 등의 순으로 지원을 요청하였다. 한편 우리 기업들은 인도정부에 대해 비자 편의, 부패 타파, 인프라 구축, 직항 확대, 한국전용공단 등의 순으로 해결해 주기를 요청하였다.
이상과 같은 설문조사 결과와 한국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시스템을 활용한 경영성과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인도 진출 우리 기업들을 위한 단기 및 중장기 지원정책을 제시하였다. 먼저, 단기적으로는 인도의 노무, 세제와 같은 법률 관련 정보를 비롯한 구체적인 투자정보를 구축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진출기업 DB의 체계적인 구축과 관리도 시급하다. 이를 위해 정부는 상기 과제를 포괄하여 담당할 주인도상공회의소 설립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우리 정부는 또한 비자 및 항공 협정에 적극적으로 나서 장기 비자 및 직항편을 더욱 많이 확보해야 한다.
중장기적으로는 한․인도 간 공동위원회(joint committee)와 같은 기존에 마련된 협의 채널을 적극 활용하여 한․인도 CEPA 양허수준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한․인도 CEPA 협정문에 명시된 인도 진출 우리 측 은행지점에 대한 ‘우호적 고려(favorable consideration)’ 조항을 적극 활용하여 민간은행의 대인도 진출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도에서 우리 기업들 모두가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사항인 열악한 인프라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기업전용공단 추진을 고려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llenges concerning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for businesses entering the Indian market and policy responses, through an analysis of current business operations and accomplishments of Korean businesses in India. As of Dec. 2012, Korean companies doing business in India are estimated to be around 531 in total. All of them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manufacturing, non-manufacturing and personal services) and surveyed via e-mail, phone and on-site visit. Among them, 109, 76, 33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each category, respectively. The survey revealed that 144 businesses(27%) had either gone out of business or unable to be found. 58.4% out of all existing businesses responded to our surveys, with the figure going up to 66.9% not counting businesses that refused to reply. These figures represent the highest response rate among all surveys involving Korean businesses in India up to this point.
The result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entering and gaining access to India’s domestic market constituted the biggest motivation for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in India.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reasons for why they chose the current location for business include the possibility of linking up with existing companies and the size and potential of local markets. Most of the revenues for Korean manufacturing firms came from sales in the domestic market; the same companies also acquired most of the raw and intermediate materials for production from the local market. In most companies, irregular workers comprised over 20% of their workforce, with the annual turnover rate among regular employees between 10-30%. Wages were lower than those in China, but comparable to Indonesia and slightly higher than in Vietnam. For the most part, companies were satisfied with their growth over the last three years, and were very positive concerning prospects for growth in the next three years.
Sales have increased for the greater majority of companies that invested in India. Also, the direction of operation for most businesses was geared toward increasing investment for the next three years. As for future strategies, the most frequently stated was ‘increase in sales,’ followed by ‘more robust marketing’ and ‘stronger management of production,’ in that order.
Entry into India’s domestic market was also the prime motivating factor in investments by Korean nonmanufacturing firms, in addition to expanding their presence in the subcontinent. Nonmanufacturing and manufacturing firms were not dissimilar in terms of their business location as well as domestic sales, in addition to recent growth and prospects for future growth. Though nonmanufacturing firms relied slightly less on irregular workers as a proportion of their workforce, the turnover rate among regular employees were higher than manufacturing firms. Indian workers in Korean nonmanufacturing firms were paid less than their counterparts in China, but far more than workers in Vietnam and Indonesia.
Among Korean personal services businesses, the number one pull-factor in deciding to come to India was business opportunities offered by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Korean companies entering the Indian market. Most personal service businesses preferred cities such as Bangalore and Delhi, in terms of destinations for future movement or expansion, as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n those cities have swelled recently. Though the job turnover rate also posed worker management problems for businesses in the sector, it was actually lower compared to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sectors. Despite many businesses expressing positive outlooks on future growth, business operations were geared toward maintaining the status quo.
Korean firms in India generally agreed that the investment environment in India had improved overall over the last three years, not to mention having an optimistic outlook on the investment environment for the next three years. However, labor management, taxes, administrative services, and business location were cited as areas that worsened the most over the previous three years. As for areas likely to deteriorate in the next three years, the companies’ answers included taxes, labor management, government policy, and administrative services.
Forms of assistance from the Korean government most requested by Korean manufacturing firms in India included the following, in order: financial aid, long-term visa issuance, expansion of direct air routes, industrial complexes for Korean firms, an investment assistance center in India, training courses. The answers from nonmanufacturing/personal service businesses were as follows, in order: financial aid, long-term visa issuance, expansion of direct air routes, and an investment assistance center in India. On the other hand, Korean firms requested the following forms of assistance from the Indian government: facilitation of visa issuance, eliminating corruption, expansion of infrastructure, more direct flights, and industrial complexes for Korean firms.
Based on the survey, the following mid-term and long-term policy recommendations may be put forward for supporting Korean firms in India. First, the policies should focus on small and medium-size companies, and be divided into middle and long-term in terms of time. For the immediate future, more has to be done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investment and cultural information on India. In addition, a database of Korean companies in India should be established, with firm and consistent oversight. For these ends, official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Chamber of Commerce in India will be necessary. Another task for the Korean government would be to initiate negotiations with India on visa and aviation agreements, in order to secure a greater number of direct-flights and long-term visas.
For the middle-to-long-term time frame, a greater effort to upgrade the concessions in the Korea-India CEPA through the bilateral joint committee must be made. A case in point, a more active use of the ‘favorable consideration’ article in the CEPA regarding Korean bank branches should be made, to accelerate the entry of private banks into India. Last but not least, the lack of infrastructure being the most pressing problem and biggest obstacle facing Korean firms in India, the creation of an industrial complex for Korean businesses should be given active consideration.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주요 내용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진출동향 및 조사대상 기업 
1. 대인도 FDI 추이 및 특징 
2. 우리 기업의 대인도 진출 동향 
3. 조상대상 및 피설문 기업 


제3장 제조업 경영실태 
1. 진출기업 개요 
가. 모기업 규모 및 소재지 
나. 투자 시기, 규모 및 형태 
다. 진출업종 및 매출고용 규모 
라. 분업관계 및 경영형태 
2. 진출동기 및 입지 
가. 투자진출 동기 
나. 대기업 연계진출 및 거래처 수 
다. 입지 및 이전 
3. 매출입 구조, 금융조달 및 과실송금 
가. 매출구조 및 영업, 마케팅 
나. 매입구조 및 원부자재 조달 
다. 금융조달 및 과실송금 
4. 고용, 노사 및 임금 
가. 고용 및 노사관리 
나. 임금관리 
5. 기술이전 및 경쟁력 비교 
가. 기술이전 
나. 기술경쟁력 비교 
다. 경쟁우위 정도 
6. 경영실적 및 전망 
가. 성장성 및 수익성 평가 
나. 현지/한국 본사와의 분업관계 
다. 현지 투자진출 후 한국 본사의 변화 
라. 의사결정 권한 및 사업운영 방향 
7. 평가 및 소결 


제4장 비제조업 경영실태 
1. 비제조업 일반 
가. 진출기업 개요 
나. 투자진출 동기와 입지 
다. 매출구조, 금융조달 및 과실송금 
라. 고용 및 노사, 임금 
마. 기술이전 및 경쟁력 비교 
바. 경영 실적 및 전망 
2. 개인서비스업 
가. 진출기업 개요 
나. 투자진출 동기와 입지 
다. 고용 및 노사, 임금 관리 
라. 경영실적 및 전망 
3. 평가 및 소결 
가. 비제조업 
나. 개인서비스업 


제5장 해외투자통계를 활용한 경영성과 분석 
1. 분석대상 및 방법 
가. 개요 
나. 분석대상 
2. 경영성과 분석 
가. 매출입 현황 
나. 성장성 
다. 수익성 
라. 재무구조 
마. 교역 효과 
바. 고용효과 
3. 평가 및 소결 


제6장 투자환경 평가 및 지원정책 
1. 투자환경 평가 및 전망 
가. 대인도 투자환경 
나. 한ㆍ인도 CEPA 
2. 경영 애로요인 및 대정부 지원요청 분야 
가. 경영 애로요인 
나. 대정부 지원요청 분야 
3. 대인도 진출지원 과제 및 정책 
가. 대인도 진출실태 비교 평가 
나. 대인도 진출지원 과제 
다. 대인도 진출지원 정책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대러시아 제재가 중동부유럽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디지털세가 다국적기업의 해외 투자에 미치는 영향 2021-12-30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연구보고서 미ㆍ중 갈등시대 일본의 통상 대응 전략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동아프리카 스타트업 시장분석 및 한국기업의 진출방안 2021-06-21 전략지역심층연구 중국의 대유럽 투자와 유럽의 정책대응 2020-12-30 연구보고서 한국의 FTA 15년 성과와 정책 시사점 2019-12-30 Working paper How Does Protectionist Trade Policy Interact with FDI? 2019-12-30 전략지역심층연구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경제, 제도, 비즈니스 환경을 중심으로 2019-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한국의 아세안투자 특성과 시사점: 해외 자회사 활동과 모기업 자료를 연계한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중동 주요국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한·중동 협력 확대방안 2018-12-28 연구보고서 리쇼어링의 결정요인과 정책 효과성 연구 2018-12-28 연구보고서 한국 중소기업의 동남아 주요국 투자실태에 대한 평가와 정책 시사점 2017-11-21 연구보고서 대ASEAN FDI 결정요인의 특징과정책적 시사점 2017-06-30 전략지역심층연구 한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인도시장 진출방안 연구 2016-12-30 Working paper To Whom does Outward FDI Give Jobs? 2016-09-30 연구자료 신흥국 건설시장 진출 관련 국가리스크와 대응방안 2016-09-23 연구자료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대북투자 추정 2016-09-25 연구자료 주요국의 대(對)베트남 진출전략과 시사점 2016-09-13 연구보고서 중국 환경시장 분야별 특징 및 지역별 협력방안 2015-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