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분석과 시사점 경제발전, 산업정책

저자 김규판, 이형근, 김은지 발간번호 11-18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6,774)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이 보고서는 1990년대 이후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한편, 과연 일본 제조업의 ‘위기’에 대한 일본정부의 정책적 대응에는 문제가 없었는지, 이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무엇인지 고찰하고 있다. 일본경제의 국제적 위상이 격하되고 있고, 심지어 일본경제의 마지막 보루라는 제조업마저 위기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를 좀더 장기적인 시각에서 진단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작업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제2장은 1990년대 이후 일본 제조업의 국제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준 국제 환경요인으로서, 아시아 신흥시장의 부상과 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 지속적 엔고현상, 그리고 세계 제조업의 표준화, 디지털화, 수평분업화를 꼽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일본 제조업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도 살펴보고 있다.
제3장은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를 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는데, 총요소생산성(TFP)과 같은 생산성 개념과 무역특화지수, 그리고 제조업의 부가가치율과 같은 수익성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다. 분석 결과, TFP 지표로 파악한 일본 제조업의 생산성은 저하경향이 뚜렷하고, 무역특화지수상으로는 운송기계, 철강, 자동차 부품과 전자부품(집적회로) 같은 부품ㆍ소재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전기전자, 일반기계, 금속, 섬유 분야는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본 제조업의 부가가치율은 전반적으로 하락추세가 완연한데, 특히 환율이 하락하는 국면에서도 부가가치율이 하락하는 현상은 일본기업들의 제품 경쟁력이 하락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제4장은 최근 일본 경영학계의 제조업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모노즈쿠리’ 관점에서 1990년 이후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를 분석하고 있다. 여기서는 1990년대 들어 전자업종을 중심으로 진행된 ‘제품 아키텍처(architecture)’의 모듈화가 경쟁력 저하의 근본 원인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한편 그간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원천으로 지적되었던 부품공급망(supply chain)과 부품ㆍ소재 산업의 경쟁력 원천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는데, 특히 서플라이 체인 시스템은 일본기업 고유의 ‘조직력’과 맞물려 그간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을 뒷받침해 왔으나, 20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을 계기로 시스템 자체의 취약성이 노출되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일본정부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분석ㆍ평가하고 있다. 일본정부가 제조업 경쟁력 약화를 인식한 2000년 이후 최근까지 도입한 주요 전략과 정책을 시기별로, 그리고 횡단면적으로 고찰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의 기반이 되는 연구개발과 관련된 지원제도, 기술연구조합, 산관학 연계 강화 등 구체적 시책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 분석 결과, 일본정부가 매년 실시하는 제조업 지원 사업은 연구개발, 고용안정, 산업집적(친환경산업 및 중소기업) 분야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보조금 지원과 세제우대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예산제약 문제가 현저하고 연구개발 성과가 기업의 수익창출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기술연구조합제도는 기업간 공동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된 것인데, 그간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기술유출을 꺼려한 나머지 실제 참여 실적이 저조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산관학 연계 강화책은 기업, 대학, 정부산하기관이 대거 참여하는 네트워크를 창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나, 연구개발 기간의 단기화라든지 중복연구와 같은 문제점으로 아직 획기적인 기술혁신(innovation) 성과는 거두고 있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제6장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의 일부 전자제품 업체도 1990년대 이후 모듈화가 급진전되면서 경쟁력 약화 현상을 겪었음을 감안하면, 산업구조의 고도화가 매우 중요한데, 특히 고부가가치 산업이라 할 수 있는 부품ㆍ소재 산업의 육성과 신성장 분야 개척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물론 우리 정부가 부품ㆍ소재 산업 육성과 신성장 분야 개척을 목적으로 각종 시책을 실시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일본기업과의 협력방안을 더욱 구체화하는 등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이 약화됨과 동시에 우리 기업의 위상이 향상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한ㆍ일 기업간 경제협력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일본 제조업 중에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고 있는 자동차나 철강, 일부 반도체를 포함한 부품ㆍ소재 분야에서 중국을 위시한 아시아 신흥국에 공동 진출을 모색하는 방안은 하나의 대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2011년 3월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기업의 국내외 서플라이체인 재편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일본의 부품ㆍ소재 산업을 직접 유치하는 노력을 더욱 경주할 필요도 있다.
셋째, 2000년 이후 일본정부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은 이노베이션을 통한 제조업의 산업기반 강화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역시 제조업의 산업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비전과 구체적인 로드맵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산업기반 강화는 부품ㆍ소재 분야 중소기업의 적극적 육성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이는 최종제품을 생산하는 대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켜 결국 국가 전체의 경쟁력 강화로 귀결될 것이다.
넷째, 연구개발(R&D)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GDP 대비 R&D 투자액 비중은 세계 3위(2010년)이지만, 아직까지 부품ㆍ소재 및 기초ㆍ원천기술이 취약하고 중소기업의 R&D 경쟁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R&D 투자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미래성장동력 분야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혁신형 중소ㆍ벤처기업도 집중 육성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일본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R&D 지원 시책을 참고하고, 동시에 과거 일본의 다수 연구조합 또는 대형 연구프로젝트가 왜 실패로 끝났는지에 대해서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관학 연계 강화 정책과 관련해서는, 우리나라도 기술의 융합ㆍ복합화, 기술개발의 대형화 등의 추세에 대응하고자 2003년도부터 대학의 TLO 설치를 시작으로 산관학 연계를 강화하고 있지만, 법ㆍ제도상의 인프라 확충기간이 짧은데다 지속적인 예산투입이 확보되지 못한 결과, 아직까지 기술이전ㆍ사업화 성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일본정부가 구축한 산관학 연계 네트워크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기초연구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지원체계 확립, 산업클러스터 육성과 같은 시책을 통해 기술혁신에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다.


 


 

This policy paper aims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Japanese manufacturing sector since the 1990s, focusing on the crisis of Japanese electronic sector, which is often called as the Galápagos Syndrome. Based on the analysis, we derive variou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anufacturers and the government from the Japanese experiences.
Chapter two reviews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competitiveness of Japanese manufacturing sector, for example, the rising of Asian emerging markets, the appreciation of Yen since Plaza accord of 1985, and the digit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Chapter three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Japanese manufacturing sector since the 1990s using indexes such as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Intra-Industry Trade Index (IIT), and Value Added Rate. According to the TFP measurement, It is clear that  the productivity of Japanese manufacturing sector has fallen apparently from 1995. And, according to IIT measurement, the export competitiveness has  weakened in electronics, general machinery, metal and textile industry. In particular, the Japanese manufacturing sector has lost its competitiveness by the ratio of value-added to sales amount which has fallen even during the depreciation of Yen in the 2000s.
Chapter four examines the crisis of Japanese manufacturing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 management (in Japanese, Monozukuri). We are emphasizing that modularization of manufacturing architecture has deprived Japanese electronic manufacturing firms of comparative advantages based on integral manufacturing technology. Moreover, the earthquake in the northeastern Japan in March 2011 has revealed the fragility of Japanese manufacturer’s supply chain,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strong points.
Chapter five discusses the strategies and the polic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strengthen the manufacturing sector. We are focusing on how the Japanese government supported the R&D sector with R&D Partnership and foster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he industry and the academia. The Japanese government has tried to increase R&D expenditure, stabilize employment, and assist growth of ecological enterprises and small businesses.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es have been ineffective in that its R&D expenditure has not contributed much to the profit growth of the enterprises, nor has the R&D Partnership induced active participation from many firms, not to speak of the unachieved innovation outcomes from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he industry, and the academia.
Chapter six discusses the lesson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we could obtain from the Japanese experiences to strengthe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so that the Korean manufacturing firms would not repeat the Japanese electronic manufacturer’s experienc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growth of the higher value-added industry such as parts and materials manufacturing sectors. Moreover,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manufacturing firms to be more active in business cooperation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especially when expanding to the new emerging Asian markets.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further actively engage in the R&D investment of the small businesses in basic science technology. In this respect, the Japanese R&D partnership an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he industry, and the academia could be a good example for the Korean government.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구성 
3. 선행연구 검토 및 본 연구의 특징 


제2장 일본 제조업을 둘러싼 국제환경의 변화 
1. 머리말 
2. 일본경제의 국제지위 저하 및 아시아 신흥시장의 부상 
3. 플라자 합의 이후 엔고 및 경상수지 흑자 지속 
4. 제조업의 표준화ㆍ디지털화ㆍ수평분업화 
  가. 표준화 
  나. 디지털화 
  다. 국제 수평분업화 
5. 소결 


제3장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분석(1): 거시 및 산업 관점 
1. 머리말 
2. 일본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TFP) 저하 
  가. 노동생산성과 총요소생산성(TFP) 
  나. TFP 추정결과(1): 거시경제의 TFP 추이 
  다. TFP 추정결과(2): 제조업의 TFP 추이 
3. 일본 제조업의 수출경쟁력: 무역특화지수(IIT)의 시계열 추이 
  가. 일본의 제조업종별 수출구조 특성 
  나. 산업별 무역특화지수 비교 
  다. 일본 부품산업의 무역특화지수 추이 
4. 일본 제조업의 수익률 추이 분석 
  가. 일본 제조업의 부가가치율 추이 
  나. 환율과 부가가치율 간의 관계 
5. 일본 제조업의 글로벌화와 국내 고용 및 생산 
  가. 일본 제조업의 글로벌화: 해외현지법인의 설립 증가 
  나. 일본 제조업의 해외생산비율 추이 
  다. 일본 제조업의 해외진출과 산업공동화 
6. 소결 


제4장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실태분석(2): 경영(모노즈쿠리) 관점 
1. 머리말 
2. 제품 아키텍처의 모듈화와 일본 전자산업의 경쟁력 저하 
  가. 갈라파고스화 현상 
  나. 제품 아키텍처의 모듈화와 일본기업의 사업모델 
3. 일본 제조업의 서플라이 체인과 경쟁력 
  가.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원천으로서 서플라이 체인 시스템 
  나. 동일본대지진과 일본 제조업의 서플라이 체인 
4. 일본 부품ㆍ소재 산업의 경쟁력 
  가. 부품ㆍ소재 산업의 국제경쟁력 현황 
  나. 부품ㆍ소재 산업의 경쟁력 원천 
5. 소결 


제5장 일본정부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 전략 
1. 머리말 
2. 일본정부의 제조업 강화 전략 
  가. 2000년 이후 일본정부의 주요 전략과 정책 
  나. 연도별 정책지원 현황 
3. 일본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제도 
  가. 연구개발 지원제도 
  나. 기술연구조합제도 
4. 산관학 연계 강화 전략 
  가. 추진 배경 및 현황 
  나. 추진체계 
  다. 현황 및 성과(1): 연구개발 분야 
  라. 현황 및 성과(2): 클러스터 분야 
5. 소결 


제6장 결론 
1. 요약 
2. 시사점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238
판매가격 10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단행본 만화로 보는 세계경제 2023 2023-12-23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국제사회의 ESG 대응과 한국의 과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연구자료 시진핑 3기의 경제체제 개혁 과제와 시사점 : ‘사회주의 시장경제 체제’구축을 중심으로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연구자료 Global Supply Chains in a Post-Covid Multipolar World: Korea’s Options 2022-10-28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외 주요국의 경제체제 중요 요소 변화: 기후위기, 디지털플랫폼, 인적자원 및 국가채무를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안정성과 포용성 제고를 위한 국내외 정책 분석: 출산ㆍ보육, 부동산, 금융 및 보건위기를 중심으로 2021-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