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보고서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와 생산성 분석 경제개방, 생산성, 외국인직접투자

저자 김태윤, 이재호, 정재완, 백유진, 강대창 발간번호 11-2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1.12.30

원문보기(다운로드:7,466)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인도네시아에 대한 한국의 투자는 1980년대에 이미 시작되었으며, 베트남에 대한 투자는 수교가 재개된 1992년부터 이루어졌다. 1990년대에는 인도네시아에 대한 투자규모가 베트남보다 훨씬 컸으며, 2000년대 들어서야 섬유, 봉제 및 소재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의 베트남에 대한 투자가 활발해졌다. 양국 모두 제조업에 대한 한국의 투자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데, 베트남에서는 1차 금속과 섬유제품에 대한 투자가 많은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식료품과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많은 편이다. 제조업 다음으로는 양국 모두 광업에 대한 투자가 높은 편이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부동산·임대업과 건설업에 대한 투자가 그 뒤를 잇는 반면 인도네시아에는 도·소매업, 농림어업에 대한 투자가 많은 편이다.
2011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들의 심층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업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현지 정책’으로 베트남에서는 노무와 세무 정책, 인도네시아에서는 노무정책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악화된 노무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베트남에서는 기간별 인센티브 지급을 통한 경쟁체제 도입과 연도별 임금협상 원칙을 고수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는 연도별 임금협상 원칙 고수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통한 애사심을 고취에 주력하고 있다. ‘인건비 상승’ 시 양국 모두 생산성 향상을 통해 임금 상승분을 상쇄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발생에 따른 원자재 구입비용 인상 시 양국 모두에서 물자절약을 위한 전사적 캠페인과 포상제도 도입 및 제품출고가격을 인상하였다.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필요 정보’로는 양 국가 모두 세무와 노무 분야를 꼽고 있다. ‘정보 획득’을 위하여 베트남에서는 한국정부 및 관련기관, 한인사회, 현지 정부기관 등으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고 있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한인사회와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또한 양국 모두 한국정부가 현지정부를 활용한 정보제공 기회를 자주 마련하고, 한국정부와 진출기업 간 정보교류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현지화’를 위해 양국 모두 주요한 의사결정 과정에 현지 인력을 참여시키고 있으며, 기업의 사회적 활동을 통한 기업 이미지 개선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쟁 발생’ 시 베트남에서는 주로 당사자 간 합의나 한국 법률회사의 도움을 많이 받는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당사자 간 합의나 현지 법률회사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에서는 전문인력 확보와 노무관리 능력을 중시하고, 인도네시아에서는 전문인력 확보와 가격경쟁력을 주요한 요인으로 뽑았다. 부서별 확대 계획의 경우 베트남에서는 모든 부서를 확대하겠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 반면, 인도네시아에서는 제품생산, 디자인 및 R&D, 마케팅에서 확대하겠다는 의견이었지만, 원자재 구매, 회계 및 세무, 노무 분야에서는 현상을 유지할 것이라는 것이 다수였다. 또한 신규 투자진출을 도모하거나 진출 초기에 정부지원에 대한 요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 국가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의 2009 회계연도 평균 실적치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매출액은 인도네시아 진출기업이 베트남 진출기업보다 약 3.9배 정도 높은 수준이고, 매출원가의 경우 인도네시아 진출기업이 약 3.5배 정도 높은 수준이다. 판매관리비의 경우 인도네시아 진출기업이 베트남에 비해 약 2.7배 정도 높은 편이며, 영업외비용의 경우 양 국가 모두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베트남의 경우 영업외비용이 판매관리비보다 높은데, 이는 2009년 한 해 동안 베트남에서 자금 차입에 따른 이자비용과 현지 화폐 보유에 따른 외환손실 및 유·무형자산 투자에 따른 시세차손 등이 인도네시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법인세의 경우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기업이 베트남 진출기업보다 월등히 높았다. 현지 제조업 평균 고용자 수는 약 770명 수준으로 양국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 국가 진출 한국 제조업의 자료포락분석(DEA) 결과에 따르면 ① 영업기간이 길수록 ② 베트남은 중부 지역, 호치민 지역, 하노이 지역 순으로, 인도네시아는 자카르타 이외의 지역, 자카르타 지역 순으로 기업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③ 현지인 임원 및 관리인이 아직까지 기업의 효율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정책에 대한 시사점으로 ① 현지정부와 정보교류 시스템 구축 및 강화, ② 현지 거시정책 및 경제 흐름에 대한 분석적·체계적 정보 제공, ③ 현지 전문인력 DB 구축 및 활성화, ④ 생산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 시장 진출을 위한 기업 수요 조사, ⑤ 진출시기별·진출지역별 사례조사 및 교육프로그램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기업의 전략 수립 시, ① 내수 진출을 고려하고, ② 건실한 노사관계 및 인건비 상승에 대비하며, ③ 전문인력 확보 및 ④ 현지 경험과 입지의 중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Investment into Indonesia from Korea had already begun in the 1980s, while Vietnam became an investment destination for Korea beginning in 1992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The scale of investments into Indonesia remained far larger than those into Vietnam in the 1990s, with investment into the latter picking up during the 2000s. Investment into Vietnam, for its part, was concentrated in the materials industry such as textiles and clothing. Over half of Korean investment into each country goes into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majority of investments into Vietnam is received by primary metals and textiles industries; whereas food processing, electronic parts, computer, visual/audio/communications equipment manufacturing are the major recipients of Korean investments into Indonesia. Mining is second after manufacturing in terms of level of investment in both countries. Mining is followed by real estate/rentals and construction in Vietnam; and wholesale/retails and agriculture/forestry/fisheries for Indonesia.
A summary of the results of an in-depth survey for Korean companies in Vietnam and Indonesia in 2011 are as follows. On the question of areas of local policy with the most impact on business operations, labor and tax administration were selected for Vietnam, whereas labor stood out in the case of Indonesia. In order to deal with ‘deteriorating labor situations’ firms induce competition among workers through disbursement of regular incentives as well as holding fast to the principle of annual negotiation for wages. The annual negotiation for wages was also an important principle among Korean firms in Indonesia, while also fostering loyalty to the firm through CSR activities. Also, whenever labor costs rise, they are offset by increased productivity in both countries. In cases where inflation causes costs of raw materials to rise, firms in both countries combat rising costs through corporate campaigns to economize and reduce waste, system of rewards, and raising factory prices.
On the other question of an area where ‘information is most necessary for domestic market entry,’ firms in both countries pointed out taxes and labor. In Vietnam, such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Korean government agenc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local Korean community, and the local government. In Indonesia, firms acquire the needed information mostly through the local Korean community and the internet. There also calls by firms in both countrie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work with the local government to create opportunities for procuring information on a more frequent basis, as well as set up a  system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Korean firms and the government.
The survey also shows that companies are engaged in earnest efforts at localization, by involving local personnel in decision-making, in addition to improving their perception among the public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as part of fulfilling their CSR. But when conflicts arise in spite of all effort, Korean companies in Vietnam usually resolve them through agreed settlements with the parties concerned or Korean law firms; while companies in Indonesia also make attempts at agreed settlement, or seek help from a local legal firm.
In terms of ‘strengthening operational capability’, firms in Vietnam pointed to securing a professional workforce and labor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personnel were also considered important among companies in Indonesia, in addition for competitiveness in prices. Plans for expanding the organization among companies in Vietnam were general and across the board. Companies in Indonesia were more specific, with expansion planned for such departments as production, design, R&D, and marketing; whereas departments related to raw materials procurement, accounting/taxes, and labor management would be maintained at present levels for the most part. The majority of the requests among companies above for government assistance were made during the planning stages for making investments, or at the very early phases following entry into each country.
In terms of average annual total sales for Korean companies in each country during the 2009 fiscal year, Korean companies in Indonesia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in Vietnam by 3.9 times, and recorded 3.5 times the amount in cost of goods sold. Cost of sales and administration were also higher in Indonesia, by approximately 2.7 times; but nonoperating expenses were at similar levels. Nonoperating expenses, however, were higher than cost of sales and administration in Vietnam, pointing to greater expenses from loan interest payments, loss in value of local currency, and losses from investment into liquid and real assets; compared to Indonesia. Corporate taxes were much higher in Indonesia than in Vietnam. The average number of local workers employed in manufacturing firms were similar, about 770 in both countries.
According to Data Envelopment Analysis on Korean manufacturing in both countries, firm's efficiency is increased with ① greater length of sales operation ② location in Central regions - Ho Chi Minh area - Hanoi (Vietnam, in order) and regions other than Jakarta – Jakarta region (Indonesia, in order). However, the impact from ③ the presence of local executive/management on efficiency of operations was not significant.
Eliciting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 policy would mean continued efforts for ① the establishment and strengthening of the system of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firms and local governments ② provision of an in-depth analytical/systematic information on local macroeconomic policy and economic trends ③ creation and active promotion of a local professionals database ④ construction of a production network and survey of corporate S&D related to entry into service markets ⑤ survey of time and location of entry and training programs. Corporate strategies should include the following consideration: ① earnest desire for entry into the domestic market ② maintaining sound labor relations and prompt response to rising wages ③ securing professional workers ④ experience in the local market and sound location.


 


 

서언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방법 및 구성 


제2장 양국의 외국인투자 환경 변화 및 투자 현황 
1. 최근의 외국인투자 유치 정책과 제도 변화 
가. 베트남 
나. 인도네시아 
다. 소결 
2. 외국인 비즈니스 환경  
가. 비즈니스 수월성 분석 
나. 경제자유도지수 분석 
다. 근로자 임금구조 
3. 외국인직접투자 동향 및 구조 
가. 베트남 
나. 인도네시아 
다. 소결 
4. 한국의 투자 현황 
가. 베트남에 대한 투자 
나. 인도네시아에 대한 투자 
다. 소결 


제3장 현지 진출 한국기업의 경영실태 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베트남 조사 결과 
가. 투자 동기와 결정배경
나.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다. 정보 취득 
라. 현지화와 네트워킹 
마. 경영역량 강화 
3. 인도네시아 조사 결과 
가. 투자 동기와 결정배경  
나.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다. 정보 취득 
라. 현지화와 네트워킹 
마. 경영역량 강화 
4. 소결 
가. 설문조사 결과 
나. 현지 심층조사 사례 결과 
❙제4장 현지 진출 한국기업의 생산성 분석 
1. 생산성 분석의 개념과 방법 
가. 생산성 분석의 개념 
나. 생산성 분석의 방법 
2. 계량 모델  
가. 확률적 프런티어 분석(SFA)  
나. 자료포락분석(DEA) 
3. 자료 설명 
가. 베트남 
나. 인도네시아 
4. 생산성 분석 결과  
가. 베트남 
나. 인도네시아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요약 
가. 양국의 투자환경 변화 
나. 현지 경영실태 분석 
다. 생산성 분석 
2. 시사점 
가. 정부 정책에 대한 시사점  
나. 기업 전략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81
판매가격 7000 원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연구자료 국내 전략산업 투자유치 인센티브 개편 방향 2023-12-08 연구자료 외국인 직접투자가 베트남의 성별 임금 격차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3-09-08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Robotization on Foreign Direct Investment 2023-08-03 연구자료 주요 선진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정책변화와 시사점 2022-07-29 연구보고서 인도의 통상정책 분석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외국인 기업의 남북경협 참여활성화 방안 2021-12-30 연구보고서 MERCOSUR와 태평양동맹(PA)의 향후 전개방향 및 시사점 2020-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금융개방 환경 변화와 대응방향 2020-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토지제도 특성이 농업 생산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에티오피아와 말라위를 중심으로 2021-05-25 Working paper Determinants of Korean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 Do Korean Firms Respond to the Labor Costs of Host Countries? 2020-09-01 전략지역심층연구 체제전환국의 민간기업 및 기업가 육성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연구: 러시아,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2020-08-31 연구자료 일본의 개방형 혁신전략: 산학협력을 중심으로 2020-07-22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비교 분석 2019-12-30 연구보고서 체제전환국의 FDI 유입 결정요인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12-30 연구보고서 다국적기업 철수의 영향과 정책대응 방안 2019-12-30 연구자료 한일 및 한중일 투자협정의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 국내법원판결에 관한 판정례를 중심으로 2019-12-30 연구보고서 원청-하청 간 거래관행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 독일ㆍ미국의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2019-12-30 Working paper The Effects of US Sectoral Shocks through the World Input-Output Network 2019-12-30 연구자료 미얀마의 대외관계 정상화 경험과 북한에 대한 시사점 2019-09-06 Working paper Repercussions of Negatively Selective Migration for the Behavior of Non-migrants when Preferences are Social 2019-08-1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